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시브랜드의 정의
1) 도시브랜드의 정의
2) 브랜드 자산
3) 도시마케팅
2. 도시브랜드의 등장 배경 및 필요성
1) 도시브랜드의 등장배경
2) 도시브랜딩의 필요성
3) 도시브랜딩의 유형
4) 각 도시의 자립성 필요성증대
5) 이미지 자체가 중요하기 때문에
6) 도시에도 등수가 있다
3. 도시브랜드의 기능과 역할
1) 도시브랜드의 기능
2) 도시브랜드의 역할
4.도시브랜딩의 해외 사례
1)남아프리카 공화국
2) 홍콩
3) 일본의 요쿠하마
참고문헌
1) 도시브랜드의 정의
2) 브랜드 자산
3) 도시마케팅
2. 도시브랜드의 등장 배경 및 필요성
1) 도시브랜드의 등장배경
2) 도시브랜딩의 필요성
3) 도시브랜딩의 유형
4) 각 도시의 자립성 필요성증대
5) 이미지 자체가 중요하기 때문에
6) 도시에도 등수가 있다
3. 도시브랜드의 기능과 역할
1) 도시브랜드의 기능
2) 도시브랜드의 역할
4.도시브랜딩의 해외 사례
1)남아프리카 공화국
2) 홍콩
3) 일본의 요쿠하마
참고문헌
본문내용
탈은 도시슬럼화를 양성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는 곧 부동산 가격의 하락, 노동자와 거주민의 이탈이라는 문제로 이어져 도시재정에 압박을 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맞아 도시정부는 도시경제를 복원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게 되었으며 그 대안을 도시마케팅을 통한 투자유치에서 찾게 되었다 Blakely, E. J., Schutz, H., Harvey, \"Public Marketing: A Suggested Policy Planning Paradigm for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City\", Social Indicators Research, 4(May), 1997, pp. 163~184.
. 달리 해석하면 날로 쇠퇴일로에 있는 도시들은 도시의 재활성화를 위해서 새로운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차원에서 외생적인 발전전략보다는 내생적인 발전전략을 채택하게 되고 이러한 일환으로 지금까지 소홀하게 여겨왔던 자기 도시만이 지니고 있는 개성. 즉, 지역문화 등을 새로운 자원으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 한다 고민석, “도시이미지 경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pp. 19~20.
.
즉, 도시마케팅은 기존 도시의 부정적 이미지를 탈피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써 도시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도시경영의 주요한 전략이며 도시를 잠재적이고 매력적인 관심사가 되도록 하여 도시상품의 잠재고객인 기업과 투자자, 관광객, 거주민 등을 도시로 유인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 이미지의 긍정적 요소들을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Burgess, J, \"Selling Place Environmental Images for the Executive\", Regional Studies, Vol 16, 1982, pp. 11~17.
도시브랜드에 개한 관심이 집중된 것도 이러한 목적에 기초한 것이다. 즉, 도시가 타 도시와 비교할 수 없는 차별성을 가지더라도 이를 전달하지 못하면 도시상품 구매예정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기 때문에 도시가 가진 경쟁 요소를 다른 도시와 차별적이고 긍정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하였고 도시브랜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목적 하에 등장하게 되었다 김남정,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와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p. 13.
