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 신경계 구조와 기능, 진단검사에 관해 (신경계의 구성세포, 중추 신경계, 말초신경계, 진단검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 신경계 구조와 기능, 진단검사에 관해 (신경계의 구성세포, 중추 신경계, 말초신경계, 진단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의학 - 신경계 구조와 기능, 진단검사에 관해

1. 신경계 구조 및 기능
 1.신경계의 구성세포
  1) 뉴런(Neuron)
  2) 신경
  3) 뉴런의 구조
  4) 뉴런의 종류
 2. 중추 신경계
  1) 뇌
   (1) 대뇌
   (2) 간뇌
   (3) 뇌간
  2) 뇌의 보호구조
   (1) 뇌막
   (2) 뇌척수액
   (3) 뇌의 혈액 공급
   (4) 뇌혈관 장벽
  3) 척수
 3. 말초신경계
  1) 뇌신경
  2) 척수신경
  3) 자율신경계
 4. 진단검사
  1. 뇌혈관 조영술(Cerebral Angiography)
  2. 요추천자(Lumbar puncture)
  3. 유발전위검사(Evoked Potential Studies)
  4. 신경전도 검사 & 근전도 검사(NCV & EMG)
  5. 단일 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술(Brain Spect)
  6.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7. 장기간 뇌파기록 장치(long term EEG Monitoring)
  8. 신경 전도 검사(ENG: Electroneurography)
  9. 척수조영술(Myelogram)

