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화범위의 결정
1. 발화건물의 한정
2. 발화 층의 한정
3. 참고문헌
1. 발화건물의 한정
2. 발화 층의 한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류의 이동경로에 따라서 소손현상과 주염 및 주연흔을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서 발화 실내에서 출화를 한 화류는 드래프트 효과(연돌효과)에 의하여 발화 실내의 계단을 통해서 위층으로 연소가 확대진행이 되는 과정에서 계단부의 상하좌우에 주염 및 주연흔과 가연물의 소훼현상을 남기게 되는데, 이들의 제반현상을 상하 좌우로 비교를 하며 관찰을 하여 화류(불길)가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타올라갔는지, 아니면 위층에서 불이 아래층으로 타내려왔는지를 판별을 한다.
3.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3.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