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히브리서의 기독론
2. 야고보서의 기독론
3. 베드로전‧후서의 기독론
4. 유다서의 기독론
5. 요한의 서신들(요한일서-요한계시록)
참고문헌
2. 야고보서의 기독론
3. 베드로전‧후서의 기독론
4. 유다서의 기독론
5. 요한의 서신들(요한일서-요한계시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 다른 본문들도 인지해야 한다. 하나님과 더불어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를 경배하는 것이 유일신론을 희석시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대조적으로 모든 문화적, 인종적 배경으로부터 나온 구원받은 자들이 하나님 앞에 서서 하나님을 찬송한다. 새 하늘과 새 땅에 성전은 더 이상 하나의 건물이 아니다. 지상의 성전은 언제나 좀 더 위대한 어떤 것, 또는 정확히 말해서 더 위대한 “어떤 분”을 가리켰다. 예수님의 영광을 나타내기 위해 요한은 다른 칭호들을 사용한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요한복음에 이 칭호가 정기적으로 나타나는 것과 대조적으로 요한계시록에는 이 칭호가 단 한 번 사용된다.
요한계시록은 또한 예수님을 인자로 그린다. 복음서를 공부할 때 주목했듯이 예수님을 인자로 언급하는 것은 복음서 이외에서는 드물다. 예수님은 요한계시록 1:13-16에 있는 요한의 환상에서 인자로 분명히 인식된다. 요한계시록은 차별과 박해를 받는 소아시아의 교회들에게 보내어진 것이다. 요한계시록은 분명히 예수님을 하나님으로 묘사한다. 요한계시록의 기독론은 명백하게 놀랍고 고등하다. 하나님이 찬송을 받으시는 것처럼 예수님도 찬송을 받으신다. 하나님이 알파와 오메가이며 처음과 나중이시듯이 예수님도 알파와 오메가이시며 처음과 나중이시다. 신약 뒷부분에 나타나는 기독론에 대해 가장 놀라운 그것이 복음서들과 바울 서신, 사도행전의 주요 강조점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사도행전은 예수님이 죽은자 가운데서 부활하신 메시아이시며 주님이시라는 것을 특별히 강조한다.
참고문헌
토마스 R. 슈라이너 저, 간추린 신약신학, CLC 2013
요한계시록은 또한 예수님을 인자로 그린다. 복음서를 공부할 때 주목했듯이 예수님을 인자로 언급하는 것은 복음서 이외에서는 드물다. 예수님은 요한계시록 1:13-16에 있는 요한의 환상에서 인자로 분명히 인식된다. 요한계시록은 차별과 박해를 받는 소아시아의 교회들에게 보내어진 것이다. 요한계시록은 분명히 예수님을 하나님으로 묘사한다. 요한계시록의 기독론은 명백하게 놀랍고 고등하다. 하나님이 찬송을 받으시는 것처럼 예수님도 찬송을 받으신다. 하나님이 알파와 오메가이며 처음과 나중이시듯이 예수님도 알파와 오메가이시며 처음과 나중이시다. 신약 뒷부분에 나타나는 기독론에 대해 가장 놀라운 그것이 복음서들과 바울 서신, 사도행전의 주요 강조점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사도행전은 예수님이 죽은자 가운데서 부활하신 메시아이시며 주님이시라는 것을 특별히 강조한다.
참고문헌
토마스 R. 슈라이너 저, 간추린 신약신학, CLC 20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