. 특히, 규모가 작은 도시나 지방자치단체는 크고 유명한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하다. 따라서 자신의 도시를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브랜드의 필요성이 더욱 더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도시의 개별적 특성은 모방할 수 있지만 도시를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브랜드는 모방할 수 없는 도시의 자산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시마케팅 차원에서 도시브랜드의 활용은 도시와 관련된 모든 요소들을 하나의 실체로 식별되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도시브랜딩의 목표는 도시의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며 이는 도시 간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강력한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2) 도시브랜딩의 필요성
국가 간의 경쟁의 시대에서 현대사회는 도시라는 지역사회가 경쟁의 중심이 되고 사회 전반적인 활동을 도모한다. 이전의 도시는 부정적인 회색의 이미지, 산업사회의 잔유물로 무차별적인 발전을 지향하는 공간이었다. 도시는 이러한 발전에 위기를 느끼고 있으며 맑고, 살기 좋은, 매력을 가진 곳으로 도시의 개념을 새롭게 변화·재생시키고 있다. 또한 사람들은 사회, 경제적인 욕구의 수준을 넘어 정신적이고 지적인 욕구의 만족을 필요로 한다. 도시의 사회적인 지위와 권위를 위해 거대한 빌딩숲을 이루기보다는 심리적인 안정, 시각적인 만족을 누릴 수 있는 안식처를 원하기 때문이다. 도시는 이제 시민들의 자아실현을 위한 문화공간이 되고 있다. 현대적 삶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공간이며 일상의 실현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국가와 언어의 장벽을 넘어 브랜드 가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간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며 도시브랜딩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도시브랜드는 특정한 도시의 자연환경, 역사, 문화, 정부 조직 등에 대해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며 일반 기업의 브랜드와 개념적으로 같은 맥락을 보인다. 도시구성원들은 도시의 이미지는 긍정적으로 유지, 발전시키는 것을 원하며 도시는 국내 · 외 산업의 유입과 각 도시 간의 우호관계를 위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노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표적 대상에게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은 대상의 인식률을 높이고 긍정적인 연상작용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시브랜드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브랜딩 과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각 도시만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전략의 초점과 방향을 요구하는 브랜딩은 도시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매력적인 산업의 추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시각적으로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쉽고 간결하게 계획하는 ‘디자인’은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도시의 정체성을 정의해 줄 수 있는 수단이자 방법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도시는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국제경쟁력의 격차가 평준화되고 있다. 따라서 차별화를 통한 도시경쟁력의 강화를 위해 도시브랜딩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디자인은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연계하여 그 도시에서 풍겨지는 뚜렷한 정체성을 표현하고 도시경쟁력 강화에 영향을 준다. 도시의 문화·경제적인 활성화를 위해 단기적인 눈속임을 하는 것이 아닌 각자 자신들의 위치에서 발전적인 대응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의 역사와 문화의 깊이를 더하는 동시에 현대적 매력을 가진 도시로 구조적인 변신을 일으키게 된다.
도시브랜드는 도시의 진실성을 보여준다. 도시 정체성을 구축하는 힘이 되고 있으며 신뢰의 척도가 되고 있다. 기업에서 브랜드는 막중한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진실이 전달될 수 있도록 신뢰를 줄 수 있는 능력인 신용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즉, 브랜드는 진실성에 대한 신뢰를 기초적으로 필요로 한다. 브랜드의 반
. 달리 해석하면 날로 쇠퇴일로에 있는 도시들은 도시의 재활성화를 위해서 새로운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차원에서 외생적인 발전전략보다는 내생적인 발전전략을 채택하게 되고 이러한 일환으로 지금까지 소홀하게 여겨왔던 자기 도시만이 지니고 있는 개성. 즉, 지역문화 등을 새로운 자원으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 한다 고민석, “도시이미지 경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pp. 19~20.
.
즉, 도시마케팅은 기존 도시의 부정적 이미지를 탈피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써 도시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도시경영의 주요한 전략이며 도시를 잠재적이고 매력적인 관심사가 되도록 하여 도시상품의 잠재고객인 기업과 투자자, 관광객, 거주민 등을 도시로 유인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 이미지의 긍정적 요소들을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Burgess, J, \"Selling Place Environmental Images for the Executive\", Regional Studies, Vol 16, 1982, pp. 11~17.
도시브랜드에 개한 관심이 집중된 것도 이러한 목적에 기초한 것이다. 즉, 도시가 타 도시와 비교할 수 없는 차별성을 가지더라도 이를 전달하지 못하면 도시상품 구매예정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기 때문에 도시가 가진 경쟁 요소를 다른 도시와 차별적이고 긍정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하였고 도시브랜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목적 하에 등장하게 되었다 김남정,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와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p. 13.
