목차
없음
본문내용
습하고 각 글자가 내는 소리값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모래 글자와 이동글자를 이용하는 활동을 통해서 글씨쓰기 연습하도록 소리값의 인식을 돕는다.
6) 읽기의 강화
소리값을 이해한 유아가 보다 능숙하게 읽을 수 있도록 읽기 연습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준비한다. 음절로 낱말 구성하기, 단어 읽기, 단어장, 문장 읽기 등을 통해서 읽기를 반복적으로 연습하도록 돕는다.
7) 문 법
낱말이 지니는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품사 소개와 문장 구성 및 분석을 통해 문장을 보다 잘 이해하는 것과 문장 표현 능력의 발달을 돕는다.
위의 요소의 발달은 연속적인 순서가 아니라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다. 또한 몬테소리는 학습으로의 언어보다는 발달로서의 언어를 강조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언어 영역의 내용을 단순히 교수적 또는 특정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유아의 발달 과정을 도와주기 위한 과정으로서 인식하고 유아의 언어 발달이라는 보다 큰 맥락에서 언어환경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6. 몬테소리 언어 교육의 원리
몬테소리 언어 교육은 다른 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준비된 환경을 통해 유아가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준비된 교구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문자 언어를 습득할 기회를 주고 교사가 언어 사용자로서 모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다. 이는 오늘날 언어 교육 이론의 관점에서 본다면 기술적 접근을 통한 문해 습득론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문해 발달에 있어서 기술적 접근이란 유아의 읽기 능력은 일련의 읽기 기능을 배우기 쉬운 낮은 수준으로부터 배우기 어려운 높은 수준의 기능에 이르기까지 위계적으로 가르치고, 반복적으로 가르쳐야 하며 반복적 연습의 정도에 따라 읽기 능력이 결정된다고 믿는 입장이다. 기술적 접근은 음소, 음절, 단어, 문장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보고 "아래에서 위로(Bottom-up)"의 언어 지도 방법이다. 이는 발음 중심지도 방법(phonics instruction)을 사용한다. 즉 유아의 읽기 학습에서 자음과 모음의 대응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유아의 읽기 지도는 자 · 모음의 음가를 정확하게 가르치는 것으로 시작하는 방법이다.
몬테소리 언어 교육은 언어 습득에 기초가 되는 시각적 변별력과 근육 조절 능력의 발달을 통한 읽기와 쓰기의 간적접인 준비로부터 시작되어 언어의 기본적인 단위인 자음과 모음의 인식 및 소리값 앍기, 음절, 단어, 문장으로 확장해가는 기술적 접근과 발음 중심의 지도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몬테소리 교육 원리에 기초한 언어 지도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풍요롭게 준비된 언어 환경을 제공한다. 유아는 언어의 민감기에 있다. 따라서 말의 폭발 읽기와 쓰기에 대한 폭발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유아의 언어에 대한 내적 요구를 충적시켜 줄 수 있도록 풍요롭게 준비된 언어 환경을 제공한다.
둘째, 유아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 개방적으로 자유로운 교실 분위기를 조성하고 유아들간의 대화를 통한 의사소통을 장려한다. 이 시기의 유아는 연습에 의해 말하기와 듣기가 발전하는 시기이므로 교구 작업 시간에 자유롭게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허용하고 장려해야 한다.
셋째, 교사가 바르고 정확한 문법과 어휘를 사용함으로써 모델이 된다. 유아는 생활속에서 주어지는 언어적 자극을 흡수함으로써 언어 발달을 이룩해 간다. 유아가 교사와의 언어적 상호 작용 과정에서 듣게 되는 교사가 사용하는 발음, 억양, 어휘, 문법 구저 등이 유아 언어 발달의 기초가 된다. 따라서 교사는 바르고 정확한 언어와 아름답고 풍요로운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넷째, 아름답고 매력적이며 유아의 수준에 맞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구와 책을 준비해준다. 몬테소리 교육은 유아가 교구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스스로 학습하도록 하는 원리를 기초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위해 매력적으로 흥미로운 교구를 통해서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활동이 되도록 준비해 주고 유아가 흥미롭게 언어활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언어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다섯째, 유아는 읽기와 쓰기를 위해 준비하는 체험이 필요하다. 눈과 손의 협응력, 근육조절능력, 시각적 변별력 기르기, 기억 연습 등 언어 영역의 학습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이 되는 일상 영역의 소근육 발달 활동, 감각 영역의 시각 및 청각 훈련 환경을 다양하게 제공한다.
