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설계] 직무설계(job design) - 직무전문화, 직무순환, 직무확대, 직무충실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직무설계] 직무설계(job design) - 직무전문화, 직무순환, 직무확대, 직무충실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직무설계

Ⅰ. 직무전문화

Ⅱ. 직무순환

Ⅲ. 직무확대

Ⅳ. 직무충실화

본문내용

대시켜 종업원 수를 감축하려 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4)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
10년대에 이르러 직무확대를 비판하는 학자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그들은 종업원에게 의미 없는 직무에, 의미 없는 과업요소가 추가된다면 그 직무는 작업자들에게 하등의 동기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여전히 단조롭고 의미 없는 작업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즉, 성숙한 종업원에게 심리적으로 중요한 것은 육체적 능력이 아니라 정신적 능력이라는 것이다.
직무충실화는 전통적인 직무설계방법과는 달리 직무성과가 직무수행에 따른 경제적 보상보다는 개인의 심리적 만족에 달려 있다는 전제하에 직무수행내용과 환경을 계설계하는 방법이다. 즉, 다양한 작업내용이 포함되고, 보다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고, 자신의 성과를 계획 지휘 통제할 수 있는 자주성과 책임을 보다 많이 부여하고, 개인적 성장과 의미 있는 작업경험에 대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끔 직무의 내용을 재편성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직무확대는 직무를 수평적으로 늘려서 부과한다는 점에서 수평적 직무확대라고 하며, 직무충실화는 직무를 수직적으로 늘려서 부과한다고 하여 수직적 직무확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대개의 경우에 있어서 직무충실화는 직무의 수평적 확대와 수직적 확대를 동시에 도모하고 있다.
직무충실화 이론은 매슬로우, 아지리스, 허쯔버그 등 많은 행동과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특히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 중 상위수준의 욕구와 허즈버그의 이 요인이론 중 동기유발요인, 맥클리랜드가 제시한 성취욕구이론의 3가지 욕구 중 성취욕구 등에서 이론적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8.22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