. 특히, 규모가 작은 도시나 지방자치단체는 크고 유명한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하다. 따라서 자신의 도시를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브랜드의 필요성이 더욱 더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도시의 개별적 특성은 모방할 수 있지만 도시를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브랜드는 모방할 수 없는 도시의 자산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시마케팅 차원에서 도시브랜드의 활용은 도시와 관련된 모든 요소들을 하나의 실체로 식별되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도시브랜딩의 목표는 도시의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며 이는 도시 간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강력한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2) 도시브랜딩의 필요성
국가 간의 경쟁의 시대에서 현대사회는 도시라는 지역사회가 경쟁의 중심이 되고 사회 전반적인 활동을 도모한다. 이전의 도시는 부정적인 회색의 이미지, 산업사회의 잔유물로 무차별적인 발전을 지향하는 공간이었다. 도시는 이러한 발전에 위기를 느끼고 있으며 맑고, 살기 좋은, 매력을 가진 곳으로 도시의 개념을 새롭게 변화·재생시키고 있다. 또한 사람들은 사회, 경제적인 욕구의 수준을 넘어 정신적이고 지적인 욕구의 만족을 필요로 한다. 도시의 사회적인 지위와 권위를 위해 거대한 빌딩숲을 이루기보다는 심리적인 안정, 시각적인 만족을 누릴 수 있는 안식처를 원하기 때문이다. 도시는 이제 시민들의 자아실현을 위한 문화공간이 되고 있다. 현대적 삶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공간이며 일상의 실현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국가와 언어의 장벽을 넘어 브랜드 가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간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며 도시브랜딩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도시브랜드는 특정한 도시의 자연환경, 역사, 문화, 정부 조직 등에 대해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며 일반 기업의 브랜드와 개념적으로 같은 맥락을 보인다. 도시구성원들은 도시의 이미지는 긍정적으로 유지, 발전시키는 것을 원하며 도시는 국내 · 외 산업의 유입과 각 도시 간의 우호관계를 위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노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표적 대상에게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은 대상의 인식률을 높이고 긍정적인 연상작용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시브랜드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브랜딩 과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각 도시만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전략의 초점과 방향을 요구하는 브랜딩은 도시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매력적인 산업의 추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시각적으로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쉽고 간결하게 계획하는 ‘디자인’은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도시의 정체성을 정의해 줄 수 있는 수단이자 방법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도시는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국제경쟁력의 격차가 평준화되고 있다. 따라서 차별화를 통한 도시경쟁력의 강화를 위해 도시브랜딩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디자인은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연계하여 그 도시에서 풍겨지는 뚜렷한 정체성을 표현하고 도시경쟁력 강화에 영향을 준다. 도시의 문화·경제적인 활성화를 위해 단기적인 눈속임을 하는 것이 아닌 각자 자신들의 위치에서 발전적인 대응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의 역사와 문화의 깊이를 더하는 동시에 현대적 매력을 가진 도시로 구조적인 변신을 일으키게 된다.
도시브랜드는 도시의 진실성을 보여준다. 도시 정체성을 구축하는 힘이 되고 있으며 신뢰의 척도가 되고 있다. 기업에서 브랜드는 막중한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진실이 전달될 수 있도록 신뢰를 줄 수 있는 능력인 신용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즉, 브랜드는 진실성에 대한 신뢰를 기초적으로 필요로 한다. 브랜드의 반
추천자료
[도시재개발][미국 사례]도시재개발의 개념, 도시재개발의 요건, 도시재개발의 분류, 도시재...
[도시재개발][재개발][재개발사업][도시재개발사업][도시재개발정책]도시재개발의 개념, 도시...
[도시재개발사업][도시재개발][재개발사업]도시재개발사업의 정의, 도시재개발사업의 목적, ...
[도시재개발사업][재개발사업][재개발]도시재개발사업의 개념, 필요성과 도시재개발사업의 과...
[도시재개발사업][재개발사업][도시재개발]도시재개발사업의 효과, 도시재개발사업의 분류, ...
[도시재개발사업][도시재개발정책]도시재개발사업의 정의, 도시재개발사업의 효과, 도시재개...
[생태도시]지속 가능한 친환경 생태도시의 정의와 특징 이해, 환경친화적 생태도시의 기능과 ...
[도시농업]도시농업의 필요성, 도시농업의 효과와 장점, 도시농업과 생태도시 활용사례(쿠바,...
[도시림]도시림이란? 도시림의 이해와 활용, 녹지공간 확보를 위한 도시림 조성방안, 도시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계획]행정중심복합도시의 원안과 현재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정안...
[도시림][도시림 개념][도시림 기능][도시림 현황][도시림 실태][도시림과 도시녹지][휴양자...
[도시공공서비스, 공공서비스, 도시서비스, 아파트관리서비스, 자원봉사자참여]도시공공서비...
[기업도시][기업도시 성장연합][기업도시 외국 사례]기업도시의 정의, 기업도시의 의의, 기업...
[기업도시][기업도시특별법][조세징수권]기업도시의 의미, 기업도시의 분류, 기업도시의 전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