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장
2. 심장검사
3. 선천성 심장질환
4. 선천성 심장질환의 임상적 결과
5. 후천성 심장질환
6. 심장이식
2. 심장검사
3. 선천성 심장질환
4. 선천성 심장질환의 임상적 결과
5. 후천성 심장질환
6. 심장이식
본문내용
장 이식
- Norwood 수술의 위험이 높으며 일차로 이 수술에 성공하더라도 후에 Fontan 수술까지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는 가능성이 아직은 낮으므로 병원에 따라서는 좌심 형성 부전 증후군 신생아에서 Norwood 수술 대신 처음부터 심장 이식을 하기도 한다.
선천성 심장질환의 임상적 결과
1. 울혈성 심부전
= 울혈성 심부전
: 신체 대사요구량에 맞는 적절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장의 기능부전
1) 병태 생리
① 우측부전
- 우심실은 혈액을 폐동맥으로 박출 할 수 없어 그 결과로 폐의 산소포화된 혈액량이 줄고 우심방과 체정맥순환의 압력이 증가한다. 체정맥의 압력증가는 사지의 부종과 장기의 부종을 초래한다.
② 좌측부전
- 좌심실은 혈액을 체순환 쪽으로 박출할 수 없고, 그 결과로 좌심방과 폐정맥의 압력이 증가된다.
⇒ 폐는 혈액으로 울혈되고 폐의 압력이 증가되며 폐수종 발생
= 임상 증상
- 손상된 심근 기능
: 빈맥, 발한, 소변량 감소, 피로, 허약감, 식욕부진, 창백, 간소된 혈압, 심비대
- 폐울혈
: 빈호흡, 늑간함몰, 비익확장, 운동불내성, 기좌호흡, 기침, 쉰목소리, 천명음
- 체정맥성 울혈
: 체중증가, 간비대, 말초부종, 복수, 경정맥 확장
2) 치료
= 치료의 목적 : 심장기능을 개선시키고, 축적된 체액과 염분의 제거, 심장의 요구를 감소시키고, 조직의 산소포화도를 향상시키는 것
① 심장기능을 향상시킨다.
- digitalis 투여 : 심박출량 증가, 심장크기 감소, 정맥압 감소, 부종 경감
- 소아에게는 digoxin 사용 : 독성의 위험이 적기 때문
② 축적된 체액과 염분을 제거
- 이뇨제, 수분제한, 가능한 염분 제한
- furosemide와 thiazides는 칼륨을 잃게 하는 이뇨제이므로 칼륨 보충분이 처방되어야 함
- 식이는 보통 식탁염의 추가를 피하고 염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③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킨다.
- 신체적 활동을 제한, 체온을 보존, 감염을 통제, 호흡시 노력을 줄임
④ 조직의 산소화를 증진시킨다.
- 심근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조직의 산소요구량을 줄임으로써 조직의 산소포화도를 증가시킨다.
- 적혈구의 산소운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분을 투여
- 흡기동안의 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게 습화된 산소를 공급
- 찬 습기의 양은 과도환기와 오한을 막기위해 세심하게 조절되어야 함
3) 간호 수행
① 심장기능을 개선한다.
②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킨다.
③ 호흡곤란을 완화시킨다.
④ 적절한 영양상태 유지시킨다.
⑤ 체액배출을 증진시킨다.
⑥ 환아와 가족을 지지한다.
후천성 심장질환
1. 감염성 심내막염
- 심장 판막이나 내벽 감염인 심내막염은 심장합병증 중에서 가장 심각하며 아동기에 흔함
1) 병태생리
- 상처부위에서 림프절을 따라
- 감염된 혈전이 전신 순환을 통해
- 외과적 처치나 상처로 인해 말초순환으로 들어온 감염된 물질에 의해 감염됨
→ 감염 후 조직의 증식이 심내막의 약해진 부위에 형성
→ 조직 증식은 혈소판, 피브린, 피브린성 물질의 축적으로 구성
→ 감염성 심내막염
2) 임상 증상
- 점진적인 발병, 원인불명의 열
- 식욕부진, 권태감, 체중감소
- 손톱아래의 출혈, Osler 결절, 구강점막의 점상 출혈
- 심부전, 부정맥, 심잡음
3) 치료
: 4주간 정맥이나 근육으로 대량의 항생제를 투여
4) 간호
- 계속되는 정맥주입, 혈액배양을 위한 여러 번의 정맥천자에 대해 환아를 준비시킴
- 항생제의 부작용을 관찰
- 색전이나 심부전 같은 합병증 관찰
2. 류마치스 열
- 심장, 관절, 중추신경계, 피하조직을 침번하는 염증성 질환
1) 임상증상
- 미열, 비출혈, 복통, 관절통, 허약, 피로, 창백, 식욕감퇴, 체중감소
- 빈맥, 심비대, 심잡음, 약한 심음, 마찰음, 심장부위의 동통
- 다발성 관절염, 홍반성 반점, 무도병, 피하결절
2) 치료
= 목표
- Group A-hemolytic streptococci의 제거
- 영구적인 심장의 손상 방지
- 증상의 완화, 재발 방지
= penicillin을 근육 주사하거나 경구로 10일간 투여
3) 간호
= 목적
- 질병으로부터 회복을 촉진, 투약을 잘 따르도록 격려
- 정서적 지지를 제공, 1차적, 2차적 예방
심 장 이 식
= 심장 이식 수술 : 여러 가지 원인으로 심장의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어 있고 회복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환자의 심장을 제거하고 다른 사람의 심장을 옮겨 심는 수술입니다.
