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프롤로그
Ⅱ. 왜 미래는 우리를 필요로 하는가
1. 왜 미래의 생태계는 우리를 필요로 하는가
2. 왜 미래의 기술은 우리를 필요로 하는가
Ⅲ. 에필로그
※ 참고 서적 및 WEB SITE
Ⅱ. 왜 미래는 우리를 필요로 하는가
1. 왜 미래의 생태계는 우리를 필요로 하는가
2. 왜 미래의 기술은 우리를 필요로 하는가
Ⅲ. 에필로그
※ 참고 서적 및 WEB SITE
본문내용
통해 실현 가능해질 것이다. 인간 종은 자신의 본성을 바꿀 수 있다. 인간 종은 무엇을 선택할까?』
- 에드워드 윌슨,「인간 본성에 대하여」
인간의 통제를 벗어날 또 하나의 기술로는 로봇 공학 기술이 있다. 스스로 인류 최초의 사이보그가 된 ‘케빈 워릭’은 의식을 가진 기계가 미래 사회의 특징적인 한 측면을 이룰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는 앞으로의 사회에 인간이 대비하기 위해서 사이보그로 진화하는 길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간은 계속 진화할 수 있다. 미래 기계가 제공하는 초지능과 특별한 능력을 갈고 닦거나 혹은 기계와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서 말이다. 새로운 테크노휴먼(techno-human)의 등장과 발전에 대해서 과학소설의 세계에서는 이것을 ‘사이보그(cyborg)'라 부른다.』
- 케빈 워릭,「나는 왜 사이보그가 되었는가」
그러나 사이보그가 된다는 것은, 동시에 우리의 엄밀한 의미에서의 인간성 상실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가 테크놀러지 안으로 다운로드 된다면, 과연 그것이 우리 자신이나 또는 심지어 인간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일까? 로봇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우리가 지금 이해하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의 인간적 존재는 아닐 것이고 로봇이 우리의 자손이 될 수도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정에서 인간은 상실되어 버릴 것이다.』
- 빌 조이, “왜 미래는 우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가”
이렇듯, 인간이 만든 기술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인간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기술의 발달과 적용 범위에 한계를 지정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우리는 최소한의 윤리적 문제의식을 가지고 과학과 기술을 대해야 한다. 그것이 미래의 기술이 필요로 하는 우리의 모습일 것이다.
『몇몇 행성의 문명들은 해도 되는 것과 해서는 안 될 것의 한계를 정하여 자신들이 가야 할 길을 정하고 위기를 안전하게 통과한다. 그 밖에 다른 문명들은 운이 그렇게 좋지 않아서 혹은 신중하지 않았기 때문에 파멸하고 만다.』
- 칼 세이건,「창백한 푸른 점」
Ⅲ. 에필로그
오랜 고민 끝에 ‘왜 미래는 우리를 필요로 하는가’ 라고 소주제를 정한 이유는, 인간이 초래한 어두운 미래는 인간이 아니면 해결할 수 없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다소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을 펴느라 사실은 보고서를 쓰는 데 매우 힘이 들었지만, 소주제 선정에 있어서만은 후회가 없다. 내가 수업을 통해 가장 많이 고민해보았던 주제이고, 내 나름의 희망적인 결론을 생각해낼 수 있었던 주제였기 때문이다.
독서와 토론 수업을 통하여 7권의 책을 읽었고, 인간과 우리 미래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 침팬지와 인간, 인간의 마음뇌, 유전자와 인간 본성, 외계생명체와 인간, 인간의 사이보그化, 인간의 현실과 의식세계 등에 관한 책을 읽고, 이전에는 한번도 가져보지 않았던 질문들에 해답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나의 사고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고등학교 때 배운 지식들과는 다른 지식을 얻었고, 생각해서 공부하는 재미도 알게 되었다. 이렇게 자유로운 소주제, 형식 무제한의 보고서라는 것도 처음으로 써보았다. 연세대학생으로서 처음으로 들었던 독서와 토론 수업에서의 모든 활동들이 앞으로의 내 인생에 정말 귀중한 경험으로 남을 것 같아 기쁘고 감사하다.
