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회사 소개 & 선정 이유
2. 국내 시장 & 경쟁자 분석
3. 던킨 마케팅 전략
- SWOT 분석
- STP 전략
4P 전략
4. 던킨의 마케팅 평가 & 결론
2. 국내 시장 & 경쟁자 분석
3. 던킨 마케팅 전략
- SWOT 분석
- STP 전략
4P 전략
4. 던킨의 마케팅 평가 & 결론
본문내용
등 다른 제품까지 상향이미지를 추구하는 브랜드 이미지 향상과 관련되어진 정책이라
할 수 있다.
◎ 4P 분석
1) Product
① 브랜드 전략 : 던킨의 브랜드 전략은 세계에서 제일가는 도넛과 커피 전문점 이 되는 것이다. 그것은 곧 막강한 경쟁사인 스타벅스에 대한 도전이기도 하다.
이들은 맛있는 신선한 도넛과 커피라는 이미지를 강조한다.
② 제품 전략 : 트랜스지방에 대한 이미지를 벗고자 좀더 건강식이나 한국식의 도넛 개발을 하는 등 현재의 도넛 정책은 유지하면서 커피, 쿨라타등 새로 개발하는 음료에 포커스를 맞추어 다양한 제품과 질의 향상을 노려야 한다.
2) Price
주변의 경쟁업체와의 시장경쟁성을 확보하기 위한 주 고객층에 대한 저가정책을 썼을 경우
오히려 커피가 팔리지 않았다. 커피 전문점만큼의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해서 좋은 원두를 쓰고 있다는 점을 어필하기 위해서 현재 주력 상품인 도넛에 대한 가격정책은 유지하되, 저가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고급 커피 전문점과의 경쟁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커피의 가격인상이 필요할 것이다. 물론 이는 곧 커피의 가격 인상과 더불어 질의 향상을 같이 꾀하는 것을 말한다.
3) Place
현재 200여개가 넘는 점포를 가진 던킨 도너츠는 타 도넛업체와 비교 하여서는 많은 매장으로 고객의 접근성 용이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지역으로 고루 분포 되어 있는 것 또한 메리트가 될 수 있다. (타 업체 주로 수도권에 위치) 그러므로 많은 점포의 수를 확보한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개선하여야 하는 점은 도넛만이 부각되는 매장분위기이다. 이를 도넛이 아닌 커피를 부각 시킬 수 있는 매장 혹은 도넛과 커피를 공유할 수 있는 그런 분위기의 매장으로 개선하는 것 또한 좋은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오픈키친이 선호되어 분당점에 시범운행이 되고 있는데 이것이 소비자에게 좋은 마케팅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점차 확대하여 나가면서 최근의 흐름에 맞는
매장분위기를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
4) Promotion
던킨 도너츠는 창업초기부터 도너츠에 관한 이미지가 있어서 현재에도 또한 커피를 대표하
는 전문점이기 보다는 도너츠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이름이 나 있다. 그러나 이제 던킨은 새
로운 방향으로 사업을 모색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커피매출을 늘리기 위하여 다양한 마케
팅을 펼치고 있다. 그 예로 최근에 하고 있는 커피관련 TV 라디오 광고들과 황금컵 이벤
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침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베이글과 커피라는 컨셉 으로 아침식
사 시장에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고 있는데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된다.
4. 던킨의 마케팅 평가 결론
강력한 브랜드 파워로 많은 매장으로 고객의 접근성이 용이한 장점과 도넛 종류의 다양성, 오랜 역사를 통해 축적된 노하우 등으로 국내 도넛시장 점유율 1위인 던킨 도넛은 도넛시장에서 절대적 위치를 오랫동안 지켜왔다. 그러나 도넛시장에 계속하여 대형 경쟁사가 들어오면서 시장이 점차 과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주어진 파이를 나눠먹기 보다는 커피시장까지 사업을 확장 시키려는 형태로 나아가고 있는 던킨 도너츠는 현재 다양한 커피를 주제로 한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펼쳐야 할 것이다. 또한 음료의 종류가 타 커피 전문점에 비해서 적기 때문에 다양한 음료개발과 고급 커피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다.