= 임상 적응증이 다양하다는 것은 성인 심장이식 수혜자의 진단이 대부분 확장성 심근증 (Dilated Cardiomyopathy, DCMP) 인데 반하여, 소아 연령의 심장 이식 대상자의 임상 적응은 교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복잡 심기형, 절제 불가능한 심장 종양, 선천성 심기형 교정 수술 후 생긴 심근증 등 여러 가지 심장 질환에 심장이식 수술이 시행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심장이식은 동종이식 수술이거나 이종이식 수술일 수 있다.
= 동종 심장 이식
- 환자의 심장을 제거하고 기증자에게서 받은 심장을 새로 이식하는 것
- 기증자는 주로 뇌사상태이거나 건강한 심장을 가지고 있는 경우
- 기증자와 수혜자 모두 체중과 혈액형이 맞아야 한다
= 이종 심장 이식
- 수혜자의 심장은 그대로 놔두고 새 심장이 또 다른 펌프 혹은 piggy back 심장이 되도록 하는 것
- 심장이식은 아동에서는 드물다
= 이식하기 전 간호
- 장기를 제공받으려고 하는 환자는 다른 기관에 문제가 있는지 먼저 확인을 해야 함
- 다른 기관의 문제가 이식에서 위험요소를 가중시키거나 이식을 못하게 할 수도 있다.
- 심리적으로 환자와 가족을 사정해야 하는데 이것은 이식 후에 일어날 합병증에 대하여 인정할 수 있어야 하고, 또 이식 후 필요한 지지체계를 갖추기 위해서이다.
- 환자들의 이름은 장기이식센터에 올리고 적당한 기증자와 수혜자를 물색한다
= 출처 =
아동간호학 각론(1999) 저자 김미예 외 11명 - 수문사
http://web.edunet4u.net/~ourbody/4-c.htm
http://www.iloveheart.org/main/ 서울아산병원 소아심장과
- Norwood 수술의 위험이 높으며 일차로 이 수술에 성공하더라도 후에 Fontan 수술까지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는 가능성이 아직은 낮으므로 병원에 따라서는 좌심 형성 부전 증후군 신생아에서 Norwood 수술 대신 처음부터 심장 이식을 하기도 한다.
선천성 심장질환의 임상적 결과
1. 울혈성 심부전
= 울혈성 심부전
: 신체 대사요구량에 맞는 적절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장의 기능부전
1) 병태 생리
① 우측부전
- 우심실은 혈액을 폐동맥으로 박출 할 수 없어 그 결과로 폐의 산소포화된 혈액량이 줄고 우심방과 체정맥순환의 압력이 증가한다. 체정맥의 압력증가는 사지의 부종과 장기의 부종을 초래한다.
② 좌측부전
- 좌심실은 혈액을 체순환 쪽으로 박출할 수 없고, 그 결과로 좌심방과 폐정맥의 압력이 증가된다.
⇒ 폐는 혈액으로 울혈되고 폐의 압력이 증가되며 폐수종 발생
= 임상 증상
- 손상된 심근 기능
: 빈맥, 발한, 소변량 감소, 피로, 허약감, 식욕부진, 창백, 간소된 혈압, 심비대
- 폐울혈
: 빈호흡, 늑간함몰, 비익확장, 운동불내성, 기좌호흡, 기침, 쉰목소리, 천명음
- 체정맥성 울혈
: 체중증가, 간비대, 말초부종, 복수, 경정맥 확장
2) 치료
= 치료의 목적 : 심장기능을 개선시키고, 축적된 체액과 염분의 제거, 심장의 요구를 감소시키고, 조직의 산소포화도를 향상시키는 것
① 심장기능을 향상시킨다.
