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론]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만3~5세 유아들에게 공통된 교육과정을 실시하도록 한‘누리과정의 취지와 의의에 대해 조사하여 적고, 누리과정의 도입이 어린이집 영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교사론]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만3~5세 유아들에게 공통된 교육과정을 실시하도록 한‘누리과정의 취지와 의의에 대해 조사하여 적고, 누리과정의 도입이 어린이집 영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누리과정의 취지와 의의
1) 누리과정의 취지
2) 누리과정의 의의
2. 누리과정의 도입이 어린이집 영아(0~2세)에게 미치는 영향
3. 누리과정의 도입이 어린이집 영아 보육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육보호(educare)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만3~5세 유아들에게 공통된 교육과정을 실시하도록 한 ‘누리과정의 취지와 의의에 대해 조사하여 적고, 누리과정의 도입이 어린이집 영아(0~2세)와 영아 보육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기술해 보았다. 교사는 어린 영아도 학습 능력이 있어서 주변을 탐색하고, 언어를 배우고, 사물과 관계를 맺으면서 많은 것을 학습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영아도 이런 능력들을 저절로 학습하지는 않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함께 이루어진다. 즉, 먹기, 자기, 씻기, 옷 입기, 벗기, 화장실 사용하기, 놀기, 성인이나 또래와 상호작용하기 등과 같은 일련의 일상적인 활동이 모두 교육과정이다. 따라서 교사는 영아의 일상생활의 경험을 양질의 교육적 경험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사는 돌봄의 가치를 인식하고, 영아에게 주의를 기울이고 따뜻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되 일상생활에서 영아의 경험을 교육적 경험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한 영아의 행동을 적절히 허용하면서 긍정적인 인정을 해주고 애정을 표현함으로써 영아의 긍정적인 자아 형성을 도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서경혜(2005). 2세 영아의 구성 놀이에 관한 사례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손수연(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미영 (2011). 영아전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4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