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근과 정도전의 신분적 차이 (권근의 사상, 정도전의 사상, 신진사대부 분열에 따른 두 사람의 대립, 정도전의 정치적 행보, 권근의 정치적 행보, 후대의 평가).pptx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권근과 정도전의 신분적 차이 (권근의 사상, 정도전의 사상, 신진사대부 분열에 따른 두 사람의 대립, 정도전의 정치적 행보, 권근의 정치적 행보, 후대의 평가).pptx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권근과 정도전의 신분적 차이
2.권근의 사상
3.정도전의 사상
4.신진사대부 분열에 따른 두 사람의 대립
5.정도전의 정치적 행보
6.권근의 정치적 행보
7.후대의 평가

본문내용

권근과 정도전의
신분적 차이




두 사람의 신분차
╋━━━━━━━━━━──────────

1) 권근의 신분

 • 권부(권근의 조부) : 조선의 기반이 된 정주학(程朱學)을 공부해 들여옴

 • 권희(권근의 부) : 태조 때 검교좌정승-좌의정, 명예직-을 지냄

 • 권근 : 태조 때 초대 문형-홍문관, 예문관 정2품 대제학-이 됨




승려와 노비 사이에서 난 정도전의 외할머니
╋━━━━━━━━━━──────────

2) 정도전의 신분
 “우현보의 인척 중에 김진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일찍이 중이 되었는데 자신의 종이었던 수이의 아내와 몰래 간통하여 딸 하나를 낳았다. 김진은 후일 환속하여 수이를 내쫓고 그의 아내를 빼앗아 자기 아내로 삼게 된다. 그 후 김진은 성장한 딸을 우연에게 시집 보내고 노비와 땅, 집을 모두 주었다. 김진의 딸과 우연 사이에 딸 하나를 낳았는데 그녀는 정운경에게 시집 보냈다. 정운경은 벼슬을 오래 살아 형부상서에 이르렀으며 아들 셋을 두었는데 그 맏아들이 바로 정도전이다.”




정도전의 외할머니 비판
╋━━━━━━━━━━──────────

 • \"천한 혈통을 감추기 위해 본 주인을 제거하려고 모함했다.“

  -본 주인 : 정도전을 우현보 집안의 노비쯤으로 봄

  -정도전의 개혁운동을 천민의 피를 감추기 위한 ‘핏줄 콤플렉스’ 정도로 치부함




정도전의 신분과 사상
╋━━━━━━━━━━──────────

 • “조선은 귀족사회가 아닌 관료사회가 되어야한다.”

  -그 자신이 직접 고려말 귀족사회의 폐단을 목격함
  -그 자신이 신분적 한계 때문에 뜻을 펼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음
  -사농공상의 신분적 차이는 인정
  -지배계층에 한해서는 혈통에 의한 신분 차이를 주장하지않음




권근의 사상




철학사상-성리학
╋━━━━━━━━━━──────────

 [성리학의 기초를 닦은 학자]
 [핵심적인 사상: 경(敬)]
 [인간과 자연의 감응 관계를 인정하고 그 관계를 마음과 기를 매개로 설명]




교육사상
╋━━━━━━━━━━──────────

〔교육목적〕
 • 인간의 행동규범을 밝히는 명인륜(明人倫)을 통해 기질을 변화시켜 성인이 되는 것
 • 수양의 방법으로 존양(存養)과 성찰
 • 수양덕목으로 공, 근, 관, 신의 4덕목을 제시
 • \"인재는 국가의 명맥\"이라고 하여 인재양성을 내세움

〔교육방법〕
 • 근소(近少)를 먼저하고 원대(遠大)를 나중에 한다
 • 도표를 통한 시각적 교육의 효과를 시도 ☞입학도설

〓〓〓〓〓〓〓〓〓〓〓〓〓〓〓〓〓〓〓〓〓〓〓〓〓〓〓〓〓〓〓〓〓〓〓〓〓〓〓〓〓〓〓〓〓〓〓〓〓〓〓

교육목적
-인간의 행동규범을 밝히는 명인륜(明人倫)을 통해 기질을 변화시켜 성인이 되는 것
수양의 방법으로 존양(存養)과 성찰
수양덕목으로 공, 근, 관, 신의 4덕목을 제시
\"인재는 국가의 명맥\"이라고 하여 인재양성을 내세움
  • 가격3,300
  • 페이지수59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24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