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득의 심리학] 사람을 움직이는 6가지 원칙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상세 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득의 심리학] 사람을 움직이는 6가지 원칙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상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설득 심리학으로의 초대

Ⅱ. 제1원칙 : 상호성의 원칙

Ⅲ. 제2원칙 : 일관성의 원칙

Ⅳ. 제3원칙 : 사회적 증거의 원칙

Ⅴ. 제4원칙 : 호감의 원칙

Ⅵ. 제5원칙 : 권위의 원칙

Ⅶ. 제6원칙 : 희귀성의 원칙

Ⅷ. 정보화 시대의 설득 심리학

본문내용

Ⅵ. 제5원칙 : 권위의 법칙
사람들은 합법적인 권위에 복종하려는 의무감을 갖고 있다. 밀그램의 실험은 우리 문화가 복종하는 가치와 혜택에 큰 비중을 부여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실험을 통해 인간의 권위 복종 성향의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밀그램의 복종실험
보통의 평범한 사람에게 합법적 명령을 내린다면,
얼마만큼의 고통을 무고한 타인에게 부과할까? 라는 의문.
실험자들은 선생 역할과 학생 역할로 이루어져 있었음.
피 실험자인 학생역할의 사람이 문제를 틀릴 시 선생역할의
사람이 전기충격의 강도를 높여 벌을 주도록 지시.
피실험자가 혼수상태에 이르러 대답을 못하는 지경
선생 역할의 사람은 계속해서 전기충격의 강도를 높였다.
밀그램의 복종실험의 결과
결과에 대해 연구자들의 예상
450볼트의 전기충격을 부과할 지원자는 1~2%에 불과할 것
그러나 65%이상의 실험자들이 전기충격을 부과
지원자들이 연구자의 명령에 도전하지 않은데 문제가 있었음.
권위와 명령에 맹목적으로 따랐다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우리의 문화가 얼마나 복종하는 가치와 혜택에 대해 큰 비중을 부여하는가에 대해 증명한다.
인간의 권위에 대해 복종하는 이유
권위의 체계는 사회에 큰 영향력을 형성하고 있다.
권위의 반대인 무정부상태(Anarchy)에 대하여 비참한 상태임을 강조함.
조직의 적절한 권위에 복종하는 것이 옳은 것이며 불복종은 잘못된 것이라는 교육을 사회적에서 반복적으로 전달, 학습 받고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4.04.29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15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