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가능곡선을 이용한 경제문제의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산가능곡선을 이용한 경제문제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생산가능곡선을 이용한 경제문제의 분석

Ⅰ. 가정

Ⅱ. 생산가능곡선의 도출

Ⅲ. 생산가능곡선은 무엇을 말해 주는가?

본문내용

하며, 또한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결정을 해야 한다. 이때 어떠한 선택(혹은 행동)의 기회비용은 그 선택으로 말미암아 선택하지 못했던 것 중에서 가장 좋은 대안이 주는 이득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회비용의 개념은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가령 어떤 학생이 월요일 9시 경제학 강의에 들어왔다고 하자. 만약 강의시간에 빠진다면 이 학생은 한 시간 잠을 더 자든지, 아니면 한 시간 동안 조깅(jogging)을 할 수 있다고 하자. 물론 같은 한 시간 중에 잠을 자고 동시에 조깅을 할 수는 없다. 이때 강의 참석이라는 선택의 기회비용은 무엇인가? 한 시간의 수면과 한 시간의 조깅을 합한 것이 아니다. 만약 이 학생이 잠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강의시간 참석의 기회비용은 한 시간의 잠이고, 이 학생이 운동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강의시간 참석의 기회비용은 한 시간의 조깅이 된다.
넷째, 생산가능곡선을 왜 원점에 대해서 오목하게 그렀는가? 이것은 기회비용이 체증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로봇에서 쌀로의 생산전환
생산점의 이동
쌀 생산량의 변화
로봇 생산량의 변화
A에서 B로
+1
-1
B에서 C로
+1
-2
C에서 D로
+1
-3
D에서 E로
+1
-4
E에서 F로
+1
-5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산점을 C에서 D로 옮겨가면, 이번에는 쌀 1만 톤을 추가로 생산하기 위해 로봇 3대를 포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다시 D점에서 E점으로 옮겨가면 쌀1만 톤을 추가로 더 생산하기 위해서는 로봇 4대를 포기해야 한다. 요컨대 A점에서 F점으로 생산점이 전환됨에 따라서 쌀 1만 톤을 추가로 생산하는 데 포기되는 로봇의 양, 즉 쌀 1만 톤 생산의 기회비용은 점점 증가된다. 경제학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기회비용체증의 법칙(law of increasing opportunity costs)이라고 부르며, 이로 인해 생산가능곡선은 원점에 대해 오목하게 그려지는 것이다. 만약 기회비용이 체증하지 않고 일정불변이라면 생산가능곡선은 직선으로 나타나며, 오히려 기회비용이 체감한다면 생산가능곡선은 원점에 대해서 볼록하게 그려진다.
그러면 왜 이와 같이 기회비용체증의 법칙이 작용하는가? 간단히 말해서 이것은 생산요소간의 완전대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쌀의 생산을 계속 증가시킬 경우 로봇 생산에 사용되던 인력, 기계 등 생산요소가 발 생산으로 전환하게 되는데, 이때 전환되는 생산요소의 쌀 생산에 대한 부적합도는 심화될 것이다. 가령 B에서 C.로 생산점이 이동될 경우에 처음에는 로봇 생산에 고용되고 있는 인력 중에서 농촌 출신이거나 과거에 농업교육을 받고 농업에 종사한 경험이 있는 노동자가 우선적으로 쌀 생산으로 전환되어질 것이다. 그러나 C에서 D로 다시 D에서 E로 이동하면 쌀 생산에 있어 생산성이 높은 노동자는 점차 희소해질 것이다. 다시 말해서 발 생산보다는 로봇 생산에서 생산성이 높은 사람까지 필요하게 될 것이다. 그 결과 동일한 양의 쌀을 더 생산하기 위해서는 포기되어져야 하는 로봇의 생산량은 점차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5.13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7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