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역사만)정리집_간호사국가고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민 보건법과 정신보건법이 국회 통과
2) 간호교육 일원화의 노력
(1) 3년제 교육과정을 마친 졸업간호사들에게 간호 학사 학위 취득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방송대학 간호과 설치
·3년제 전문대학 졸업 간호사를 위한 대학 부설 간호 학사 학위 특별과정
·독학사 제공
(2) 대한간호협회 차원에서 3년제 전국대학의 4년제로의 승격
의료법 개정이 간호에 미친 영향
- 정규 교육기관을 마친 자들을 위한 국가고시제 시행
- 간호사와 동등한 자격이었던 조산사의 자격이 강화
- 간호사 자격검정고시제 완전 폐지
- 의료업자 연차신고제
- 간호보조법 공포로 간호보조원 배출
- 간호고등기술학교 완전폐지
- 분야별 간호사 인정:보건, 정신, 마취, 가정, 응급, 감염, 중환자, 노인, 산업, 호스피 스 간호사
- 간호사 보수교육의 명문화
6. 서양 간호교육의 역사
1) 고대의 간호교육
(1) 지역사회 여자들 사이에서 구두로 전해짐
(2) 고대 그리스
·훈련되지 않은 노예들에 의해 제공
·간호제공자의 훈련에 대한 필요성 느끼지 못함
(3) 로마
·노예 또는 그러한 일을 기꺼이 책임지려는 그리스 의사들에게 맡겨짐
2) 17세기의 간호교육
(1) 실학주의 교육 (realism in edrcation)
(2) 종교개혁 후
·성 빈센트 드 폴
- 5년의 교과과정을 준비
- 마담 크 그라 임명:자선 부인단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가르칠 수 있는 책임자
·자선 자매단 (Sister of Charity):체계적 교육프로그램 설정하여 병원실습, 가정방문, 환자 간호 배움
3) 18세기 낭만주의 간호철학
·의학모델에 의한 프로그램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실용주의 시대로 전환
4) 19세기 간호교육의 정규과정 창시
(1) 크리미아 전쟁, 미국의 남북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간호교육의 필요성 강조하는 계기
(2) 19세기 중반의 나이팅게일의 공식적인 간호교육:성 토마스 병원 간호학교 개교
(성 1의 간호혁명)
(3) 미국
·남북전쟁을 계기로 필요성 인식
·뉴욕 벨뷰병원(1873년)
5) 20세기 간호교육
·병원에 운영, 임상의학 중심 교육
·실용주의적 철학 적용
·간호사 부족 보조인력 사용으로 인한 간호의 질 저하
·1948년 브라운 (Esther Lucile Brown)의 미래의 간호­브라운 보고서
:전문직 간호 교육을 위해서는 간호교육 제도가 고등교육기관에서 준비되어야 한다
미국간호협회에서 간호지도자 교육을 대학수준의 교육으로 승격시키기 위해 노력
7. 우리나라 간효교육의 역사
1) 일제시대:간호부 양성소
2) 1903년:Margaret Edmunds, 보구여관-우리나라 최초의 간호교육 시작
1906년:Shields, 세브란스 병원-두 번째 간호사 양성소
3) 1946년:고등간호학교
4) 1952년:고등간호학교는 대한민국 교육령에 의해 간호고등기술학교로 변경되었으며
1973년 완전폐지
5) 1954년:대한간호협회 교육위원회의 제청과 보건부 간호사업과의 주관으로 중앙간호
연구원이 개원됨
6) 1955년: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 4년제 정규대학 기본간호 교육과정인 간호학과 설치
7) 1955년∼1960년:이화여자대학교에서 대학원 석사과정 개설
8) 1962년:전국 23개 간호고등기술학교 중 19개교는 초급대학령에 준한 간호학교로 승격 되어 3년제 교육제도 실시
9) 1971년:간호학교가 간호전문학교로 승격
10) 1978년:연세대학교에서 최초로 박사과정 개설
11) 1979년:전국 36개 간호전문학교가 간호전문대학으로 승격
8. 대한간호협회 ★★
1) 1962년:준회원제도를 폐지하고 면허가 있는 자에 한해서만 회원가입이 가능하게 함
2) 1970년
(1) 대한간호학회가 대한간호협회 산하단체로 정식발족
·간호학문 발전과 연구에 관한 활동, 타 학문과의 교류 등 학술 연구를 위한 단체
·정기적인 학술대회 등을 통해 간호학술의 발전과 학구적인 연구에 도움이 됨
·분야별 7개 학회(간호행정, 기본, 성인, 아동, 모성, 정신, 지역사회)가 있음
(2) 의료인 단체 중 최초로 회관 준공
3) 1972년
·보건간호사회 가입
·간호사 윤리강령이 통과, 발표됨
4) 1974년:대한간호학회의 독립
5) 1976년
·임상간호사회가 산하단체로 가입
·간협신보 발간
6) 1979년:마취간호사회의 가입신청이 보류됨
7) 1981년:김모임 박사가 국회위원에 당선됨
8) 1985년:간협신보 발송 작업을 수작업에서 전산작업으로 변환
9) 1988년:마취간호사회가 산하단체로 가입
10) 1989년:서울에서 국제간호협의회(ICN 19차 총회)를 개최
11) 1991년
(1) 산업간호사회 가입
(2) 대한간호정우회 발족
·목적:간호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위해 간호계를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을 정계로 진출 (간호정치인 양성)
·초대회장:전산초
·최초의 간호사 국회의원:김모임
·사업내용 - 대한간호협회 목적과 사업을 달성하기 위한 대의적 지원활동
- 예비 정치인 육성 및 교육사업, 차세대 간호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
- 간호 정책 구현을 위한 활동
- 선거지원 사업
12) 1993년:보험심사간호사회 가입
13) 1995년:300명 수용 규모의 KNA 연수원 개원
14) 1996년:가정간호사회의 가입
15) 1998년
·현재 17개 지부, 8개 산하단체가 구성됨
·김모임 박사가 보건복지부 장관에 임명됨
16) 대한조산협회와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무산됨
17) 매 2년마다 열리는 각 국 대표자 회의(CNR)에서 하영수, 김모임 (서태 평양 지역이사로선출) 이 우리나라 간호사업전문위원으로 활약함
9. 한국 간호사의 파견
1) 1950년:스위스, 호주, 일본 등의 국가로 진출
2) 1960년:서독에 한국 간호사 파견
·간호사 대량 해외 취업으로 인해 병원 간호인력이 부족하게 됨
·간호조무사 제도 확립의 계기
·경력 간호사 부족으로 간호의 질적 저하를 초래함
·귀국한 간호사들은 철저한 환자 중심의 기본 간호에 충실(독일식 간호 제공)하게 됨
3) 1963년:미국으로 유학, 사찰, 취업, 이민 등 다양한 간호교류가 있었음
4) 1970년
·한국/월남 정부 간 협약에 의해 한월 의료원이 준공되어 간호사 파견됨
·중동 국가에도 취업이 활발하게 추진됨
  • 가격3,5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12.06.05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5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