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플륨의 생성형태
2. 건물화재의 불길형태
3. 환기에 따른 소손상황
4. 출화와 발소흔
5. 참고문헌
2. 건물화재의 불길형태
3. 환기에 따른 소손상황
4. 출화와 발소흔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멍의 경사면을 시험하여 분석 확인해야 한다.
(1) 경사면이 구멍을 향하여 위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면 이는 화재가 위에서부터 발생했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2) 경사면이 바닥에서 더 넓고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위로 기울어져 있다면, 이는 화재가 아래에서부터 발생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3) 만약 화재가 표면을 통하여 위로 유동하였다면 관통면의 바닥부위의 손상도가 윗면보다 훨씬 더 강하고, 화재가 아랫방향으로 유동하였다면 그 반대형상이 될 것이다.
5.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1) 경사면이 구멍을 향하여 위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면 이는 화재가 위에서부터 발생했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2) 경사면이 바닥에서 더 넓고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위로 기울어져 있다면, 이는 화재가 아래에서부터 발생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3) 만약 화재가 표면을 통하여 위로 유동하였다면 관통면의 바닥부위의 손상도가 윗면보다 훨씬 더 강하고, 화재가 아랫방향으로 유동하였다면 그 반대형상이 될 것이다.
5.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