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거짓말하는 행동>
◇서 론◇
◇본 론◇
1.행동수정이론
1)행동수정이론의 정의
2)관찰방법
3)보상의 종류
4)행동수정의 원리
2.사례연구
1)관찰대상
2)행동특성
3)관찰방법 및 시간
4)목표설정
5)보상의 설정
6)실험과정
7)실험결과
◇결 론◇
*참고문헌*
◇서 론◇
◇본 론◇
1.행동수정이론
1)행동수정이론의 정의
2)관찰방법
3)보상의 종류
4)행동수정의 원리
2.사례연구
1)관찰대상
2)행동특성
3)관찰방법 및 시간
4)목표설정
5)보상의 설정
6)실험과정
7)실험결과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관련 있는 책을 읽어 주었다.
-->1회 거짓말함.
*5일*
-4일과 동일하다.-->1회 거짓말함
*6일*
- 이번엔 좋아하는 음식만 주었는데 민희가 “엄마, 오늘 버섯구이 없어?그거 맛있는데..”라며 오히려 그 음식을 찾았다. 놀라운 변화였다. 밥을 다 먹고 엄마는 민희가 좋아하는 사탕과 칭찬을 해 주었다. -->거짓말 1회 함.
*7일,8일*
-이젠 쓰레기 통에 음식을 버리지 않고 다 억는 아이가 되었다.-->거짓말 안함.
--> 평균 약1회
(3)3단계: 잔번기간(3일)
이 단계에는 정적강화가 지난 뒤 그 효과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3일을 실시하였다. 민희가 거짓말 하는 것에 아무런 반응도 주지 않았고, 그에 따른 보상과 처벌도 하지 않았다.
1일은 거짓말 없이 다 먹었는데, 2,3일 지나니ㅏ 2번 거짓말을 하게 되었다.
(4)4단계: 재 강화 기간(7일)
강화의 효능을 검증이 되자, 거짓말도 많이 안 하세 되어서 강화했 던 걸 충분히 학습하게 다시 강화를 주었다. 다시 7일간 적용했던 이야기와 보상 그대로 민희에게 적용하고, 관찰하였다. 싫어하는 음식을 먹을 때마다 엄마는 “너무 잘먹네~”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고, 민희는 꼭꼭 씹어서 다 먹었다. 보상으로 사탕과 칭찬, 민희가 좋아하는 체조비디오를 틀어 주었다. 이러한 행동을 반복하여 민희의 거짓말을 사라졌다.
7)실험결과
횟
수 기초선기간 강화기간 반전기간 재 강화기간
3
2
1
0
51 6 71 3 일
3주간의 관찰로 민희의 거짓말은 물질적 보상과 사회적 보상, 또 활동의 보상, 물질적 보상으로 조금씩 사라졌다는 걸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물질적 보상이나 활동의 보상 보단 역사 사회적 보상이 아동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 고칠 수 있는 가장 큰 보상이란 걸 알게 된 것으로 이 연구를 마쳤다.
◇결 론◇
이처럼, 아동의 거짓말 하는 행위를 너무 다그치면 오히려 역효과를 줄 수 있다. 애정과 사랑으로 보살피고, 엄마도 이해한다는 식으로 말하면 사진의 잘못을 인정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때 아동을 혼내 키는 것이 아니라 그 용기에 더 칭찬 해 주고, 거짓말은 어떤 잘못보다 더 큰 잘못이라는 것도 알려줘야 한다.
거짓말 하는 행위를 없애므로 써 나중에 아동이 올바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줘야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명희 아동행동지도 -이론과 실제- 교육 아카데미 2014
-->1회 거짓말함.
*5일*
-4일과 동일하다.-->1회 거짓말함
*6일*
- 이번엔 좋아하는 음식만 주었는데 민희가 “엄마, 오늘 버섯구이 없어?그거 맛있는데..”라며 오히려 그 음식을 찾았다. 놀라운 변화였다. 밥을 다 먹고 엄마는 민희가 좋아하는 사탕과 칭찬을 해 주었다. -->거짓말 1회 함.
*7일,8일*
-이젠 쓰레기 통에 음식을 버리지 않고 다 억는 아이가 되었다.-->거짓말 안함.
--> 평균 약1회
(3)3단계: 잔번기간(3일)
이 단계에는 정적강화가 지난 뒤 그 효과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3일을 실시하였다. 민희가 거짓말 하는 것에 아무런 반응도 주지 않았고, 그에 따른 보상과 처벌도 하지 않았다.
1일은 거짓말 없이 다 먹었는데, 2,3일 지나니ㅏ 2번 거짓말을 하게 되었다.
(4)4단계: 재 강화 기간(7일)
강화의 효능을 검증이 되자, 거짓말도 많이 안 하세 되어서 강화했 던 걸 충분히 학습하게 다시 강화를 주었다. 다시 7일간 적용했던 이야기와 보상 그대로 민희에게 적용하고, 관찰하였다. 싫어하는 음식을 먹을 때마다 엄마는 “너무 잘먹네~”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고, 민희는 꼭꼭 씹어서 다 먹었다. 보상으로 사탕과 칭찬, 민희가 좋아하는 체조비디오를 틀어 주었다. 이러한 행동을 반복하여 민희의 거짓말을 사라졌다.
7)실험결과
횟
수 기초선기간 강화기간 반전기간 재 강화기간
3
2
1
0
51 6 71 3 일
3주간의 관찰로 민희의 거짓말은 물질적 보상과 사회적 보상, 또 활동의 보상, 물질적 보상으로 조금씩 사라졌다는 걸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물질적 보상이나 활동의 보상 보단 역사 사회적 보상이 아동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 고칠 수 있는 가장 큰 보상이란 걸 알게 된 것으로 이 연구를 마쳤다.
◇결 론◇
이처럼, 아동의 거짓말 하는 행위를 너무 다그치면 오히려 역효과를 줄 수 있다. 애정과 사랑으로 보살피고, 엄마도 이해한다는 식으로 말하면 사진의 잘못을 인정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때 아동을 혼내 키는 것이 아니라 그 용기에 더 칭찬 해 주고, 거짓말은 어떤 잘못보다 더 큰 잘못이라는 것도 알려줘야 한다.
거짓말 하는 행위를 없애므로 써 나중에 아동이 올바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줘야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명희 아동행동지도 -이론과 실제- 교육 아카데미 2014
추천자료
(아동행동연구) 영유아 치아, 두뇌, 신체적발달 보고서
(아동행동연구) 자아개념 자아발달 자아존중감 보고서
아동행동연구 (자아개념,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보고서
행동주의_이론과_아동의_학습형성
아동행동체크리스트
2013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아동관찰및행동연구]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특징, 주요 원리를 기술하고, 두 ...
아동관찰및행동연구)유아반 자유선택활동의 각 영역에서 통합적 연계(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