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도덕적 판단이 사회의 관행이나 가치에 의하여 전적으로 결정된다면,도덕적 비판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여자에게 투표권을 주지말아야 한다는 견해가 압도적인 사회에서 그와 반대로 주장하는 것은 별의미가 없다. 그러나 행위의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은 도덕적 삶에 필수적이다. 도덕적으로 살아야 하는 이유는 행복하게 살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행복을 바라는 마음은 누구나 동일하다. 왜냐하면 행복은 다른 어떤것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고 그 자체가 목적이기 때문이다. 다만행복에 이르는 길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철학자로서 내가 할 일은 충실히 철학을 탐구하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철학자로서 내가 할 일은 충실히 철학을 탐구하는
추천자료
기독교와 윤리학
칸트의 자율과 자유
신약성경윤리 요약 및 서평
도덕교육으로서 역할놀이가 초등학생의 도덕판단 능력발달에 미치는 효과
[교육의 문제점]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실태 및 나아갈 방향
공동체주의적 관점에 입각한 도덕교육의 방향과 접근 방안
직업과윤리 교과서 (연습문제 풀이)
도덕과 구성주의 대화학습
[도덕과교육]도덕과교육 가치갈등학습모형(가치갈등수업)의 가치와 특징, 도덕과교육 가치갈...
『 천국의 열쇠 』 를 읽고
도덕성의 기초에 대한 내용
[독후감, 서평]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인간과교육)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