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이이의 ‘격몽요결(擊蒙要訣)’ 내용 설명 및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擊蒙要訣)’ 내용 설명 및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3. 지신(持身)장
4. 독서(讀書)장

본문내용

들어 어느 때고 끊어짐이 없도록 하고, 남은 여가에 또한 역사책을 읽어 고금의 사변을 통달하여 식견을 신장시켜야 할 것이다. 이단이나 잡류로 바르지 못한 책 같은 경우는 잠깐 동안이라도 펼쳐 보아서는 안 된다.
권장 도서
각 서적에서 주목하고 실천해야 할 점
소학(小學)
*소학(小學)은 주자가 편찬한 아동교육서. 율곡이 「격몽요결」을 편찬한 취지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음
*소학을 읽음으로써, 사친(事親)·경형(敬兄)·충군(忠君)·제장(弟長)·융사(隆師)· 친우(親友)를 살피고 실천해야 함.
대학(大學)
대학혹문
(大學或問)
*궁리(窮理) : 이치를 탐구함 *정심(正心) : 마음을 바르게 함
*수기(修己) : 자기 수양 *치인(治人) : 남을 다스림
논어(論語)
*인(仁) : 공자의 핵심사상인 仁을 구해야 함
*위기지학(爲己之學) : 자신의 본질을 밝히기 위한 학문을 해야 함
*함양본원(涵養本原) : 타고난 바를, 자신의 끊임없는 배움을 통해 개발.
맹자(孟子)
*변의이(辨義利) : 의리와 이익을 분명히 분별할 것.
*존심양성(存心養性) : 욕망·인욕에 의해 본심을 해치는 일 없이, 하늘이 주신 본성을 키워나가야 함. 선천적으로 내재하는 도덕성을 기르는 일.
중용(中庸)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 인간의 본성은 하늘이 명한 것임을 알아야 함.
*중(中) : 희노애락의 감정이 아직 미발한 상태
*화(和) : 감정이 절도에 맞게 발하는 것*위육(位育)의 묘(妙) : 치중화의 결과로, 천지가 자리 잡고 만물이 자라남.
시경(詩經)
*성정의 바름과 바르지 못함, 선악에 대한 칭송과 징계에 대해 알아야 함.
이를 깊이 생각하여 선한 마음을 일으키고 악한 마음을 징계해야 함.
예경(禮經)
*예(禮) : 인간의 광범위한 행동규범을 가리킴. 주자는 ‘천리의 절문, 인사의 의칙’이라고 설명.
‘인사의 의칙‘이라 함은 사회생활의 규범을 뜻하고, ’천리의 절문‘이라 함은 이러한 인간생활의 규범이 천지자연의 질서와 부합해야 함을 의미.
서경(書經)
*옛 임금들의 정치방식을 통해, 정치의 큰 틀을 이해해야 함.
역경(易經)
*길흉·존망·진퇴·소장의 기미를 관찰하고 궁리함으로써, 변화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춘추(春秋)
*역사서인 춘추(春秋)는, 단순한 사실의 역사를 넘어서 옳고 그름·정의와 불의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담고 있음
*춘추를 읽으면서 성인이 선을 상주고, 악을 벌주는 뜻에 대해 깨달아야 함.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7.28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07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