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Ⅰ. 白蓮敎의 起源과 發展
1. 白蓮敎 起源
2. 白蓮敎 發展
1) 三陽說
2) 無生老母 信仰
다. 白蓮敎의 發展
Ⅱ. 청대 白蓮敎의 난
1. 嘉慶 白蓮敎亂
1) 嘉慶 白蓮敎亂
2) 嘉慶 白蓮敎亂의 背景
3) 嘉慶 白蓮敎亂의 展開
4) 嘉慶 白蓮敎亂와 白蓮敎
2. 天理敎 叛亂
1) 天理敎 叛亂
2) 天理敎 叛亂의 展開
3) 天理敎 叛亂과 白蓮敎
나오면서
참고문헌
Ⅰ. 白蓮敎의 起源과 發展
1. 白蓮敎 起源
2. 白蓮敎 發展
1) 三陽說
2) 無生老母 信仰
다. 白蓮敎의 發展
Ⅱ. 청대 白蓮敎의 난
1. 嘉慶 白蓮敎亂
1) 嘉慶 白蓮敎亂
2) 嘉慶 白蓮敎亂의 背景
3) 嘉慶 白蓮敎亂의 展開
4) 嘉慶 白蓮敎亂와 白蓮敎
2. 天理敎 叛亂
1) 天理敎 叛亂
2) 天理敎 叛亂의 展開
3) 天理敎 叛亂과 白蓮敎
나오면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가 되면 대사를 도모할 수 있다고 했다……
天理敎 叛亂은 嘉慶 白蓮敎亂과 다른 점이 하나 있다. 嘉慶 白蓮敎亂처럼 淸朝의 白蓮敎亂에 경우 대부분 상징적이고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신비스런 인물을 내세우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것에 비해 天理敎 叛亂은 林淸이 스스로 天王을 자임함으로서 그 새로운 시대에 정치적 지도자가 될 사람은 바로 자신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는 林淸이 체포 된 후의 진술에서 알 수 있다.
……나는 謀逆을 하려고 생각했다 우리들은 天書에 따라 彌勒佛에는 靑陽, 紅陽, 白陽의 三劫이 있는데, 지금은 白陽劫이 시작될 때라고 여겼다. 사람들이 나를 太白金星이 하강한 것이라 하고 내가 天王이 되고, 憑克善은 地王, 李文成은 人王이 되어야 한다……
林淸은 대리인이 아닌 자신을 스스로 세속적 지도자의 위치에 섬으로서 종교적 요소를 탈각하고 정치적인 자세를 한층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나오면서
이상 살펴본 바에 의하면 白蓮敎는 시기가 내려옴에 따라 여러 가지 요소를 흡수하면서, 여러 민간종교와 통합되면서 내려온다. 白蓮敎는 미륵하생이라는 이념으로 건륭제 이후 사치에 빠진 황제와 귀족, 관리들 때문에 힘든 생활을 하던 민중들 사이에 파고들었고 새로운 사상에 대한 염원은 민중들을 白蓮敎에 더욱 빠져들게 했다.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염원은 몇몇 종교 지도자들의 주도로 난으로 표출되었다. 이른바 白蓮敎의 난이다. 청조에서는 白蓮敎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서 수 많은 양의 재정수입의 대부분을 군비로 사용하였고 이는 곧 국고의 탕진으로 이어졌다. 白蓮敎의 난으로 인해 청조 사회는 안정을 잃어갔고 白蓮敎의 난은 청나라의 멸망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기록에 남았다.
하지만 그들이 그토록 원했던 새로운 세계에 대해서는 종교적인 틀을 넘어서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청조에 대한 도전이 바로 신시대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미래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전망이 있어야 하지만, 白蓮敎도에게는 출발부터 그런 것은 없었고 또 있을 수도 없었던 것이다.
더 나은 세상에 대한 염원은 예나 지금이나 모든 사람들의 가슴속에 내재 되어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민중반란으로 그 염원을 표출하고 세상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을 했지만, 현대에는 반란이 아닌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그 염원이 표출되고 있다.
