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WK STEEL 회사소개
Ⅱ. 포스코 6시그마 사례
1. 포스코 기업 분석
2. 포스코 6시그마 추진과정
3. 포스코 6시그마 세부전략
4. 포스코 6시그마 활동성과
Ⅲ. 결론
1. WK SETTL 개선점
2. WK SETTL 발전 방향
Ⅳ. 참고자료
1. WK STEEL 회사소개
Ⅱ. 포스코 6시그마 사례
1. 포스코 기업 분석
2. 포스코 6시그마 추진과정
3. 포스코 6시그마 세부전략
4. 포스코 6시그마 활동성과
Ⅲ. 결론
1. WK SETTL 개선점
2. WK SETTL 발전 방향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퀵 6시그마 MBB를 운영하겠지만, 궁극적으로 6시그마 벨트 제도와 통합할 예정이다. 퀵 6시그마 GB의 경우 과제해결 기간을 고려해 퀵 6시그마 과제 2건을 해결할 경우 인증토록 했다. 또한 교육교재도 기존 6시그마 교재와 점진적으로 통합해 나갈 계획이다.
교육훈련은 전 직원이 ‘낭비를 보는 눈’을 가질 수 있도록 기본교육과 개선전문가 양성 교육을 실시하며 모델 부서를 중심으로 8월 22일부터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모델 부서는 조업부서/부별 1개 공장씩, 비제조 부문은 희망 부서를 중심으로 1년간 순차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며 1차 모델 부서는 올해 9월부터 내년 8월까지 포항 2제강, 2열연, 2후판, 광양 2제선, 4냉연공장과 비제조 부문의 자금관리실 등 6개 부서가 운영된다.
모델 부서에는 외부 컨설턴트를 투입해 개선전문가를 양성하고 체계적 업무진단, 과제발굴, 과제해결 등 단계별로 진행될 계획이며 과제수행을 담당하게 될 개선전문가는 그룹을 구성해 오프 잡(Off-Job)으로 개선업무를 전담하게 된다.
SSC(Six Sigma Circle)활동은 1차 모델 부서의 운영 결과를 반영해 올해 말까지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퀵 6시그마는 6시그마와 다른 새로운 무엇이 아니라 ‘포스코형 6시그마’ 구성요소 중 하나다. 포스코는 6시그마와 함께 퀵 6시그마를 ‘전원 참여, 끊임없는 개선’의 조직문화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4. 포스코 6시그마 활동성과
(1) 포스코 벨트인증자 현황
(2007년 기준)
MBB
BB
QSS Master
GB
벨트인증자수
(명)
6,212
136
613
44
5,419
인증비율(%)
35,6
0.8
3.5
0.25
31.0
포스코의 벨트인증자 현황입니다. 위의 표는 2007년 벨트인증자 현황으로써 표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벨트인증자의 인원이 많아 6시그마의 과제수는 50%증가하고 하였으며 우수제안 건수 월평균 1.5배 증가 하였습니다. 또한 Date Mining 전문가 대량의 실제데이터로부터 잠재되어 드러나지 않는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자
78명, TRIZ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론
전문가 12명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2007년 이후의 6시그마 벨트인증자의 대한 자료는 없습니다. 그 이유로는 포스코는 현재 기존의 포스코형 6시그마를 사용하지 않고 TRIZ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 6시그마 경영으로 인한 생산량 증가 & 판매량
위 차트를 보시면 포스코의 2005~2011년까지의 조강생산량과 판매판매량의 차트입니다. 6시그마 경영을 실시하여 조강생산량과 판매품 판매량은 2005년을 시작으로 증가하는 추세였습니다. 하지만 2008~2010년까지는 유럽과 미국발 금융위기의 영향에서인지 생산과 판매량이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3) 6시그마 경영으로 인한 포스코 재무성과
위의 차트[1]을 보시면 매출액이 2005~2006년에는 다른 년도와는 달리 많이 낮습니다. 생산량과 판매량을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당시 17개에서 70개의 계열사로 늘어나면서 방만 경영을 실시한다는 지적을 받고 세계적으로 철강산업 공급과잉으로 인하여 실적이 악화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로 미국발금융위기를 제외한 나머지 매출액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차트[2]를 보시면 영업이익이 2006~2007년은 2005년 보다 낮은데 그 이유로는 전 세계적인 수요 감소와 원료 값의 증가로 차트[3]의 2006~2007년의 순이익 역시 같은 이유로 낮았습니다.
