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서론 (구비문학론)
1. 구비문학의 개념
2. 말로 된 문학
3. 구연되는 문학
4. 공동작의 문학
5. 단순하며 보편적인 문학
6.민중적, 민족적 문학
7. 구비문학의 범위
구비문학 연구의 제관점
1. 민속학 또는 인류학의 관점
2. 기록문학 연구가들의 관점
3. 구비문학을 문학으로 연구하는 관점
1. 구비문학의 개념
2. 말로 된 문학
3. 구연되는 문학
4. 공동작의 문학
5. 단순하며 보편적인 문학
6.민중적, 민족적 문학
7. 구비문학의 범위
구비문학 연구의 제관점
1. 민속학 또는 인류학의 관점
2. 기록문학 연구가들의 관점
3. 구비문학을 문학으로 연구하는 관점
본문내용
구비문학에 관한 민속학적 연구는 한계가 있다. 이유는 민속학은 문예학이 아니기에 구비문학을 문학으로서 연구하는데 미흡하기 때문이다.
2. 기록문학 연구가들의 관점
기록문학 관점에서의 전문가들이 보았을 때 구비문학 자체는 문학이 아니거나 문학 이전의 것 또는 민속이라고 생각해, 구비문학 자체에 관한 연구는 국문학의 과제가 아니고 민속학의 분야라고 본다.
3. 구비문학을 문학으로 연구하는 관점
구비문학을 문학으로 연구하는 관점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구비문학이 문학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민속에 그치지 않고 문학이라는 점을 중요시한다.
둘째, 문학으로서 연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왜냐면 구비문학은 문예학의 대상이 될 때 비로소 깊이 있고 성과 있게 연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2. 기록문학 연구가들의 관점
기록문학 관점에서의 전문가들이 보았을 때 구비문학 자체는 문학이 아니거나 문학 이전의 것 또는 민속이라고 생각해, 구비문학 자체에 관한 연구는 국문학의 과제가 아니고 민속학의 분야라고 본다.
3. 구비문학을 문학으로 연구하는 관점
구비문학을 문학으로 연구하는 관점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구비문학이 문학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민속에 그치지 않고 문학이라는 점을 중요시한다.
둘째, 문학으로서 연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왜냐면 구비문학은 문예학의 대상이 될 때 비로소 깊이 있고 성과 있게 연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 구비문학론-변강쇠가
- 한국구비문학과 관련된 서적을 읽고 비평
- [구비문학] 상주시 공갈 못 의 민요와 전설
- [구비문학]무가, 민요, 판소리의 비교
- 우리나라 구비문학 - 민요와 무가 요약정리
- 제1장 구비문학
- [구비문학]수궁가관람기
- 2006년 구비문학 현지조사 보고서 -경북 문경을 중심으로-
- 구비문학론 - 천자봉 전설 조사
- 구비문학의_이해
- 구비문학론 - 제02장 <설화> (총설, 신화, 전설, 민담)
- 2016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고조선, 고구려, 신라, 가야, 탐라)
- [구비문학의세계] 고조선, 고구려, 신라, 가야, 탐라 등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 하나를선택...
- 2017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국의 전설자료, 민담자료 의미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