과거에 일어났던 민중반란을 한 국가를 쇠퇴시키거나 멸망하게 하고 단순하게 폭동에 그치는 부정적인 것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역사적인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측면으로 바라보고, 그 당시 민중들이 꿈꿨던 세상의 모습을 색안경 없이 바라봐야하는 안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B.J.TER HAAR, 송요후 역, 『중국역사상의 민간종교운동』, 신서원, 2007
- 다니가와 미치오 등 (송정수 역), 『중국민중반란사』, 혜안, 1996
- 이은자, 『중국 민간종교 결사. 전통과 현대의 만남』, 책세상, 2005
- 송요후, 「中國 民間宗敎 硏究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摸索, 명청사연구 제34집pp.237-279, 명청사학회 2010
- 송요후, 「明淸時代 民間 秘密宗敎 硏究」,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 이은자, 「中國 近代 民間宗敎와 拳會에 관한 硏究」, 중국근현대사연구 제5집 83-96, 중국근현대사학회, 1998
- 최갑순, 「중국 근세민간종교 연구(白蓮敎 傳統의 구성)」,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 최갑현, 「白蓮敎와 淸代 民衆反亂(新時代 待望論을 중심으로)」, 진단학보 81 pp.157-193, 진단학회 1997
- 최소자, 「명 청시대의 천주교와 白蓮敎」, 『이대사원』22, 23권, pp.149-180,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1988
天理敎 叛亂은 嘉慶 白蓮敎亂과 다른 점이 하나 있다. 嘉慶 白蓮敎亂처럼 淸朝의 白蓮敎亂에 경우 대부분 상징적이고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신비스런 인물을 내세우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것에 비해 天理敎 叛亂은 林淸이 스스로 天王을 자임함으로서 그 새로운 시대에 정치적 지도자가 될 사람은 바로 자신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는 林淸이 체포 된 후의 진술에서 알 수 있다.
……나는 謀逆을 하려고 생각했다 우리들은 天書에 따라 彌勒佛에는 靑陽, 紅陽, 白陽의 三劫이 있는데, 지금은 白陽劫이 시작될 때라고 여겼다. 사람들이 나를 太白金星이 하강한 것이라 하고 내가 天王이 되고, 憑克善은 地王, 李文成은 人王이 되어야 한다……
林淸은 대리인이 아닌 자신을 스스로 세속적 지도자의 위치에 섬으로서 종교적 요소를 탈각하고 정치적인 자세를 한층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나오면서
이상 살펴본 바에 의하면 白蓮敎는 시기가 내려옴에 따라 여러 가지 요소를 흡수하면서, 여러 민간종교와 통합되면서 내려온다. 白蓮敎는 미륵하생이라는 이념으로 건륭제 이후 사치에 빠진 황제와 귀족, 관리들 때문에 힘든 생활을 하던 민중들 사이에 파고들었고 새로운 사상에 대한 염원은 민중들을 白蓮敎에 더욱 빠져들게 했다.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염원은 몇몇 종교 지도자들의 주도로 난으로 표출되었다. 이른바 白蓮敎의 난이다. 청조에서는 白蓮敎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서 수 많은 양의 재정수입의 대부분을 군비로 사용하였고 이는 곧 국고의 탕진으로 이어졌다. 白蓮敎의 난으로 인해 청조 사회는 안정을 잃어갔고 白蓮敎의 난은 청나라의 멸망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기록에 남았다.
하지만 그들이 그토록 원했던 새로운 세계에 대해서는 종교적인 틀을 넘어서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청조에 대한 도전이 바로 신시대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미래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전망이 있어야 하지만, 白蓮敎도에게는 출발부터 그런 것은 없었고 또 있을 수도 없었던 것이다.
더 나은 세상에 대한 염원은 예나 지금이나 모든 사람들의 가슴속에 내재 되어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민중반란으로 그 염원을 표출하고 세상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을 했지만, 현대에는 반란이 아닌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그 염원이 표출되고 있다.
과거에 일어났던 민중반란을 한 국가를 쇠퇴시키거나 멸망하게 하고 단순하게 폭동에 그치는 부정적인 것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역사적인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측면으로 바라보고, 그 당시 민중들이 꿈꿨던 세상의 모습을 색안경 없이 바라봐야하는 안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B.J.TER HAAR, 송요후 역, 『중국역사상의 민간종교운동』, 신서원, 2007
- 다니가와 미치오 등 (송정수 역), 『중국민중반란사』, 혜안, 1996
- 이은자, 『중국 민간종교 결사. 전통과 현대의 만남』, 책세상, 2005
- 송요후, 「中國 民間宗敎 硏究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摸索, 명청사연구 제34집pp.237-279, 명청사학회 2010
- 송요후, 「明淸時代 民間 秘密宗敎 硏究」,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 이은자, 「中國 近代 民間宗敎와 拳會에 관한 硏究」, 중국근현대사연구 제5집 83-96, 중국근현대사학회, 1998
- 최갑순, 「중국 근세민간종교 연구(白蓮敎 傳統의 구성)」,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 최갑현, 「白蓮敎와 淸代 民衆反亂(新時代 待望論을 중심으로)」, 진단학보 81 pp.157-193, 진단학회 1997
- 최소자, 「명 청시대의 천주교와 白蓮敎」, 『이대사원』22, 23권, pp.149-180,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198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