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본론
1) 이론적 배경 -P..2
2) 교육목적 -P..2~3
(1). 장기적 교육목적
(2). 단기적 교육목적
3). 교육목표 -P..3
(1) 사회 정서적 목표
(2) 인지적 목표
4) 교육 내용 -P..3~5
(1) 일상생활
(2) 유아발달 프로그램 내용
(3) 피아제 이론이 암시하는 활동들
5) 교수-학습 원리및 방법 -P..5
6). 하루 일과 -P..6
7) 교사의 역할 -P..6
3.결론
2.본론
1) 이론적 배경 -P..2
2) 교육목적 -P..2~3
(1). 장기적 교육목적
(2). 단기적 교육목적
3). 교육목표 -P..3
(1) 사회 정서적 목표
(2) 인지적 목표
4) 교육 내용 -P..3~5
(1) 일상생활
(2) 유아발달 프로그램 내용
(3) 피아제 이론이 암시하는 활동들
5) 교수-학습 원리및 방법 -P..5
6). 하루 일과 -P..6
7) 교사의 역할 -P..6
3.결론
본문내용
적합한 활동과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해 가므로 일상생활의 활동 자체가 교육과정의 내용이 될 수 있다. 유아들이 일상생활에 흥미를 갖고 활동하면서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하고 발달해 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며 유아는 일상의 여러 상황이나 활동 속에서 물리적사회적 세계를 이해하고 경험하게 된다.
(2) 유아발달 교육과정
기존의 아동발달 교육과정에서 유아들과의 오랜 경험으로 축적된 놀이,게임 및 활동들은 중요한 학습내용 및 학습활동의 자원이 된다.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이나 전통적 교육과정에서 활용해 온 유아발달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과 유사한 활동들도 교육내용으로 제시하고 있다.
예) 가상놀이, 쌓기 놀이, 동식물 기르기, 노래 부르기, 미술활동, 요리하기, 퍼즐하기, 이야기 들려주기, 게임 등의 활동
(3) 피아제 이론이 암시하는 활동들
물리적 지식, 논리수학적 지식, 사회적 근거를 둔 활동과 도덕성 발달과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활동들을 함께 제안하고 있다.
예) 공굴리기, 거울놀이, 그림자놀이, 자석놀이, 그룹게임,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 등이 포함
①물리적 지식
물체의 속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지식을 말한다. 예를 들면 공은 ‘구르고’책상을‘단단하며’솜은 ‘부드럽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이 많은 물체를 접하면서 교사의 간섭 없이 스스로 물체를 탐색해 보도록 한다.
② 사회적 지식
사회의 규범, 예절, 규칙, 책임감 등에 대한 지식을 말한다.
사회적 지식은 지식의 근원이 사람들에게 있는 것인데 관습에 의해 일치된 지식, 서로 동의하여 합의에 의한 지식, 사회적 지식의 내용을 논리수학적 체계로 구성 등으로 사회적 지식을 분류한다.
예를 들면 12월 25일은 ‘크리스마스’ 날이며, ‘일요일에는 학교에 가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에게 직접 이러한 지식을 알려 줌으로써 이해하도록 한다.
③ 논리수학적 지식
물리적 경험과는 달리, 지식의 근원은 학습자 내부에 있다(즉, 학습자 자신의 행동). 사물 자체가 가지고 있지 않는 사물의 특성을 끌어들여 사물에 대한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며, 즉 유아와 물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는 지식을 말한다. 교사는 직접적 교수보다는 될 수 있는 한 논리적 사고과정이 일어날 수 있는 유아와 물체의 상호작용을 장려해 주어야 한다. 분류, 일대일 대응, 서열, 공간, 시간 개념 등이 이에 속한다.
그러나 지식은 분리 될 수 없는 것으로 논리수학적 지식 자체는 물리적 경험을 통해 세워진다.
피아제의 지식체계
활동
논리·수학적 지식
물
리
적
지
식
공간·시간적 지식
사
회
적
지
식
표상
분류
서열
수
공간적 개념
시간적 개념
색인
상징
표시
적목놀이
x
x
x
그림 그리기
x
x
다른 예능활동
x
x
x
극화놀이
x
x
x
x
이야기 듣기
x
x
x
동물과 식물 기르기
x
x
x
x
노래부르기와 악기 다루기
x
x
x
몸 움직이기
x
x
x
x
조리하기
x
x
모레놀이,물놀이
x
x
운동장의 놀이기구에서 놀이
x
x
책상에서 할 수 있는 놀이(그림
(2) 유아발달 교육과정
기존의 아동발달 교육과정에서 유아들과의 오랜 경험으로 축적된 놀이,게임 및 활동들은 중요한 학습내용 및 학습활동의 자원이 된다.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이나 전통적 교육과정에서 활용해 온 유아발달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과 유사한 활동들도 교육내용으로 제시하고 있다.