포스코의 생산의 비해 이익을 많이 보지는 못하였으나, 전 세계적인 수요 감소와 원료 값 급등에도 불구하고
이정도의 매출을 이룬 사례를 보면 다른 기업과는 다른 품질경영을 실시하여 다른 철강기업들과 달리 높은 매출을 기록한 것 같습니다.
Ⅲ. 결론
1. WK SETTL 개선점
WK SETTL은 6시그마에 대한 개개인의 관심은 높으나, 조직의 일하는 방식으로는 정착되지 못함으로써 6시그마를 체질화 시키지 못했다.
(1) 개선점
전원참여 곤란 : 무겁고 어려운 Toolset
전체 프로세스 개선성과 가시화 미흡 : 프로세스상 산발전 문제 해결 중심
비참여자의 혁신에 대한 무관심 증대 : Mindset차원의 변화관리 불충분
2. WK SETTL 발전 방향
도입단계, 확산단계, 체질화 단계로 세분화 하여 도입단계에서는 6시그마 기본역량과 성공 사례를 확보한다. 확산 단계에서는 전사적 6시그마 활동 확산 및 성과를 가시화 시킨다. 마지막 체질화 단계에서는 6시그마 활동을 기업 문화에 정착시킨다.
(1) 성공 사례 확보 (포스코 성공 사례 기사)
(2) 순환 사이클 확보
WK STEEL에서는 그동안의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포스코 성공 사례를 통하여 6시그마를 기업문화에 정착시키며 순환 사이클을 통하여 잘못된 부분들을 고쳐나가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1. 사이트
- 한국경영혁신컨설팅 http://www.kmiway.com
- 6시그마자격인증원 http://www.6sigmaqa.com
- 포스코 www.posco.co.kr
2. 인터넷 기사
http://www.ciobiz.co.kr/news/special/analysis/2607977_1807.html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31760
http://www.fnnews.com/view?ra=Sent0701m_View&corp=fnnews&arcid=080302222623&cDateYear=2008&cDateMonth=03&cDateDay=03
http://www.fnnews.com/view?ra=Sent0701m_View&corp=fnnews&arcid=080724220030&cDateYear=2008&cDateMonth=07&cDateDay=25
3. 블로그
http://blog.naver.com/ldh61?Redirect=Log&logNo=140016751496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logId=1699813&userId=stbqy
4. 참고문헌
생산운영관리 - 소순후/박형호/노춘섭/최기/김영대/조건
교육훈련은 전 직원이 ‘낭비를 보는 눈’을 가질 수 있도록 기본교육과 개선전문가 양성 교육을 실시하며 모델 부서를 중심으로 8월 22일부터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모델 부서는 조업부서/부별 1개 공장씩, 비제조 부문은 희망 부서를 중심으로 1년간 순차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며 1차 모델 부서는 올해 9월부터 내년 8월까지 포항 2제강, 2열연, 2후판, 광양 2제선, 4냉연공장과 비제조 부문의 자금관리실 등 6개 부서가 운영된다.
모델 부서에는 외부 컨설턴트를 투입해 개선전문가를 양성하고 체계적 업무진단, 과제발굴, 과제해결 등 단계별로 진행될 계획이며 과제수행을 담당하게 될 개선전문가는 그룹을 구성해 오프 잡(Off-Job)으로 개선업무를 전담하게 된다.
