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계, 여타 화원의 부존재 입증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검토를 한 후에 화인인 1차 단락 여부를 판정을 한다.
(2) 발화지점 이외의 장소에서 단락에 의한 용흔이 발견될 때에는 화재 초기 연소의 확대과정에서 화염 및 화열에 의하여 전선피복이 절연파괴되어 발생한 2차 단락현상으로 판정을 하고 화인에서 배제를 하고, 동일회로에서 가장 가까운 직선거리에 있는 발화부의 한정을 위한 상황증거로 활용을 한다.
3) 단락에 의한 용흔이 2개소 이상에서 발견될 경우
(1) 단락흔이 동일회로에 2개소 이상 생성이 되어 있을 때에는 화인으로 배제되는 2차 단락으로 판정을 하고, 단락개소의 직하 등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발화부의 한정에 따른 상황증거로 한다.
(2) 단락흔적이 복수회로에서 다수가 발견될 경우에는 배선경로, 취급상황, 소훼현상에 따른 화류진행방향, 착화물의 연소 성향, 기타 화원의 존재 가능성 등을 종합하여 판단한다.
5.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2) 발화지점 이외의 장소에서 단락에 의한 용흔이 발견될 때에는 화재 초기 연소의 확대과정에서 화염 및 화열에 의하여 전선피복이 절연파괴되어 발생한 2차 단락현상으로 판정을 하고 화인에서 배제를 하고, 동일회로에서 가장 가까운 직선거리에 있는 발화부의 한정을 위한 상황증거로 활용을 한다.
3) 단락에 의한 용흔이 2개소 이상에서 발견될 경우
(1) 단락흔이 동일회로에 2개소 이상 생성이 되어 있을 때에는 화인으로 배제되는 2차 단락으로 판정을 하고, 단락개소의 직하 등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발화부의 한정에 따른 상황증거로 한다.
(2) 단락흔적이 복수회로에서 다수가 발견될 경우에는 배선경로, 취급상황, 소훼현상에 따른 화류진행방향, 착화물의 연소 성향, 기타 화원의 존재 가능성 등을 종합하여 판단한다.
5.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