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향교는 고려시대를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계승된 지방 교육기관으로서 국립 교육기관이다. 일명 교궁•재궁이며, 고려 시대에 처음 생겼을 때에는 향학이라 불렀다. 지방의 문묘와 그에 속한 학교로 구성된다. 987년(성종 6) 경학박사와 의학박사를 각 1명씩 보내어 교육을 담당케 했고, 992년(성종 11) 지방 주•군에 학교(州學)를 세워 생도에게 공부를 권장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추천자료
강제시비(講製是非)-조선시대의 교육평가
'조선인'신윤복을 통해서본 조선사회와 여성
조선시대의 서원과 서당, 과거제도의 교육
조선시대의 교육
[유학교육론] 조선의 선비와 의의에 대해서
조선시대 태교와 비교유아교육(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조선 유학자들의 유학 교육 사상-동몽선습 강독을 바탕으로
조선대 글로벌리더를위한매너교육
조선시대 실학자 유형원, 이이(교육철학, 교육사상, 교육론)
개정 ‘한국사’ 교과서의 조선후기 농민에 대한 내용의 개선방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역사...
[한국교육의 역사]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발전과정)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대, ...
[사회교육과정 및 교재연구] 사회과 수업 과에서 조선 후기 서민문화를 바탕으로 한 ‘서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