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성것 작성하여 만들어서 A학점 받은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아요.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아요.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본문내용
gabe'는 놀이선물을 뜻한다. 즉, 신이 어린이들을 사랑하시어 주신 은혜로운 놀이선물이라는 뜻으로 종교적이고 낭만주의적인 교육사상을 반영한 것이다.
가. 은물의 구성 - 형체(제1은물 - 제6은물)
- 제1은물(색) : 털실로 짠 직경 6cm로 색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 6 개의 공
- 제2은물(형) : 나무로 만든 직경 6cm의 공 1개, 높이 6cm의 원통 1개, 한 변의 길이가 6cm인 정육면체 1개로 구성
- 제3은물(수) : 나무로 만든 한 변의 길이가 3cm인 작은 정육면체 8개
- 제4은물(넓이) : 한 변의 길이가 1.5cm, 3cm, 6cm인 직육면체 8개
- 제5은물(균형) : 한 변의 길이가 3cm인 정육면체 21개, 이 작은 정육면체를 2등분한 삼각주 6개, 다시 이 삼각주를 2등분한 작은 삼각주 12개 구성
- 제6은물(비례) : 제4은물과 모양이 똑같은 직육면체 18개, 그리고 이 직육면체를 가로와 세로를 2등분하여 얻은 직육면체 6개, 밑변의 길이가 6cm 높이가 1.5cm가 되게 자른 직육면체 12개로 구성
나. 면
- 제7은물 : 나무로 만든 각종 사각형과 삼각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금까지의 형체에서 면으로 발달시킨 것이다.
다. 선
- 제8은물 : 길이는 다양하며 금속이나 나무로 만든 가느다란 막대로 되어 있다.
라. 점
- 제9은물 : 콩, 작은 돌조각, 조개껍질, 그밖에 여러 가지 종자, 두꺼운 종이로 만든 작은 조각으로 되어 있다.
마. 재구조
- 제10은물 : 부드러운 완두콩, 초로 만든 작은 구형, 보리대, 가는 죽대로 되어 있다. 이들은 조립해서 면이나 형태를 조합한다.
(3) 작업(occupation)
프뢰벨은 은물 이외에 11종의 작업을 고안해 냈는데 이것은 교과서나 인쇄물을 주입식으로 가르쳤던 이전의 유아지도를 생각해 볼 때 획기적인 일이다.
가. 작업의 구성
<점> 제1작업 : 구멍 뚫기(perforating)
<선> 제2작업 : 바느질하기(sewing-out), 제3작업 : 그리기(drawing)
<면> 제4작업 : 색칠하기(coloring and painting),
제5작업 : 종이 말이 잇기(paper-interlacing)
제6작업 : 매트 짜기(mat-weaving)
제7작업 : 종이접기(paper-folding)
제8작업 : 오리기, 찢어 붙이기, 음영그림 만들기
(paper-cutting and mounting, free-cutting, sihouetting)
<형체> 제9작업 : 콩으로 만들기(pea-working),
제10작업 : 상자 만들기(carboard-modeling)
제11작업 : 찰흙놀이(modeling in clay)
* 작업품목은 적목 등 불변의 형을 한 사물과 달리 자유롭게 변형하여 작업을 사용해 어린이들 내면의 세계를 표현하는 것이다. 반면에 사물은 주로 조립이나 분해하는 활동을 통해 만물의 법칙적인 지식을 배양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은물과 작업의 가치
* 은물과 작업은 단순히 어린이의 신체를 육성하고 강화할 뿐 아니라, 내적인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자기를 표현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재료가 필요.
* 인간은 무엇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재료가 필요하다.
* 창조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재료는 유아의 본능적 창조충동을 만족시켜준다.
* 은물이 교육적 가치가 있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창조충동을 만족시켜준다’는 데 있다.
