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외관계, 결혼제도의 그림자인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혼외관계, 결혼제도의 그림자인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혼외 관계의 정의
2. 혼외 관계의 전제조건
3. 혼외 관계의 유형
4. 혼외 관계의 현황
5. 혼외 관계의 사례
6. 혼외 관계의 원인
 1) 개인적 차원
 2) 부부 관계적 차원
 3) 환경적 원인
 4) 사회 구조적 원인
 5) 성별에 따른 차이
7. 혼외 관계의 영향과 결과
 1) 부부 관계에 미치는 영향
 2) 자녀 문제의 발생
 3) 사회적 역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국 얼마 안 가서 전모가 드러나게 되었죠. 자백을 하던 날밤 남편은 그간 자신이 외로웠었고, 그 아가씨를 만나니 색다른 느낌이었다고 하더라고요. 내가 아닌 다른 여자를, 그것도 20대 초반의 어린 여자를 만나니 색다른 느낌을 받는 것은 당연하겠죠. 그 말을 듣고 있자니 당신이 나를 안 믿으면 누가 나를 믿느냐?, 상대가 안 되는 여자를 놓고 왜 그렇게 힘들어하느냐?, 당신이 오해하는 줄 알면 그 아가씨가 얼마나 황당하겠느냐?...... 등등 그 동안 남편이 제게 했던 말들이 귓전을 때리며 사람이 그렇게 가증스러워 보일 수가 없었어요. 남편은 날이 새도록 끝없는 변명과 설득을 늘어놓았지만, 제 마음속에서는 이 남자가 말로 다시 나를 속여 넘기려 한다는 불신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남편을 용서하고 그냥 옛날처럼 아무 일도 없었던 듯이 돌아가 주면 이 남자는 그 아가씨와의 관계를 지속할 것이라는 의심이 하루에도 열 두 번씩 꿈틀거립니다. 정말 힘든 건 이 일을 눈치 챈 딸아이가 상처받을까 봐 엄마가 아빠를 오해했다고 거짓말을 하는 일이에요. 지금 확실한 건 제가 중심을 잘 잡고 남편을 정신 차리게 해야 한다는 것뿐인데, 애들 아빠를 원래대로 돌려놓을 수 있을까요? (주부 K씨, 37세)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위와 같은 상황이면 어느 누구나 암담할 것이다. 부정한 배우자보다는 대부분 배반을 당한 배우자 쪽의 피해가 훨씬 큰 것은 당연한 일이다. 서로 상대를 믿고 수년 내지 수십 년을 살아왔는데 배반을 당했을 경우의 정신적인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이혼소송과 자녀들의 문제 등 살아가면서 느끼는 배반감, 분도 등은 배반을 당한 경우의 배우자의 마음은 비록 많은 설명과 말을 하지 않아도 충분히 이해가 가고 남을 것이다.
(3) 결혼 생활
혼외 관계를 가졌던 배우자와 상대 배우자 양쪽 모두 피해자이고 결혼 생활에는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서로의 대한 믿음이 깨지면서 불신감을 갖고 살아가야 할 것이고, 두 배우자 사이의 자녀 또한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실제로 이혼을 하고 싶지만 자녀의 장래를 위하여 이혼을 결정하지 않고 살아가는 부부도 많다. 예전에는 여성의 경제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이혼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참 많았지만 요즘은 여성도 경제력이 있고, 또한 이혼율도 50%가 넘어가는 등 어쩌면 이혼을 최후의 수단으로 택하지 않는 듯한 느낌마저 주고 있다. 하지만 집안 문제, 가정 문제, 서로 간의 마음이 아직은 존재하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해결책을 찾고, 서로 용서하고 이해하면 살아가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고 그러한 가정들이 모두 예전 일을 없었던 것으로 하면서 살아가기는 참 힘들 것이다. 문득 혹은 매일같이 예전 일들이 떠오르기도 할 것이고, 믿음이 부족해지면서 갈등도 심화되어 장담하기는 힘들 것이다.
2. 자녀 문제의 발생
ㄱ. 혼외 관계에 의해 출생한 자녀....
외도로 인한 공식 출산율은 집계된 바가 없으나 독일의 시사 주간지 포거스에서는 영국 1.3%, 프랑스 2.8%, 스위스 1% 미만이며, 미국의 경우 백인의 1.5%, 그리고 흑인의 10%가 혼외 관계에 의해서 출생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렇게 태어난 자녀가 정상적으로 가정에 소속되어 지기란 매우 어렵다.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이러한 혼외 관계를 통해서 출생된 자녀는 그 시작부터가 불행인 것이다.
ㄴ. 혼외 관계로 파괴된 가정의 자녀....
혼외 관계의 영향중에서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가 바로 자녀 문제이다.
최근 ‘결혼을 꼭 할 필요가 있는가?’ 라는 생각을 가진 미혼 남녀들이 늘어나고 있다. 부모님의 결혼 생활이 자녀가 봤을 때 행복하지 않다는 판단이 자녀들의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져다주는 큰 원인이 된다. 한쪽 부모 중 어느 부모라도 혼외 관계가 자녀들의 눈에는 긍정적으로 비추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혼외 관계가 부부 관계를 갈라지게 하는 충분한 원인이 될 수도 있고 나아가서는 이혼까지도 할 수 있는 문제이므로 자녀에게는 상당한 악영향이 미칠 것이다. 또한 폭력이 그렇듯이 부모의 외도는 자녀의 외도로 이어지게 된다. 단지 그 당시의 문제뿐만 아니라 자식에 자식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적인 문제인 것이다. 실제로 혼외 관계의 문제가 생긴 가정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부모의 외도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으로 부모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지속적이고 심각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자녀에게는 잠시 스쳐 가는 바람이 아니라 가족을 통째로 휩쓸어 버릴 폭풍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다. 폭풍이 지나간 자리를 원상 복귀 하는 데에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리며, 영원히 불가능할 수도 있다.
3. 사회적 눈총
결혼 제도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우리나라는 그 중 일부일처제를 시행하고 있고, 또한 결혼은 법적으로 보장받는 제도이다. 이것은 배우자와의 성생활을 법적으로도 인정한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사회적으로 일반적인 시각은 혼외 관계는 대부분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혼외 관계를 이해하는 것과는 분명히 다른 것이다. 자신이 비록 혼외 관계의 경험이 있고, 어떠한 심정인지 안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는 잘못된 것이라는 인식은 분명히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하여 자신의 직장이나 주위 사람들에게 부적 정인 시각으로 다가오는 느낌은 평생을 살아가면서 받게 될 것이 틀림없다.
참고문헌
외도, 그후 : 사랑하는 이에게 상처받은 영혼을 위한 심리 치유서
Lustermas, Don- David
불륜의 사랑도 사랑인가? 아리카와 히로미
외도, 결혼 제도의 그림자인가 김예숙
엠파스 마이클럽 www.empas.com
여성동아 2004년 06월 01일 (486호) p.646 ~ 649
‘기혼 남녀의 혼외 관계에 대한 연구’ 양다진 성균관대 가정학과 석사 논문
지혜와 사랑 상담센터 www.counseling24.org
'2005년 한국판 킨제이 보고서’ 맥스무비와 ㈜미디어라인 코리아
혼외관계의 전제조건(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26).
한국 성의학연구소 조사-2004년
뉴스컴의 조사 결과-2004
‘수원 여성의 전화’조사-2004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4.08.22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