또한 도넛이 트랜스 지방에 관한 매스컴의 보도로 건강하지 못한 이미지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와 관련해서도 지금 판매하고 있는 곡물 도너츠와 같은 종류의 지속적인 개발과 마케팅을 꾸준하게 병행해야 지금의 자리를 계속하여 지켜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할 수 있다.
◎ 4P 분석
1) Product
① 브랜드 전략 : 던킨의 브랜드 전략은 세계에서 제일가는 도넛과 커피 전문점 이 되는 것이다. 그것은 곧 막강한 경쟁사인 스타벅스에 대한 도전이기도 하다.
이들은 맛있는 신선한 도넛과 커피라는 이미지를 강조한다.
② 제품 전략 : 트랜스지방에 대한 이미지를 벗고자 좀더 건강식이나 한국식의 도넛 개발을 하는 등 현재의 도넛 정책은 유지하면서 커피, 쿨라타등 새로 개발하는 음료에 포커스를 맞추어 다양한 제품과 질의 향상을 노려야 한다.
2) Price
주변의 경쟁업체와의 시장경쟁성을 확보하기 위한 주 고객층에 대한 저가정책을 썼을 경우
오히려 커피가 팔리지 않았다. 커피 전문점만큼의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해서 좋은 원두를 쓰고 있다는 점을 어필하기 위해서 현재 주력 상품인 도넛에 대한 가격정책은 유지하되, 저가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고급 커피 전문점과의 경쟁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커피의 가격인상이 필요할 것이다. 물론 이는 곧 커피의 가격 인상과 더불어 질의 향상을 같이 꾀하는 것을 말한다.
3) Place
현재 200여개가 넘는 점포를 가진 던킨 도너츠는 타 도넛업체와 비교 하여서는 많은 매장으로 고객의 접근성 용이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지역으로 고루 분포 되어 있는 것 또한 메리트가 될 수 있다. (타 업체 주로 수도권에 위치) 그러므로 많은 점포의 수를 확보한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개선하여야 하는 점은 도넛만이 부각되는 매장분위기이다. 이를 도넛이 아닌 커피를 부각 시킬 수 있는 매장 혹은 도넛과 커피를 공유할 수 있는 그런 분위기의 매장으로 개선하는 것 또한 좋은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오픈키친이 선호되어 분당점에 시범운행이 되고 있는데 이것이 소비자에게 좋은 마케팅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점차 확대하여 나가면서 최근의 흐름에 맞는
매장분위기를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
4) Promotion
던킨 도너츠는 창업초기부터 도너츠에 관한 이미지가 있어서 현재에도 또한 커피를 대표하
는 전문점이기 보다는 도너츠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이름이 나 있다. 그러나 이제 던킨은 새
로운 방향으로 사업을 모색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커피매출을 늘리기 위하여 다양한 마케
팅을 펼치고 있다. 그 예로 최근에 하고 있는 커피관련 TV 라디오 광고들과 황금컵 이벤
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침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베이글과 커피라는 컨셉 으로 아침식
사 시장에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고 있는데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된다.
4. 던킨의 마케팅 평가 결론
강력한 브랜드 파워로 많은 매장으로 고객의 접근성이 용이한 장점과 도넛 종류의 다양성, 오랜 역사를 통해 축적된 노하우 등으로 국내 도넛시장 점유율 1위인 던킨 도넛은 도넛시장에서 절대적 위치를 오랫동안 지켜왔다. 그러나 도넛시장에 계속하여 대형 경쟁사가 들어오면서 시장이 점차 과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주어진 파이를 나눠먹기 보다는 커피시장까지 사업을 확장 시키려는 형태로 나아가고 있는 던킨 도너츠는 현재 다양한 커피를 주제로 한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펼쳐야 할 것이다. 또한 음료의 종류가 타 커피 전문점에 비해서 적기 때문에 다양한 음료개발과 고급 커피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다.
또한 도넛이 트랜스 지방에 관한 매스컴의 보도로 건강하지 못한 이미지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와 관련해서도 지금 판매하고 있는 곡물 도너츠와 같은 종류의 지속적인 개발과 마케팅을 꾸준하게 병행해야 지금의 자리를 계속하여 지켜나갈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