※ 참고 서적 및 WEB SITE
제레드 다이아몬드,「제 3의 침팬지」
글렌 예페스,「우리는 매트릭스 안에 살고 있나」
제인 구달,「인간의 그늘에서」
www. janegoodall.org
www.cafe.naver.com/author.cafe
에드워드 윌슨,「인간 본성에 대하여」
케빈 워릭,「나는 왜 사이보그가 되었는가」
칼 세이건,「에필로그」
칼 세이건,「창백한 푸른 점」
- 에드워드 윌슨,「인간 본성에 대하여」
인간의 통제를 벗어날 또 하나의 기술로는 로봇 공학 기술이 있다. 스스로 인류 최초의 사이보그가 된 ‘케빈 워릭’은 의식을 가진 기계가 미래 사회의 특징적인 한 측면을 이룰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는 앞으로의 사회에 인간이 대비하기 위해서 사이보그로 진화하는 길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간은 계속 진화할 수 있다. 미래 기계가 제공하는 초지능과 특별한 능력을 갈고 닦거나 혹은 기계와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서 말이다. 새로운 테크노휴먼(techno-human)의 등장과 발전에 대해서 과학소설의 세계에서는 이것을 ‘사이보그(cyborg)'라 부른다.』
- 케빈 워릭,「나는 왜 사이보그가 되었는가」
그러나 사이보그가 된다는 것은, 동시에 우리의 엄밀한 의미에서의 인간성 상실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가 테크놀러지 안으로 다운로드 된다면, 과연 그것이 우리 자신이나 또는 심지어 인간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일까? 로봇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우리가 지금 이해하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의 인간적 존재는 아닐 것이고 로봇이 우리의 자손이 될 수도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정에서 인간은 상실되어 버릴 것이다.』
- 빌 조이, “왜 미래는 우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가”
이렇듯, 인간이 만든 기술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인간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기술의 발달과 적용 범위에 한계를 지정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우리는 최소한의 윤리적 문제의식을 가지고 과학과 기술을 대해야 한다. 그것이 미래의 기술이 필요로 하는 우리의 모습일 것이다.
『몇몇 행성의 문명들은 해도 되는 것과 해서는 안 될 것의 한계를 정하여 자신들이 가야 할 길을 정하고 위기를 안전하게 통과한다. 그 밖에 다른 문명들은 운이 그렇게 좋지 않아서 혹은 신중하지 않았기 때문에 파멸하고 만다.』
- 칼 세이건,「창백한 푸른 점」
Ⅲ. 에필로그
오랜 고민 끝에 ‘왜 미래는 우리를 필요로 하는가’ 라고 소주제를 정한 이유는, 인간이 초래한 어두운 미래는 인간이 아니면 해결할 수 없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다소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을 펴느라 사실은 보고서를 쓰는 데 매우 힘이 들었지만, 소주제 선정에 있어서만은 후회가 없다. 내가 수업을 통해 가장 많이 고민해보았던 주제이고, 내 나름의 희망적인 결론을 생각해낼 수 있었던 주제였기 때문이다.
독서와 토론 수업을 통하여 7권의 책을 읽었고, 인간과 우리 미래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 침팬지와 인간, 인간의 마음뇌, 유전자와 인간 본성, 외계생명체와 인간, 인간의 사이보그化, 인간의 현실과 의식세계 등에 관한 책을 읽고, 이전에는 한번도 가져보지 않았던 질문들에 해답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나의 사고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고등학교 때 배운 지식들과는 다른 지식을 얻었고, 생각해서 공부하는 재미도 알게 되었다. 이렇게 자유로운 소주제, 형식 무제한의 보고서라는 것도 처음으로 써보았다. 연세대학생으로서 처음으로 들었던 독서와 토론 수업에서의 모든 활동들이 앞으로의 내 인생에 정말 귀중한 경험으로 남을 것 같아 기쁘고 감사하다.
※ 참고 서적 및 WEB SITE
제레드 다이아몬드,「제 3의 침팬지」
글렌 예페스,「우리는 매트릭스 안에 살고 있나」
제인 구달,「인간의 그늘에서」
www. janegoodall.org
www.cafe.naver.com/author.cafe
에드워드 윌슨,「인간 본성에 대하여」
케빈 워릭,「나는 왜 사이보그가 되었는가」
칼 세이건,「에필로그」
칼 세이건,「창백한 푸른 점」
추천자료
[인간복제][인간복제기술][배아복제][줄기세포]인간복제 기술, 인간게놈 연구, 인간복제의 방...
[인간배아복제][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인간복제][배아]인간배아복제,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
[인간복제][복제인간][생명윤리][생명복제][생명공학][인간배아복제][배아복제]인간복제의 개...
[인간본성이론][인간성격이론][인간발달이론][인간행동의 심리사회학적 접근][인간행동이론에...
[인간성][인간성 회복][알랭 핀킬크라우트 잃어버린 인간성][종교]인간성의 개념, 인간성에 ...
[인간복제]인간복제란?, 인간복제기술의 발달과 역사, 최신 인간복제 기술과 주요 쟁점의 동...
[인간복제]인간복제기술에 대한 편견을 버려! 인간복제의 윤리적 쟁점 소개와 찬성의견(지지...
[인간복제][인간복제 과제][개체성][양면성][찬반론][동향][문제점]인간복제의 의미, 인간복...
[인간복제]인간복제의 의미, 인간복제의 위험성, 인간복제의 피해, 인간복제와 무아윤회, 인...
[인간복제][생명복제][인간복제 쟁점][찬성론][반대론]인간복제의 개념, 인간복제의 가능성, ...
[인간복제][배아복제][인간배아복제][생명복제][유전공학][유전자][복제]인간복제의 정의, 인...
[인간교육][인간교육학][인간교육 저해요인][인간교육 당면과제]인간교육의 의미, 인간교육의...
[인간복제][인간복제기술][생명복제][생명윤리][인간복제기술 발전][인간복제 가능성][인간복...
[인간관계(대인관계)]인간관계(대인관계)의 의미, 인간관계(대인관계)의 필요성, 인간관계(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