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기 일람,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1.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제1항은 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전사법에 따라 적는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어를 로마자로 정확하게 표기하기 위해서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을 알아야 한다. 또한 1음운 1기호의 대응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이 외국어를 원음대로 충실히 반영하기 어렵다. 이와 마찬가지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도 우리말과 문자와 음운 체계가 다른 로마자로 적어 외국인에게 전달하는 것이므로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은 불가피하다. 파열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이 대표적인 예이다.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모음 앞에서는 ‘ㄱ’을 ‘g’로 표기하고 자음이나 어말에서는 ‘k’로 표기한다.
2. 2. 표기 일람
제2장 표기 일람은 국어의 음운을 로마자와 대응시켜 놓은 것인데, 제1항은 국어의 모음과 로마자를 대응시켜 놓았다.
<표 1> 단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a
eo
o
u
eu
i
ae
e
oe
wi
<표 2>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모음과 관련해서는 “‘ㅢ’는 ‘ㅣ’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는다.”라는 [붙임 1]의 규정이 있다. 이는 표준 발음법과 관련되어 있다. 표준 발음법 제5항 다만 3, 4에서는 ‘ㅢ’의 단모음화 현상을 인정한 발음을 제시하고 있다.
<표 3> 이중 모음 ‘ㅢ’의 발음
조건
용례
원칙
허용
첫소리가 자음인 음절의 ‘ㅢ’
늴리리
[닐리리]
유희
[유히]
첫 음절 이외 ‘의’
성의(誠意)
[성의]
[성이]
내의(內衣)
[내ː의]
[내ː이]
조사 ‘의’
강의(講義)의
[강ː의의]
[강ː이의~강ː이에]
위 표처럼 첫소리가 자음인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하고, 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의’는 [이]로, 조사 ‘의’는 [에]로 발음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ㅢ’와 ‘ㅣ’, ‘ㅢ’와 ‘ㅔ’가 각기 변별적 특징(辨別的特徵)을 가지고 있으며, 또 발음 현상에 비해 표기법은 보수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한글 맞춤법 제9항에서는 ‘ㅢ’가 [ㅣ]나 [ㅔ]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더라도 ‘ㅢ’로 적기로 했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 형태를 밝혀 ‘ㅢ’가 [ㅣ]나 [ㅔ]로 발음되더라도 ‘ui’로 표기한다. 그래서 ‘광희문’은 [광히문]으로 발음하지만 ‘Gwanghimun’이 아니라 ‘Gwanghuimun’으로 표기한다. 제1항 [붙임 2]는 “장모음의 표기는 따로 하지 않는다.”라는 조항이다.
제2항은 국어의 자음과 로마자를 대응시켜 놓은 것이다.
<표 4> 자음의 로마자 표기
조음 방법
조음 위치
자음
로마자
파열음
연구개음
ㄱ
g, k
ㄲ
kk
ㅋ
k
치조음
ㄷ
d, t
ㄸ
tt
ㅌ
t
양순음
ㅂ
b, p
ㅃ
pp
ㅍ
p
파찰음
경구개음
ㅈ
j
ㅉ
jj
ㅊ
ch
마찰음
치조음
ㅅ
s
ㅆ
ss
후음
ㅎ
h
비음
양순음
ㅁ
m
치조음
ㄴ
n
연구개음
ㅇ
ng
유음
치조음
ㄹ
r, l
제2항 [붙임 1]은 파열음 ‘ㄱ, ㄷ, ㅂ’의 환경에 따른 로마자 표기를 규정한 것이다. 파열음 ‘ㄱ, ㄷ, ㅂ’는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k, t, p’로 표기한다.
구미 Gumi영동 Yeongdong백암 Baegam
옥천 Okcheon합덕 Hapdeok호법 Hobeop
월곶[월곧] Wolgot벚꽃[벋
2. 1.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제1항은 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전사법에 따라 적는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어를 로마자로 정확하게 표기하기 위해서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을 알아야 한다. 또한 1음운 1기호의 대응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이 외국어를 원음대로 충실히 반영하기 어렵다. 이와 마찬가지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도 우리말과 문자와 음운 체계가 다른 로마자로 적어 외국인에게 전달하는 것이므로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은 불가피하다. 파열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이 대표적인 예이다.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모음 앞에서는 ‘ㄱ’을 ‘g’로 표기하고 자음이나 어말에서는 ‘k’로 표기한다.