여섯째, 각 영역의 활동이 언어활동과 연결되도록 준비해 주어야 한다. 일상 영역의 소근육 활동의 운동 방향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하도록 하거나 감각 영역에서 정확한 어휘와 개념을 소개하고 수학이나 문화 영역에서 쓰기 활동을 병행하는 것과 같이 각 영역의 활동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활동이 병행되도록 활동을 구성해 준다.
몬테소리 언어 교육은 기술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바 학습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방법이다. 몬테소리 언어 교구를 통한 활동은 유아의 문해 발달을 돕는 방법이다. 몬테소리 언어 교구를 통한 활동을 유아의 문해 발달을 돕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유아와 교사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아동 발달 이론과 언어 습득 이론의 발달에 따라 유아 언어 교육에서는 일상생활과 연결된 언어생활 및 통합적 · 총체적 언어 접근의 교육적 가치가 널리 인정되고 있는 바 몬테소리 언어교육에서도 교구를 통한 지도와 더불어 다양하고 풍요로운 현대적 언어 교육의 논리를 발전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몬테소리 교육과 총체적 언어 접근의 병행은 몬테소리 언어 교육을 보다 확장시켜 줄 수 있으리라고 본다. 몬테소리 언어교육/배진영, 송미령, 왕기은, 이성숙 저/ 창지사 2003년/ p. 13~26
참고문헌
몬테소리교육의 이론과 실제/ 박경희 이성숙/ 공동체/ p303~309
몬테소리 유아 교육의 철학적 이론과 실제 / 조성자 감수 박성은 오정숙 최선희 공저/ 창지사 / p.426~427
몬테소리 언어교육/배진영, 송미령, 왕기은, 이성숙 저/ 창지사 2003년/ p. 13~26
6) 읽기의 강화
소리값을 이해한 유아가 보다 능숙하게 읽을 수 있도록 읽기 연습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준비한다. 음절로 낱말 구성하기, 단어 읽기, 단어장, 문장 읽기 등을 통해서 읽기를 반복적으로 연습하도록 돕는다.
7) 문 법
낱말이 지니는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품사 소개와 문장 구성 및 분석을 통해 문장을 보다 잘 이해하는 것과 문장 표현 능력의 발달을 돕는다.
위의 요소의 발달은 연속적인 순서가 아니라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다. 또한 몬테소리는 학습으로의 언어보다는 발달로서의 언어를 강조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언어 영역의 내용을 단순히 교수적 또는 특정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유아의 발달 과정을 도와주기 위한 과정으로서 인식하고 유아의 언어 발달이라는 보다 큰 맥락에서 언어환경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6. 몬테소리 언어 교육의 원리
몬테소리 언어 교육은 다른 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준비된 환경을 통해 유아가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준비된 교구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문자 언어를 습득할 기회를 주고 교사가 언어 사용자로서 모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다. 이는 오늘날 언어 교육 이론의 관점에서 본다면 기술적 접근을 통한 문해 습득론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문해 발달에 있어서 기술적 접근이란 유아의 읽기 능력은 일련의 읽기 기능을 배우기 쉬운 낮은 수준으로부터 배우기 어려운 높은 수준의 기능에 이르기까지 위계적으로 가르치고, 반복적으로 가르쳐야 하며 반복적 연습의 정도에 따라 읽기 능력이 결정된다고 믿는 입장이다. 기술적 접근은 음소, 음절, 단어, 문장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보고 "아래에서 위로(Bottom-up)"의 언어 지도 방법이다. 이는 발음 중심지도 방법(phonics instruction)을 사용한다. 즉 유아의 읽기 학습에서 자음과 모음의 대응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유아의 읽기 지도는 자 · 모음의 음가를 정확하게 가르치는 것으로 시작하는 방법이다.
몬테소리 언어 교육은 언어 습득에 기초가 되는 시각적 변별력과 근육 조절 능력의 발달을 통한 읽기와 쓰기의 간적접인 준비로부터 시작되어 언어의 기본적인 단위인 자음과 모음의 인식 및 소리값 앍기, 음절, 단어, 문장으로 확장해가는 기술적 접근과 발음 중심의 지도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몬테소리 교육 원리에 기초한 언어 지도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풍요롭게 준비된 언어 환경을 제공한다. 유아는 언어의 민감기에 있다. 따라서 말의 폭발 읽기와 쓰기에 대한 폭발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유아의 언어에 대한 내적 요구를 충적시켜 줄 수 있도록 풍요롭게 준비된 언어 환경을 제공한다.
