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다국적화 동기] 기업이 다국적화하는 동기 (전통적 동기 & 새로운 동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업의 다국적화 동기] 기업이 다국적화하는 동기 (전통적 동기 & 새로운 동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업이 다국적화하는 동기

Ⅰ. 전통적 동기

1. 기업규모, 현금흐름, 이익의 증대
2. 주요자원의 안정적 확보
3. 시장 찾기 및 글로벌시장기반 확충
4. 제품, 기술의 수명주기 연장
5. 反트러스트법, 공정거래법, 경쟁심화와 이익률 저하

Ⅱ. 새로운 동기

1. 글로벌확장을 통한 특정 비즈니스분야에서의 생존 및 성장
2. 선발적 해외시장 침투
3. 방비적 동기
4. 외국산제품의 구입규제 및 국산화율 규정
5. 무역장벽에 대한 대응
6. 환경오염 규제강화
7. 지역시장블럭들의 활용
8. 다국적 생산, 마케팅을 통한 글로벌 시장운영의 효율화
9. 시장의 글로벌화, 해외투자의 자유화 및 외국인 투자유치정책의 활용
10. 다국적기업으로서의 고유강점 활용과 지위향상
11. 최고경영층의 희망과 결단

본문내용

라서 환경오염을 많이 발생시키는 산업에 속하는 선진국 및 신
흥공업국 기업들일수록, 까다로운 국내환경규제법과 악화된 국내여론을 피해, 그런 규제가 느슨한 개도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시키겠다는 동기로 다국적화하는 경우도 많다.
(7) 지역시장블럭들의 활용
1) 수적으로나 규모면에서 확대일로에 있는 지역시장블럭들(regional market blocs)과 기타 지역 시 장들(regional markets)을 이익 적으로 활용하려는 동기로, 다국적화하는 기업들도 많다.
2) EU는 일종의 유럽요새(European fortress)이고 NAFTA는 일종의 북
미요새(North American fortress)이다. 그렇지만. 상당한 규모의 직접투자로
현지제조활동을 벌이기 때문에 域內企業으로 인정받는 기업들에게는, 요새
가 아니기 때문이다.
(8) 다국적 생산 마케팅을 통한 글로벌 시장운영의 효율화
복수의 지역시장들 시장국들에 직접투자를 통해 해외생산자회사들
(overseas production subsidiaries)을 보유하고 다국적생산-마케팅 활동을 전
개함으로써 글로벌시장운영(global market operations)을 효율화하겠다는 동
기로. 다국적화하는 기업들도 많다.
(9) 시장의 글로벌화, 해외투자의 자유화 및 외국인 투자유치정책의 활용
1) 이제 전체지구는 단일 글로벌시장으로 바뀌고 있다. 그래서 그런 글로벌시장을 이익적으로 서브하겠다는 동기로. 다국적화하는 기업들이 최근에 많이 늘어나고 있다.
2) 선진국들뿐만 아니라 개도국들 및 과거의 공산국가들까지도, 해외직접투자를 자유화(liberalize)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외국인투자유치정책(foreign investment inducement policies)을 채택 하고서 투자유인들(investment incentives)을 제공하는 것도, 기업들에게 다국적화하도록 하는 동기를 제공
한다.
(10) 다국적기업으로서의 고유강점 활용과 지위향상
1) 다국적기업만이 획득하고 영위할 수 있는 특유한 강점과 경쟁적 우위 (unique strengths and competitive advantages)를 확보하려는 동기로. 다국적화하는 기업들도 많다.
2) 국내시장에서 우월한 경쟁적 위치(advantageous competitive position)
와 명성 있는 지위(reputable status, ranking)를 확보하려는 동기로, 다국적화
하는 기업들도 많다.
3) 특히 최근에는 국내지위순위(domestic ranking)뿐만 아니라 글로벌
지위순위(global ranking)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신경을 쓰는 기업들이 늘어
나고 있다. 예컨대 Fortune지 . FORBES지 등이 매년 발표하는 '세계 500
대기업'이나 업종별 세계적 대기업의 명단에 들어가느냐가 관심거리가 될
뿐만 아니라, 그런 것에 속한 것이 광고 선전의 중요한 자료로 쓰이고 있다.
그런 이유들도. 기업들이 다국적화하도록 하는 동기로도 작용한다.
(11) 최고경영층의 희망과 결단
최고경영자(Chief Executive Officer) - 대주주가 희망하기 때문에, 다국적
화하는 기업들도 많다. Singer, IBM, Eastman Kodak, Sony 같은 기업들은.
창업자가 처음부터 글로벌시장을 추구하는 목표를 세워 계속 이행함으로
써 대규모의 다국적기업이 된 예이다.
기업체에 따라서는, (1) ~(10) 등 경영적 동기나 이유(managerial motives
or reasons)보다는, 최고경영자 대주주 등의 개인적인 이유나 희망 때문에
특정 외국에 직접투자를 하기 시작하여 결과적으로 다국적기업으로 발전
한 경우도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4.26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5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