SSC(Six Sigma Circle)활동은 1차 모델 부서의 운영 결과를 반영해 올해 말까지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퀵 6시그마는 6시그마와 다른 새로운 무엇이 아니라 ‘포스코형 6시그마’ 구성요소 중 하나다. 포스코는 6시그마와 함께 퀵 6시그마를 ‘전원 참여, 끊임없는 개선’의 조직문화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4. 포스코 6시그마 활동성과
(1) 포스코 벨트인증자 현황
(2007년 기준)
MBB
BB
QSS Master
GB
벨트인증자수
(명)
6,212
136
613
44
5,419
인증비율(%)
35,6
0.8
3.5
0.25
31.0
포스코의 벨트인증자 현황입니다. 위의 표는 2007년 벨트인증자 현황으로써 표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벨트인증자의 인원이 많아 6시그마의 과제수는 50%증가하고 하였으며 우수제안 건수 월평균 1.5배 증가 하였습니다. 또한 Date Mining 전문가 대량의 실제데이터로부터 잠재되어 드러나지 않는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자
78명, TRIZ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론
전문가 12명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2007년 이후의 6시그마 벨트인증자의 대한 자료는 없습니다. 그 이유로는 포스코는 현재 기존의 포스코형 6시그마를 사용하지 않고 TRIZ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 6시그마 경영으로 인한 생산량 증가 & 판매량
위 차트를 보시면 포스코의 2005~2011년까지의 조강생산량과 판매판매량의 차트입니다. 6시그마 경영을 실시하여 조강생산량과 판매품 판매량은 2005년을 시작으로 증가하는 추세였습니다. 하지만 2008~2010년까지는 유럽과 미국발 금융위기의 영향에서인지 생산과 판매량이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3) 6시그마 경영으로 인한 포스코 재무성과
위의 차트[1]을 보시면 매출액이 2005~2006년에는 다른 년도와는 달리 많이 낮습니다. 생산량과 판매량을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당시 17개에서 70개의 계열사로 늘어나면서 방만 경영을 실시한다는 지적을 받고 세계적으로 철강산업 공급과잉으로 인하여 실적이 악화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로 미국발금융위기를 제외한 나머지 매출액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차트[2]를 보시면 영업이익이 2006~2007년은 2005년 보다 낮은데 그 이유로는 전 세계적인 수요 감소와 원료 값의 증가로 차트[3]의 2006~2007년의 순이익 역시 같은 이유로 낮았습니다.
포스코의 생산의 비해 이익을 많이 보지는 못하였으나, 전 세계적인 수요 감소와 원료 값 급등에도 불구하고
이정도의 매출을 이룬 사례를 보면 다른 기업과는 다른 품질경영을 실시하여 다른 철강기업들과 달리 높은 매출을 기록한 것 같습니다.
Ⅲ. 결론
1. WK SETTL 개선점
WK SETTL은 6시그마에 대한 개개인의 관심은 높으나, 조직의 일하는 방식으로는 정착되지 못함으로써 6시그마를 체질화 시키지 못했다.
(1) 개선점
전원참여 곤란 : 무겁고 어려운 Toolset
전체 프로세스 개선성과 가시화 미흡 : 프로세스상 산발전 문제 해결 중심
비참여자의 혁신에 대한 무관심 증대 : Mindset차원의 변화관리 불충분
2. WK SETTL 발전 방향
도입단계, 확산단계, 체질화 단계로 세분화 하여 도입단계에서는 6시그마 기본역량과 성공 사례를 확보한다. 확산 단계에서는 전사적 6시그마 활동 확산 및 성과를 가시화 시킨다. 마지막 체질화 단계에서는 6시그마 활동을 기업 문화에 정착시킨다.
(1) 성공 사례 확보 (포스코 성공 사례 기사)
(2) 순환 사이클 확보
WK STEEL에서는 그동안의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포스코 성공 사례를 통하여 6시그마를 기업문화에 정착시키며 순환 사이클을 통하여 잘못된 부분들을 고쳐나가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1. 사이트
- 한국경영혁신컨설팅 http://www.kmiway.com
- 6시그마자격인증원 http://www.6sigmaqa.com
- 포스코 www.posco.co.kr
2. 인터넷 기사
http://www.ciobiz.co.kr/news/special/analysis/2607977_1807.html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31760
http://www.fnnews.com/view?ra=Sent0701m_View&corp=fnnews&arcid=080302222623&cDateYear=2008&cDateMonth=03&cDateDay=03
http://www.fnnews.com/view?ra=Sent0701m_View&corp=fnnews&arcid=080724220030&cDateYear=2008&cDateMonth=07&cDateDay=25
3. 블로그
http://blog.naver.com/ldh61?Redirect=Log&logNo=140016751496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logId=1699813&userId=stbqy
4. 참고문헌
생산운영관리 - 소순후/박형호/노춘섭/최기/김영대/조건
키워드
추천자료
중소기업의 경영분석
LG 마이크론의 지식경영 추진 계획서
POCSO의 그린 마케팅
소니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조사
중소기업 경영혁신 방안
경영혁신의 주요내용 정리
임파워먼트를 통한 조직의 발전 방안
경영혁신사례
POSDACA 기업 분석 [포스데이타 회사개요]
관심있는 기업을 1곳 선정하여 그 기업의 핵심역량을 파악하여 정의하고, 경쟁우위를 명확히 ...
전문세일즈맨기법의 핵심요소
전문마케팅전략
[리더십] 리더십 사례연구-잭 웰치의 리더십 (우수한 리더들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평가하...
[국가조사] 인도(India : Bharat) 조사 레포트 - 인도의 사회문화와 경제 (인도의 자연환경,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