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원사이트 사운드클라우드(SoundCloud) vs 멜론(Melon) 서비스전략 비교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원사이트 사운드클라우드(SoundCloud) vs 멜론(Melon) 서비스전략 비교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운드 클라우드  Hear the world\'s sounds
 
 ▶소개 -정의, 기능, 특징

 ▶수익모델

 ▶한계점 및 개선방안 


2. 멜론  음악이 필요한 순간 Melon

 ▶소개 -정의, 기능, 특징

 ▶수익모델

 ▶한계점 및 개선방안


3. 사운드 클라우드 & 멜론 공통, 차이점

본문내용

감상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주변 팔로잉 팔로워 방식을 통해 주변 친구들과 음악 교류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유저와 아티스트간의 구분이 불문명하고 누구나 원하는 뮤지션의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또한 아주 쉬운 방법으로 자신 스스로가 뮤지션이 될 수 있다. 곡을 업로드하는 것의 단순함은 물론이고, 맥북과 간단한 미디프로그램만 있다면 자신이 직접 30분 이상 혹은 1시간 이상 되는 믹스셋을 짜서, 디제잉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사운드 클라우드는 인프라만 제공할 뿐, 음악은 이용자들 스스로가 제공하고 공유하는 형태이다. 반면 멜론은 인프라부터 음원제공까지 모두 멜론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하고, 아티스트와 청취자간 연결하는 역할만 수행한다. 때문에 아티스트와 청취자간의 직접적인 피드백은 어렵다.
둘 째, 멜론은 사용자들이 비용을 지불하고 제공된 음악을 스트리밍만 할 수 있는 시스템이지만, 사운드 클라우드의 경우 음악을 듣는 점에 있어서는 비용이 전혀 들지 않을 뿐더러, 멜론보다 더 많은 장르의 음악을 원하는 대로 청취 가능하다. 비용적인 측면에서 아무런 제약이 없고 이에 비해 스트리밍 방식이 단순하여, SNS처럼 쉽게 다가갈 수 있다.
셋 째, 멜론에서 제공되는 모든 음원들은 저작권이 법으로 보호받고 있는 곡들이지만, 반대로 사운드 클라우드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음원들까지 공유할 수 있다. 때문에 청취가능한 음악의 장르와 스펙트럼의 넓이가 훨씬 넓다. 뮤지션이 아닌 일반인이 업로드한 셋이나, 믹스 테이프들도 청취 가능하다.
중요한 점은 아직까지 사운드 클라우드에서 저작권 문제가 크게 도래된 적이 없다는 것이다. 이유는 본인의 곡을 업로드하는 아티스트 스스로가 사운드클라우드 자체를 SNS의 관점으로 다가가기 때문이다. 즉, 사운드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아티스트들은 홍보나 공유를 위해 곡을 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지, 음반 수입을 목적으로 업로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실제로 일반 아티스트들의 순수한 음원 수입은 오프라인을 통한 앨범 발매, 그리고 전문음원발매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발매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세계적인 뮤지션들이 가장 많이 애용하는 비트포트 Beatport 는 멜론보다 수익구조 측면에서 훨씬 민주적이며, 아티스트들이 가격책정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장르 또한 매우 다양하다. 대부분의 아티스트들은 비트포트와 같은 전문음원발매사이트를 통해 수입을 얻지, 사운드 클라우드와 같은 SNS를 수입원으로 염두하지 않는다. 때문에 사운드클라우드는 아티스트들이 전문음원발매사이트의 관점으로 다가가기 보다, SNS와 같이 해당 작품의 홍보의 장으로 생각하는 측면이 강하다. 때문에 스트리밍하는 음악들에 대한 저작권적인 문제에 있어, 다른 사이트에 비해 훨씬 자유롭다는 사운드 클라우드의 이점이 있다.
넷 째, 사운드 클라우드는 전 세계적인 서비스인 반면, 멜론은 한국음악과 대중음악위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때문에 아이돌이나 대중음악에 치우친 한국 음악들 뿐만 아니라, 보다 질 좋고 예술적이고 실험적인 음악들을 많이 청취할 수 있다. 팔로잉을 통해, 한국의 퍼포먼스에만 집중된 요즘의 음악이 아닌, 보다 다양한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본연적인 음악을 찾을 수 있다.
다섯 째, 사운드 클라우드는 본래 디제이들과 아티스트들 만의 음악 교류를 위해 만들어진 플랫폼이다. 때문에 협소한 한국의 대중음악을 듣는 것이 서비스의 중점인 멜론에 비해, 보다 전문적인 방식으로의 음악 청취와 경험이 가능하다. 실제로 유명 디제이들은 사운드 클라우드를 통해 선곡에 많은 도움을 얻고 있으며, 곡을 발매하는 경우에도 비트포트 다음으로, 곧바로 사운드 클라우드에 업로드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 가격3,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5.12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7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