예) 가상놀이, 쌓기 놀이, 동식물 기르기, 노래 부르기, 미술활동, 요리하기, 퍼즐하기, 이야기 들려주기, 게임 등의 활동
(3) 피아제 이론이 암시하는 활동들
물리적 지식, 논리수학적 지식, 사회적 근거를 둔 활동과 도덕성 발달과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활동들을 함께 제안하고 있다.
예) 공굴리기, 거울놀이, 그림자놀이, 자석놀이, 그룹게임,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 등이 포함
①물리적 지식
물체의 속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지식을 말한다. 예를 들면 공은 ‘구르고’책상을‘단단하며’솜은 ‘부드럽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이 많은 물체를 접하면서 교사의 간섭 없이 스스로 물체를 탐색해 보도록 한다.
② 사회적 지식
사회의 규범, 예절, 규칙, 책임감 등에 대한 지식을 말한다.
사회적 지식은 지식의 근원이 사람들에게 있는 것인데 관습에 의해 일치된 지식, 서로 동의하여 합의에 의한 지식, 사회적 지식의 내용을 논리수학적 체계로 구성 등으로 사회적 지식을 분류한다.
예를 들면 12월 25일은 ‘크리스마스’ 날이며, ‘일요일에는 학교에 가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에게 직접 이러한 지식을 알려 줌으로써 이해하도록 한다.
③ 논리수학적 지식
물리적 경험과는 달리, 지식의 근원은 학습자 내부에 있다(즉, 학습자 자신의 행동). 사물 자체가 가지고 있지 않는 사물의 특성을 끌어들여 사물에 대한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며, 즉 유아와 물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는 지식을 말한다. 교사는 직접적 교수보다는 될 수 있는 한 논리적 사고과정이 일어날 수 있는 유아와 물체의 상호작용을 장려해 주어야 한다. 분류, 일대일 대응, 서열, 공간, 시간 개념 등이 이에 속한다.
그러나 지식은 분리 될 수 없는 것으로 논리수학적 지식 자체는 물리적 경험을 통해 세워진다.
피아제의 지식체계
활동
논리·수학적 지식
물
리
적
지
식
공간·시간적 지식
사
회
적
지
식
표상
분류
서열
수
공간적 개념
시간적 개념
색인
상징
표시
적목놀이
x
x
x
그림 그리기
x
x
다른 예능활동
x
x
x
극화놀이
x
x
x
x
이야기 듣기
x
x
x
동물과 식물 기르기
x
x
x
x
노래부르기와 악기 다루기
x
x
x
몸 움직이기
x
x
x
x
조리하기
x
x
모레놀이,물놀이
x
x
운동장의 놀이기구에서 놀이
x
x
책상에서 할 수 있는 놀이(그림
키워드
추천자료
교사역할(문답형)
몬테소리 생애,교육원리,평가 Montessori 1870~1952
레지오에밀리아접근법 정의, 레지오에밀리아접근법 기본원리, 레지오에밀리아접근법 교육목적...
[발도르프 프로그램] 역사적배경과 교육론 및 교수학습법, 교육원리, 발전방향 제시
아동수과학지도 교수학습방법과_교사의_역할
[교육원리][교육원리와 자연주의][교육원리와 구성주의][교육자치][교육제도][교육개혁]교육...
글쓰기교육원리(교수학습원리), 정보통신윤리교육원리(교수학습원리), 멀티미디어제작교육원...
[협동학습][협동학습 이점][협동학습 문제점][협동학습과 교사역할][협동학습 구조별 학습방...
[존 듀이][전통적교육][진보주의교육]존 듀이의 교육철학 배경, 존 듀이의 교육원리, 존 듀이...
2012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C형(유아교육의교수학습원리)
루소의 교육원리 중 감각을 통한 교육과 현대의 자연생태교육을 관련지어 설명
2013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유아교육의교수학습원리/교육활동계획안)
2014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유아교육의교수학습원리, 유아시설과환경)
[유아교육사 보육] 현대 아동교육의 기초 - 마리아 몬테소리(Maria Montessori 생애, 아동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