본문내용

말초신경손상이나 질병을 발견하고 그 위치를 확인해주며, 흔히 근전도 검사와 병행하여 실시함. (쇼크 부위로부터 근육수축 부위까지 단위 시간당 거리를 전도율이라고 부른다.)
- 운동전도 속도: 주어진 지점에서 신경에 자극을 주어 반응의 진폭과 강도를 기록하는 것
- 감각전도 속도: 주어진 거리에서나 어떤 지점에서 신경을 따라 근육에 반응이 유발되는 시간을 기록하는 것
② 정상적 전도율의 범위: 약 50~60m/sec
③ 흔히 사용하는 신경: 안면, 정중, 척골, 요골, 좌골, 비골, 후경골신경 등.
④ 감각전도속도: 측정에 어려움이 있으나 말초신경질환을 초기에 발견하는데 유용하다. 신경을 따라 원접부섬유질을 자극하고 근접 부위에서의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손가락 끝을 자극하여 손목, 팔꿈치, 액와 등에서의 반응을 기록한다.
⑤ 간호
- 검사 과정에 대한 설명이 중요하다.
- 검사시간이 길고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바늘전극을 주입할 때 또는 환자가 체위를 변경할 때 통증이 있을 수 있음을 알려준다.
5. 단일 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술(Brain Spect)
① 목적
- 방사능 측정 장치로 뇌의 병리적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치매에서의 혈류 변화 측정
- 폐쇄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에서 조기 허혈에 관한 평가
- 간질의 평가
② 적응증
- 잦은 심한 두통
- 뇌졸중 후 증후군
- 경련성 질환
- 신경학적 호소를 하는 환자
③ 금기증 : 비협조적인 환자. 임산부
④ 검사방법 : 신체 내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하고 이 물질로부터 방출되는 표식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얻어 뇌의 병리적 상태를 추적
⑤ 검사 전, 후 처치 및 간호
- 검사 전 환자를 금식시키거나 진정시킬 필요가 없다.
- 환자에게 검사절차에 대해 설명을 한다.
- 방사성 물질이 24시간 이내에 신체로부터 배설될 것임을 환자에게 알려주어 안심시킨다.
- 동위원소 배출을 위해 수분섭취를 권한다.
6.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① 목적 : 뇌의 전기적 활동변화와 진단
② 적응증
- epilepsy의 type 결정
- 뇌농양, 뇌종양 같은 두 개내 질환 진단
- 대사성 질환, 두부외상, 뇌막염, 뇌염, 정신지체 등에서 뇌의 전기적 활동 평가
- 항경련제의 선택과 효과의 평가
③ 검사방법
- 의자나 침대에 편하게 눕게 한다.
- 환자가 충분히 이완할 때까지 기다린다.
- 환자가 깨어 있을 때, 졸릴 때, 잠들었을 때, 밝은 빛의 리듬 있는 번쩍임 등의 복잡한 상황에서 시행
④ 검사 전후 처치 및 간호
ⓐ 검사 전
- 검사의 목적을 설명한다.
- 음식이나 수분은 제한하지 않으나 커피, 차, 알코올은 제외한다.
- 머리에 헤어핀이나 오일 등은 제거한다.
- 환자의 불안 긴장 등이 뇌파 패턴에 영향을 주므로 안정시킨다.
- EEG 전에 약물 취소에 관하여 의사가 결정한다.
ⓑ 검사 후
- 머리에서 collodion이나 paste를 제거한다. 제거할 때 아세톤 사용
- 진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바로 정상 활동을 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7. 장기간 뇌파기록 장치(long term EEG Monitoring)
① 목적
- 간질 발작의 양상을 상세히 기록한다.
- 예측 불가능한 간질환자의 행동양상과 뇌파소견으로 나누어 간질파가 시작되는 부분을 국소화 한다.
② 적응증
- 간질 및 유사간질을 구분할 때
- 적절한 항경련제 선택을 위해 간질발작유형을 알 때
- 수술이 요구되는 환자의 간질 초점의 국소화
- 간질발작의 촉진인자 파악
③ 검사방법
- 뇌파 전극을 삽입한다.
- 두피에 부착된 전극과 증폭기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한 다.
- Video system과 EEG computer 간을 연결하여 행동양상과 뇌파소견을 테이프나 디tm크에 저장한다.
- 충분한 소견이 얻어진 후 뇌파전극을 제거한다.
④ 검사 전후 처치 및 간호
- 검사의 목적 설명
- 음식이나 수분제한은 하지 않는다.
- 머리에 헤어핀이나 오일 등은 제거한다.
- 두피전극을 꽂기 전 외부의 자유로운 활동이 금지됨을 설명한다.
- 검사 후 머리에서 collodion이나 paste를 아세톤으로 제거
8. 신경 전도 검사(ENG: Electroneurography)
① 목적 : 말초신경 손상이나 질병을 발견하고 그 위치를 확인
② 검사방법
- 환자의 체위는 병변이 의심되는 말초신경손상, 질병 부위에 따라 다름.
- 운동신경 전도 검사 : 말단 자극 전극과 기록 전극사이 거리가 손은 5~7, 발은 7~10㎝ 등으로 일정한 거리 유지
- 감각신경 전도 검사 : 기록전극과 기준전극 거리는 3~4㎝
- artifacts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검사하고 있는 팔, 다리에 붙이는 것을 원칙.(위치→ 자극전극과 기록전극 중간)
- 검사 수행 순서 : 운동신경전도 검사 → 감각신경전도검사
- 운동신경 전도검사 : 기록전극은 복합근 활동 전위를 얻는 근육의 중간에 부착, 기준전극은 tendon에 부착하고 기록전극이 그 근육의 운동종판위에 위치.
- 감각신경전도검사
정중신경, 척골신경 →순방향
Sural, 요골신경 →역방향
- 소요시간 ; 15분
③ 검사 전 처치 및 간호
- 금식이나 진정을 필요하지 않는다.
- 전기자극에 대한 불안감을 가진 환자에게는 검사자체가 전기고문이 아님을 설명해 드리고 환자의 안정과 신뢰감을 얻는 것이 필요
- 검사 전 환자의 병력조사(신경계이상)
- 검사 전 환자의 손, 발을 만져 본다.
- 검사 전 환자의 신장을 확인 기록
- 신경전도 검사 후 피부에 전극을 붙일 때 사용한 젤을 제거
9. 척수조영술(Myelogram)
① 목적: 척수에 조영제를 넣어서 디스크판정 또는 척수종양의 위치 및 크기를 판정하는 검사
② 검사 후 처치
- 6시간동안 두부거상 자세 취할 것
- 조영제 배출을 위해 충분한 수분섭취(1일 2000cc이상)
- 두통 예방 위해 약물 복용
③ 합병증 : Headache, ICP ↑
[참고문헌]
고일선 외, 최신 임상간호매뉴얼Ⅰ, 서울: 현문사, 2004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 서울: 현문사, 2005
최공옥 외, 건강사정, 서울: 현문사, 2003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06.05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1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