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Analysis(구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oogle Analysis(구글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Google의 성공 전략
Ⅱ. Google의 기업문화와 조직구조
Ⅲ. Google의 위기와 문제점
Ⅳ. Google의 향후 추구 전략
Ⅴ. Google의 미래 수익 모델
Ⅵ. Google의 한국 시장 진출 및 전략

본문내용

구매에 따른 부수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타 사이트에 비해 우수한 정보검색력을 유지하는 것도 꾸준한 방문자와 광고를 얻는데 매우 중요하다. 미래의 온라인 광고는 불특정다수를 향한 것이 아닌 정보이용자 개개인의 신상정보와 구매내역, 인터넷 검색기록을 바탕으로 그들의 소비성향과 선호도, 라이프 스타일을 세밀히 분석하여 맞춤형 광고로 나아가고 있다. Google은 이미 Gmail과 같은 서비스로 정보이용자들을 묶어두고 있기 때문에 검색기록, 구매 내역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 개개인에 맞는 선별적 표적화 광고를 꾀할 수 있다. 이는 광고주에게도 광고노출이 실제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소비자의 소비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긍정적이며, Google로서는 시장점유율을 늘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뿐더러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거부감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런 서비스의 제공은, Google이 미리 해결해야 할 정보유출의 문제도 수반한다. 정보이용자는 그들이 Google을 이용할 동안 유출된 개인정보가 수집되고 있는 것과, 그것이 Google의 이익을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그런 개인정보가 사용자의 동의 없이 표적화 광고를 위해 사용된다면 법적인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 semantic web과 같은 경우를 보더라도, 앞으로의 검색엔진이 더욱 customized 정보를 제공해주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이러한 표적화 광고는 불가피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표적화 광고와 customized information제공은 타 포털 사이트와는 달리 Google을 더욱 차별화된 검색 엔진으로 다시 한 번 자리매김하게 할 것이며, 경쟁우위를 지키는데 핵심이 될 것이다.
Ⅵ. Google의 한국 시장 진출 및 전략
Google은 지난해까지 50%이상의 세계 웹 시장을 장약했지만, 국내 시장 점유율은 1%에 불과했다. 실제로 Google은 한국 시장 진출에 매우 큰 진입장벽을 마주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부진한 성적을 예상하지 못했다. 한국에서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이 각 포털 사이트들이 한국 정보이용자들에게 특화된 서비스(다음의 경우는 동호회나 메일, 네이버 같은 경우는 지식인과 블로그 등을 들 수 있다)를 제공하여 customer의 switching cost를 매우 높였다. 때문에 Google은 지난 5월 한국에 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해 Gmail, 캘린더 등의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노력을 계속했으며 네티즌이 원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해 힘써 왔다. 하지만 기존의 한국 포털 사이트와 겨루기 위해서는 그들과는 또 다른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Google은 한국에서 새로운 포털 사이트로 자리매김하려고 노력하기보다, 미국에서처럼 강력한 검색엔진이 되기 위해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Lycos.com에서 볼 수 있듯이 높은 switching cost를 고려하지 않고 정보이용자들을 유도하려다가 실패하고만 사례를 번복해서는 안 된다. Google이 오늘날의 자리에 올라선 것은 뛰어난 검색 technology의 역할도 크지만 기존의 Yahoo와 같은 거대포탈사이트에 맞선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쪽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의 전략을 택했기 때문에 공격을 받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목표를 강력한 검색엔진으로 삼되, 정보이용자의 머무르는 시간을 늘려 revenue를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컨텐츠를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새로운 컨텐츠 개발을 위해 Google Earth, 유튜브, 번역 등 여러 서비스가 개발되었고, 엠엔캐스트, 엠군등과 콘텐츠분야 협력을 꾀하고 있다. 이런 콘텐츠 분야의 적극적인 개발은 Google이 현재 시장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는 네이버를 장기적으로는 이길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보이는데, 그 주된 원인은 네이버는 closed system, Google은 open system이라는 것에 있다. 네이버가 다음을 제치고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할 수 있었던 주요 원동력은 바로 지식인이라는 정보이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시스템에 있었다.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네이버가 지식인 데이터베이스를 열지 않았던 것이 지금의 네이버가 1위의 자리에 올라설 수 있게 한 요인이자, Google을 장기적으로는 앞설 수 없는 원인이 될 것이다. 즉, Google은 모든 정보를 열어놓은 open system이기 때문에 그 정보가 상상할 수 없이 방대하다. 네이버와 Google은 정보의 양과 질 측면에서 모두 비교할 수조차 없는 실정이다. 네이버는 지식인 시스템을 열 경우 주요 경쟁우위를 잃어버리고, 계속 닫아둘 경우 경쟁우위를 유지하기가 힘들어 지는 딜레마에 빠지고 말았다. 장기적으로 보면 네이버는 결국 open system으로 향할 수밖에 없고, Google은 정보검색 유용성 측면에서 네이버를 능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포털 사이트의 또 다른 문제는 정보의 질과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포털 사이트의 앞면에 게재되는 적지 않은 기사가 질적인 측면에서도 떨어지고 공정성도 부족하다. 주요 쟁점이 되는 이슈에서 한 쪽에 치우친 기사만 올라오는가 하면, 심지어는 연예인들의 일거수일투족에 대한 기사 등 가십거리에 불과한 기사도 수도 없이 올라온다. 이미 주요 포털 사이트의 뉴스 기사들은 네티즌의 신뢰성을 잃어버린 지 오래다. Google은 뉴스를 게재하는 것보다는 정보이용자들의 검색을 통해서 직접 원하는 이슈의 여러 논점을 제공해 주는데다 클릭 빈도수와 query에 맞는 순서로 나열된 정보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보다 나은 공정성과 투명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여 진다. 이러한 정보의 공정성은 Google이 검색엔진으로서의 경쟁우위를 유지하는 원동력이 된다.
현재, Google이 한국에서 가지고 있는 시장점유율은 미미하다. 하지만 open system이 가질 수 있는 정보의 방대한 양과 투명성, 공정성, 높은 수준의 질 등을 생각 할 때, 이들을 경쟁우위로 한국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점차 늘려나갈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8.22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