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건축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건축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표현
말세적(퇴폐적)예술
종교적관계
종교개혁바탕
카톨릭교회의 정화
2.건축의 특성
1)고전의 건축원리를 무시하고 극적효과 추구
2)주범(orders), 박공(pediment)과 같은 고전의 모티브 사용
3)건축의 구조, 표현장식을 건축 표현효과를 위해 사용함.
4)곡선, 파동치는 벽, 타원형평면의 선호, 격렬한 요철, 현란한 장식 사용
5)회화, 조각, 공예등이 건축과 결합됨.
6)스케일이 크고 도시계획 개념도입.
3.장식의 특성
1)과다한 장식 및 극적효과 도임
2)시간적요소가 의장의 기본적 요소가 됨.
3)수평, 수직 모든 방향으로 곡선사용
4)벽면에 장식적 조각, 복잡한 회화장식 사용
5)환상적인 공간, 투시화법의 착각등 회화적인 기법으로 과장.
4.건축실례
1)Italy Baroque
후기 Renaissance의 mannerism연속으로 Renaissance 건축원리들의 왜곡에서 비롯됨.
(1)베르니니(Giovanni Bernini, 1589-1680):
화가, 조각가, 건축가로서 전성기, Baroque의 대가
베드로 성당 광장(rome, 1657년경)
제단의 천개(rome, 1624-1633)
스칼라 레지아(rome, 1660-1670)
(2)카를로 마데르나(Carlo Maderna, 1556-1629):
새로운 바로크 시대의 지도적인 건축가.
성 베드로 성당의 신랑부(nave)와 정면(rome, 1607-1626)
바르베르니 궁전(rome, 1628-1638)
(3)보로미니(Francesco Borromini, 1599-1667)
풍부한 독창력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건축가.
산 카를로 교회당(rome, 1638-1640)
(4)코르토나(Pietro da Cortona, 1596-1669):
장식적인 효과를 중시한 건축가.
산타마리아 델라파체(Santa Maria della Paca, rome, 1656-1657)
산타마리아 인 비아 라타(Santa Maria in via lata, rome, 1658-1663)
(5)구아리니(Guarino Guarini, 1624-1683)
건축이론에 기하학, 수학 법칙을 적용한 건축가.
성로렌조 성당(turim, 1668-1687)
2)France Baroque
섬세하고 귀족적, 감상적 풍조가 성행
(1)알도안 망사르(Jules Hardouin Mansart, 1646-1708):
루이 14세 궁정 건축가.
앙발리드 성당(Paris, 1675-1706): 일명 상이용사 교회당
베르사이유 궁전의 로얄채플(Paris, 1676-1688)
(2)르메르시에(Jacques Lemercier, 1585-1654):
온건한 로마 바로크식의 고전적 양식추구
소르본느 교회당(paris, 1635-1342)
(3)프랑소와 망사르(Francois Mansart, 1598-1666):
망사르 지붕 사용, 프랑스적 감각의 영향이 큼.
메종 라피트 성관(paris, 1641-1651)
브로아 성관 날개부(paris, 1636-1638)
2)English Baroque
세력은 미약하였으나 팔라디오 풍의 경향이 강함.
(1)크리토퍼렌(Christoper Wren, 1632-1723):
수학자, 천문학자, 해부학자, 건축가로서 17세기 영국의 건축을 주도함.
성 파울 대성당(London, 1675-1710)
(2)벤 부르(John Van brugh, 1664-1726)
브렌하임 궁전
3)German Baroque
강렬하고 풍부한 장식수법
(1)게오르그 베르(George Baehr, 1666-1738):
푸라우엔키르헤 교회(dresden, 1726-1738): 부인교회당
(2)코스마스다미앙 아잠(Cosmos Damian Asam, 1686-1739): E. Asam의 형, 화가로
건축활동
(3)에지드 퀴린 아잠(Egid Quirin Asam, 1692-1750)
C. Asam의 동생, 조각가로 건축활동
성 요한 네포무크 성당(munchen, 1733-1759)
제14장. Rococo건축.
1.시대개관
1)개요
“로까이유(Rocaille)”라는 조개와 같은 곡면이나 곡선을 즐겨 쓰는 장식적 경향이 건축에 도입되어 내부 장식의 주류를 이루게 된 로코코 양식은 18세기에 프랑스를 시작으로 전 유럽에 발전된 건축양식임.
2)건축구성요인
(1)개인생활 중시의 사회사상->실내건축 및 장식 발전
(2)지식의 체계화와 활용경향->건축의 기능적 합리적 계획방법 연구
(3)활발한 국제교역에 의한 부력의 증가->실내의 화려한 장식, 단순한 외관 추구
(4)블롱델(Jaques Francois Blondel, 1705-1774)의 건축학 교정(Cours d' Architecture)
->새로운 건축지침마련으로 Rococo 건축발전에 영향.
2.건축의 특성
1)엄격한 고전적 법칙을 무시함.
2)개인의 사적생활을 중요시 하는 소규모 실내 공간 양식의 발전.
3)패널이나 개구부의 가장자리가 부분을
4)4면 벽, 천장면의 기하학적인 형태를 탈피하고, 가는 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
5)평면모서리를 둥그런 곡선의 윤곽으로 만듦.
3.장식특성
1)직선, 수평선, 직각 등을 피하고 경쾌한 장식사용
2)실용적이며 우아한 곡선 및 곡면 사용
3)백색 바탕에 금, 은 조각의 화려한 장식사용
4)리본형, 나선형, 소용돌이 무늬, 로까이유, 종려, 꽃장식 등의 문양.
4.건축실례
1)France Rococo
개인생활의 쾌적함에 대한 강한욕구
(1)보푸랑(Germain Boffrand, 166-1745)
오텔드 슈비즈(paris,1735-1740)
(2)쿠르톤느(Jean Courtonne, 1670-1740)
오텔드 마티뇽(paris, 1722-1724)
2)German Rococo
바로크와의 혼합.
(1)노이만(Baltthasar Neumann, 1687-1753)
비르젠하일리겐 성당(banz, 1743-1772)
3)English Rococo
팔라디오풍의 독자적 경향
(1)윌리암 리손(William Leeson)
프라이어 파크 하우스(Bath, 1779-1786)
(2)애덤(Robert Adam, 1728-1792)
리지스터 하우스(edinburgh, 1746-1769)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4.06.13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3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