둘째, 유아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 개방적으로 자유로운 교실 분위기를 조성하고 유아들간의 대화를 통한 의사소통을 장려한다. 이 시기의 유아는 연습에 의해 말하기와 듣기가 발전하는 시기이므로 교구 작업 시간에 자유롭게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허용하고 장려해야 한다.
셋째, 교사가 바르고 정확한 문법과 어휘를 사용함으로써 모델이 된다. 유아는 생활속에서 주어지는 언어적 자극을 흡수함으로써 언어 발달을 이룩해 간다. 유아가 교사와의 언어적 상호 작용 과정에서 듣게 되는 교사가 사용하는 발음, 억양, 어휘, 문법 구저 등이 유아 언어 발달의 기초가 된다. 따라서 교사는 바르고 정확한 언어와 아름답고 풍요로운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넷째, 아름답고 매력적이며 유아의 수준에 맞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구와 책을 준비해준다. 몬테소리 교육은 유아가 교구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스스로 학습하도록 하는 원리를 기초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위해 매력적으로 흥미로운 교구를 통해서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활동이 되도록 준비해 주고 유아가 흥미롭게 언어활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언어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다섯째, 유아는 읽기와 쓰기를 위해 준비하는 체험이 필요하다. 눈과 손의 협응력, 근육조절능력, 시각적 변별력 기르기, 기억 연습 등 언어 영역의 학습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이 되는 일상 영역의 소근육 발달 활동, 감각 영역의 시각 및 청각 훈련 환경을 다양하게 제공한다.
여섯째, 각 영역의 활동이 언어활동과 연결되도록 준비해 주어야 한다. 일상 영역의 소근육 활동의 운동 방향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하도록 하거나 감각 영역에서 정확한 어휘와 개념을 소개하고 수학이나 문화 영역에서 쓰기 활동을 병행하는 것과 같이 각 영역의 활동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활동이 병행되도록 활동을 구성해 준다.
몬테소리 언어 교육은 기술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바 학습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방법이다. 몬테소리 언어 교구를 통한 활동은 유아의 문해 발달을 돕는 방법이다. 몬테소리 언어 교구를 통한 활동을 유아의 문해 발달을 돕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유아와 교사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아동 발달 이론과 언어 습득 이론의 발달에 따라 유아 언어 교육에서는 일상생활과 연결된 언어생활 및 통합적 · 총체적 언어 접근의 교육적 가치가 널리 인정되고 있는 바 몬테소리 언어교육에서도 교구를 통한 지도와 더불어 다양하고 풍요로운 현대적 언어 교육의 논리를 발전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몬테소리 교육과 총체적 언어 접근의 병행은 몬테소리 언어 교육을 보다 확장시켜 줄 수 있으리라고 본다. 몬테소리 언어교육/배진영, 송미령, 왕기은, 이성숙 저/ 창지사 2003년/ p. 13~26
참고문헌
몬테소리교육의 이론과 실제/ 박경희 이성숙/ 공동체/ p303~309
몬테소리 유아 교육의 철학적 이론과 실제 / 조성자 감수 박성은 오정숙 최선희 공저/ 창지사 / p.426~427
몬테소리 언어교육/배진영, 송미령, 왕기은, 이성숙 저/ 창지사 2003년/ p. 13~26
추천자료
언어교육과 실물교육의 선택적 지향과 조화
[언어교육]한국어교육 교사 양성기관 및 교육과정 운영방안
[문화교육][문화교육의 사례]문화교육의 개념, 문화교육의 중요성, 문화교육의 학문제도, 문...
[그림책][유아창의성발달][유아언어교육][그림책의 이용활동]그림책의 특성, 그림책의 분류, ...
언어교육의 통합적 접근 또는 문학중심 언어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주제망 계획하기
[언어지도] 자유선택 활동을 통한 언어교육 - 언어 영역, 극놀이 영역, 미술 영역, 수과학 영...
유아활동 3~5세 - 유아 언어지도의 기본원리와 일상에서의 언어활동 실제 및 주제에 따른 언...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교육의 의의와 좋은 그림책의 기준 및 그림책을 활용하는 문학적 접근 ...
일상생활에서의 언어교육 및 언어교육의 계획과 통합적 접근
한국어교육론-한국어의 초분절음소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특성에대해 설명한뒤,이들요소의 교...
총체적 언어교육법의 방법에 따라 실제 일일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대상, 목표, 수업지...
영유아 언어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작성하여 제출하시오. (영유아언...
영유아 언어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작성하여 제출하시오 - 영유아 ...
언어의 의미를 정의하고, 유아 언어교육의 중요성을 서술 [언어의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