2. 2. 표기 일람
제2장 표기 일람은 국어의 음운을 로마자와 대응시켜 놓은 것인데, 제1항은 국어의 모음과 로마자를 대응시켜 놓았다.
<표 1> 단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a
eo
o
u
eu
i
ae
e
oe
wi
<표 2>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모음과 관련해서는 “‘ㅢ’는 ‘ㅣ’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는다.”라는 [붙임 1]의 규정이 있다. 이는 표준 발음법과 관련되어 있다. 표준 발음법 제5항 다만 3, 4에서는 ‘ㅢ’의 단모음화 현상을 인정한 발음을 제시하고 있다.
<표 3> 이중 모음 ‘ㅢ’의 발음
조건
용례
원칙
허용
첫소리가 자음인 음절의 ‘ㅢ’
늴리리
[닐리리]
유희
[유히]
첫 음절 이외 ‘의’
성의(誠意)
[성의]
[성이]
내의(內衣)
[내ː의]
[내ː이]
조사 ‘의’
강의(講義)의
[강ː의의]
[강ː이의~강ː이에]
위 표처럼 첫소리가 자음인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하고, 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의’는 [이]로, 조사 ‘의’는 [에]로 발음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ㅢ’와 ‘ㅣ’, ‘ㅢ’와 ‘ㅔ’가 각기 변별적 특징(辨別的特徵)을 가지고 있으며, 또 발음 현상에 비해 표기법은 보수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한글 맞춤법 제9항에서는 ‘ㅢ’가 [ㅣ]나 [ㅔ]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더라도 ‘ㅢ’로 적기로 했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 형태를 밝혀 ‘ㅢ’가 [ㅣ]나 [ㅔ]로 발음되더라도 ‘ui’로 표기한다. 그래서 ‘광희문’은 [광히문]으로 발음하지만 ‘Gwanghimun’이 아니라 ‘Gwanghuimun’으로 표기한다. 제1항 [붙임 2]는 “장모음의 표기는 따로 하지 않는다.”라는 조항이다.
제2항은 국어의 자음과 로마자를 대응시켜 놓은 것이다.
<표 4> 자음의 로마자 표기
조음 방법
조음 위치
자음
로마자
파열음
연구개음
ㄱ
g, k
ㄲ
kk
ㅋ
k
치조음
ㄷ
d, t
ㄸ
tt
ㅌ
t
양순음
ㅂ
b, p
ㅃ
pp
ㅍ
p
파찰음
경구개음
ㅈ
j
ㅉ
jj
ㅊ
ch
마찰음
치조음
ㅅ
s
ㅆ
ss
후음
ㅎ
h
비음
양순음
ㅁ
m
치조음
ㄴ
n
연구개음
ㅇ
ng
유음
치조음
ㄹ
r, l
제2항 [붙임 1]은 파열음 ‘ㄱ, ㄷ, ㅂ’의 환경에 따른 로마자 표기를 규정한 것이다. 파열음 ‘ㄱ, ㄷ, ㅂ’는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k, t, p’로 표기한다.
구미 Gumi영동 Yeongdong백암 Baegam
옥천 Okcheon합덕 Hapdeok호법 Hobeop
월곶[월곧] Wolgot벚꽃[벋
키워드
추천자료
후기중세국어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3단원 우리 고전의 맛과 멋 예상문제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3단원 우리고전의 맛과 멋 예상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중1-1학기 07 단원 기말 모의고사 02
[과외]고등 국어 1-2학기 중간 예상문제 04
[우리말][우리글][오용사례][우리말 오용][우리글 오용][일본어 잔재][방송언어 오남용][국어...
[훈민정음][한글][국어][우리말][우리글]훈민정음과 한글의 원리 및 의의(훈민정음 창제의 목...
인터넷 언어의 국어학적 유형 분석 - 조어법, 고유어와 외래어 유형
15C 국어학 연구에 있어서 중요 문헌 나열
국어교육론-고쳐쓰기
국어의 문법적 오용에 관한 정리
(국어음운)한글 발음 인식과 표기의 변화 필요성
국어국문학과=언어와생활=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