참고문헌
장현주, 이남주 외 저, 보육과정, 공동체 2014
권수정, 이은진 외 저, 보육과정, 공동체 2014
박찬옥, 김낙흥 외 저, 보육과정 정민사 2014
고문숙, 권민균 외 저, 보육과정, 양서원 2014
가. 은물의 구성 - 형체(제1은물 - 제6은물)
- 제1은물(색) : 털실로 짠 직경 6cm로 색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 6 개의 공
- 제2은물(형) : 나무로 만든 직경 6cm의 공 1개, 높이 6cm의 원통 1개, 한 변의 길이가 6cm인 정육면체 1개로 구성
- 제3은물(수) : 나무로 만든 한 변의 길이가 3cm인 작은 정육면체 8개
- 제4은물(넓이) : 한 변의 길이가 1.5cm, 3cm, 6cm인 직육면체 8개
- 제5은물(균형) : 한 변의 길이가 3cm인 정육면체 21개, 이 작은 정육면체를 2등분한 삼각주 6개, 다시 이 삼각주를 2등분한 작은 삼각주 12개 구성
- 제6은물(비례) : 제4은물과 모양이 똑같은 직육면체 18개, 그리고 이 직육면체를 가로와 세로를 2등분하여 얻은 직육면체 6개, 밑변의 길이가 6cm 높이가 1.5cm가 되게 자른 직육면체 12개로 구성
나. 면
- 제7은물 : 나무로 만든 각종 사각형과 삼각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금까지의 형체에서 면으로 발달시킨 것이다.
다. 선
- 제8은물 : 길이는 다양하며 금속이나 나무로 만든 가느다란 막대로 되어 있다.
라. 점
- 제9은물 : 콩, 작은 돌조각, 조개껍질, 그밖에 여러 가지 종자, 두꺼운 종이로 만든 작은 조각으로 되어 있다.
마. 재구조
- 제10은물 : 부드러운 완두콩, 초로 만든 작은 구형, 보리대, 가는 죽대로 되어 있다. 이들은 조립해서 면이나 형태를 조합한다.
(3) 작업(occupation)
프뢰벨은 은물 이외에 11종의 작업을 고안해 냈는데 이것은 교과서나 인쇄물을 주입식으로 가르쳤던 이전의 유아지도를 생각해 볼 때 획기적인 일이다.
가. 작업의 구성
<점> 제1작업 : 구멍 뚫기(perforating)
<선> 제2작업 : 바느질하기(sewing-out), 제3작업 : 그리기(drawing)
<면> 제4작업 : 색칠하기(coloring and painting),
제5작업 : 종이 말이 잇기(paper-interlacing)
제6작업 : 매트 짜기(mat-weaving)
제7작업 : 종이접기(paper-folding)
제8작업 : 오리기, 찢어 붙이기, 음영그림 만들기
(paper-cutting and mounting, free-cutting, sihouetting)
<형체> 제9작업 : 콩으로 만들기(pea-working),
제10작업 : 상자 만들기(carboard-modeling)
제11작업 : 찰흙놀이(modeling in clay)
* 작업품목은 적목 등 불변의 형을 한 사물과 달리 자유롭게 변형하여 작업을 사용해 어린이들 내면의 세계를 표현하는 것이다. 반면에 사물은 주로 조립이나 분해하는 활동을 통해 만물의 법칙적인 지식을 배양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은물과 작업의 가치
* 은물과 작업은 단순히 어린이의 신체를 육성하고 강화할 뿐 아니라, 내적인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자기를 표현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재료가 필요.
* 인간은 무엇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재료가 필요하다.
* 창조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재료는 유아의 본능적 창조충동을 만족시켜준다.
* 은물이 교육적 가치가 있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창조충동을 만족시켜준다’는 데 있다.
참고문헌
장현주, 이남주 외 저, 보육과정, 공동체 2014
권수정, 이은진 외 저, 보육과정, 공동체 2014
박찬옥, 김낙흥 외 저, 보육과정 정민사 2014
고문숙, 권민균 외 저, 보육과정, 양서원 2014
키워드
추천자료
유아교육과정이 구성요소 철학적, 심리적, 사회적 기초
유아교육과정의 개념 정의 및 대상
자연친화 프로젝트 - 유아 교육 - 프로젝트 접근법, 자연친화교육 계획안 구성
몬테소리의 아동교육관에 관한 연구
[몬테소리교육에 관해서 서술(철학적배경, 교육적의미와 내용, 교사역할, 교육적사사점)](A4 ...
독일의 보육제도 및 보육역사
레지오에밀리아교육(접근법)의 원리와 특징, 레지오에밀리아교육(접근법)의 구성주의 이론, ...
보육과정 중간
명신_중간_보육과정
부모연계 지역사회연계 사례
[몬테소리 교육 적용 시 비판적인 면] 유아교육 현장에서 몬테소리 교육의 적용 시 긍정적인 ...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프로젝트 접근법의 내용과 교수방법을 설명
현대 아동중심 보육에 영향을 미친 학자와 사상을 근거로 우리나라 보육 현장에서 더욱 강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