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겠고, 신약과 구약의 상화연관성에 있어서 그 어휘, 유형론, 약속과 성취같은 항목이 좀 더 성경 속의 풍부한 예들로 설명되어졌으면 좋겠다.
전반적으로 역사비평적 입장과 복음주의적 입장이 균형있게 잘 설명되어져 좋은 인상을 받았고 한두번 정도는 더 읽어서 체계를 잡고 싶다. 저자 하젤이 어느 그룹에 속해 있는지 알았다면 좀 더 책을 읽는데 좋은 안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의 마지막 장의 '신약신학에 관한 기본 제안들: 복합적 접근방법'의 내용에 동의한다. 본인에게 있어서 하젤은 복음주의적인 입장이 아닌 것 같다. 본인도 분류하자면 복음주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바 신약신학에 있어서 역사적-신학적 연구가 기초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약신학의 각각의 주제들이 신약의 전체를 다 포용하는데는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그 각각에 있어서 연구는 필요하며 특히 그 중에 좋다고 느껴지는 것은 구속사와 그리스도중심이다. 각각의 신약문헌별 신학이 연구되어져야 하며 이를 엮을 주제별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결국 신약신학은 다양성을 연구하되 그 가운데 통일성이 자연스레 뒤따르도록 하며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신약신학에 대한 매력을 느끼게 해주었다.
전반적으로 역사비평적 입장과 복음주의적 입장이 균형있게 잘 설명되어져 좋은 인상을 받았고 한두번 정도는 더 읽어서 체계를 잡고 싶다. 저자 하젤이 어느 그룹에 속해 있는지 알았다면 좀 더 책을 읽는데 좋은 안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의 마지막 장의 '신약신학에 관한 기본 제안들: 복합적 접근방법'의 내용에 동의한다. 본인에게 있어서 하젤은 복음주의적인 입장이 아닌 것 같다. 본인도 분류하자면 복음주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바 신약신학에 있어서 역사적-신학적 연구가 기초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약신학의 각각의 주제들이 신약의 전체를 다 포용하는데는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그 각각에 있어서 연구는 필요하며 특히 그 중에 좋다고 느껴지는 것은 구속사와 그리스도중심이다. 각각의 신약문헌별 신학이 연구되어져야 하며 이를 엮을 주제별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결국 신약신학은 다양성을 연구하되 그 가운데 통일성이 자연스레 뒤따르도록 하며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신약신학에 대한 매력을 느끼게 해주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구약신학] 출애굽기 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여호와의 표징과 모세의 애굽...
[구약신학] 출애굽기 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악질 · 독종 · 우박 재앙
[구약신학] 출애굽기 1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메뚜기와 흑암 재앙
[구약신학] 출애굽기 1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마지막 열 번째 재앙의 경고
[구약신학] 출애굽기 1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유월절 예식과 출애굽
[구약신학] 출애굽기 1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초태생 규례 및 불기둥과 구...
[구약신학] 출애굽기 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모세의 해방 요구와 바로의 핍박
[구약신학] 출애굽기 2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십계명
[구약신학] 출애굽기 2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종 · 살인 · 폭력 · 배상 등...
[구약신학] 출애굽기 2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절도 · 담보 · 간음 등에 관...
[구약신학] 출애굽기 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모세와 바로의 대결-피 재앙
[구약신학] 출애굽기 2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여호와와 백성간의 언약 체결
[구약신학] 출애굽기 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개구리 · 이 · 파리 재앙
[구약신학] 출애굽기 2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소와 성물들-법궤 · 떡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