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90년대 복고바람
2. 복고를 선호하는 이유
3. 왜? 90년대의 복고일까?
4. 30대가 복고를 꿈꾸는 이유
5. 소비코드로서 복고
6. 결론
2. 복고를 선호하는 이유
3. 왜? 90년대의 복고일까?
4. 30대가 복고를 꿈꾸는 이유
5. 소비코드로서 복고
6. 결론
본문내용
현재 90년대 복고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과거에만 하더라도 심야 TV 음악프로그램에서나 복고를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영화 써니와 건축학개론이 흥행하면서 복고 코드가 하나의 트랜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 이후로 TV컨텐츠로는 과거 90년대에 전성기를 누린 가수들을 심사위원으로 기용한 오디션 프로그램인 슈퍼스타 K와 97년도를 배경으로 등장한 응답하라 1997이 성공적인 인기를 끌며 복고 트랜드를 이어 갔습니다. 음악 컨텐츠 로는 슈퍼스타 K에서 강승윤이 불렀던 윤종신의 본능적으로와 타 가수들이 불렀던 김광진의 편지가 현대사회에 와서 큰 인기를 끌어 복고 트랜드의 흐름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추천자료
새로운 문화 코드 “명품 신드롬”
아동소비 문화의 특징과 아동소비자 피해 사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소비주의 가치관의 차이
욕망,광고,소비의 문화사
사는 곳의 문화 -마을, 안채, 안방이라는 코드
로이스로제와그의아들,딸-현대 사회의 소비 문화와 다원화된 동일성의 강제양상에 대하여.
대중문화에 따른 소비
현대 소비사회 문화와 신상녀
커피 문화 속의 소비자 심리 및 마케팅 요소 - 스타벅스와 맥카페를 중심으로
[소비자행동] 타문화와 비교한 한국문화의 특징
[소비자행동론] 외식문화 - 왜 집에서 요리해 먹는 음식보다 밖에서 먹는 음식이 맛있게 느껴...
21세기 문화트랜드 읽기 리포트, 문화 소비 트랜드
한국 대중문화 속 롤리타(Lolita) 코드와 걸그룹의 소녀 성애적 이미지를 통해 본 성차적 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