- digitalis 투여 : 심박출량 증가, 심장크기 감소, 정맥압 감소, 부종 경감
- 소아에게는 digoxin 사용 : 독성의 위험이 적기 때문
② 축적된 체액과 염분을 제거
- 이뇨제, 수분제한, 가능한 염분 제한
- furosemide와 thiazides는 칼륨을 잃게 하는 이뇨제이므로 칼륨 보충분이 처방되어야 함
- 식이는 보통 식탁염의 추가를 피하고 염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③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킨다.
- 신체적 활동을 제한, 체온을 보존, 감염을 통제, 호흡시 노력을 줄임
④ 조직의 산소화를 증진시킨다.
- 심근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조직의 산소요구량을 줄임으로써 조직의 산소포화도를 증가시킨다.
- 적혈구의 산소운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분을 투여
- 흡기동안의 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게 습화된 산소를 공급
- 찬 습기의 양은 과도환기와 오한을 막기위해 세심하게 조절되어야 함
3) 간호 수행
① 심장기능을 개선한다.
②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킨다.
③ 호흡곤란을 완화시킨다.
④ 적절한 영양상태 유지시킨다.
⑤ 체액배출을 증진시킨다.
⑥ 환아와 가족을 지지한다.
후천성 심장질환
1. 감염성 심내막염
- 심장 판막이나 내벽 감염인 심내막염은 심장합병증 중에서 가장 심각하며 아동기에 흔함
1) 병태생리
- 상처부위에서 림프절을 따라
- 감염된 혈전이 전신 순환을 통해
- 외과적 처치나 상처로 인해 말초순환으로 들어온 감염된 물질에 의해 감염됨
→ 감염 후 조직의 증식이 심내막의 약해진 부위에 형성
→ 조직 증식은 혈소판, 피브린, 피브린성 물질의 축적으로 구성
→ 감염성 심내막염
2) 임상 증상
- 점진적인 발병, 원인불명의 열
- 식욕부진, 권태감, 체중감소
- 손톱아래의 출혈, Osler 결절, 구강점막의 점상 출혈
- 심부전, 부정맥, 심잡음
3) 치료
: 4주간 정맥이나 근육으로 대량의 항생제를 투여
4) 간호
- 계속되는 정맥주입, 혈액배양을 위한 여러 번의 정맥천자에 대해 환아를 준비시킴
- 항생제의 부작용을 관찰
- 색전이나 심부전 같은 합병증 관찰
2. 류마치스 열
- 심장, 관절, 중추신경계, 피하조직을 침번하는 염증성 질환
1) 임상증상
- 미열, 비출혈, 복통, 관절통, 허약, 피로, 창백, 식욕감퇴, 체중감소
- 빈맥, 심비대, 심잡음, 약한 심음, 마찰음, 심장부위의 동통
- 다발성 관절염, 홍반성 반점, 무도병, 피하결절
2) 치료
= 목표
- Group A-hemolytic streptococci의 제거
- 영구적인 심장의 손상 방지
- 증상의 완화, 재발 방지
= penicillin을 근육 주사하거나 경구로 10일간 투여
3) 간호
= 목적
- 질병으로부터 회복을 촉진, 투약을 잘 따르도록 격려
- 정서적 지지를 제공, 1차적, 2차적 예방
심 장 이 식
= 심장 이식 수술 : 여러 가지 원인으로 심장의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어 있고 회복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환자의 심장을 제거하고 다른 사람의 심장을 옮겨 심는 수술입니다.
= 임상 적응증이 다양하다는 것은 성인 심장이식 수혜자의 진단이 대부분 확장성 심근증 (Dilated Cardiomyopathy, DCMP) 인데 반하여, 소아 연령의 심장 이식 대상자의 임상 적응은 교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복잡 심기형, 절제 불가능한 심장 종양, 선천성 심기형 교정 수술 후 생긴 심근증 등 여러 가지 심장 질환에 심장이식 수술이 시행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심장이식은 동종이식 수술이거나 이종이식 수술일 수 있다.
= 동종 심장 이식
- 환자의 심장을 제거하고 기증자에게서 받은 심장을 새로 이식하는 것
- 기증자는 주로 뇌사상태이거나 건강한 심장을 가지고 있는 경우
- 기증자와 수혜자 모두 체중과 혈액형이 맞아야 한다
= 이종 심장 이식
- 수혜자의 심장은 그대로 놔두고 새 심장이 또 다른 펌프 혹은 piggy back 심장이 되도록 하는 것
- 심장이식은 아동에서는 드물다
= 이식하기 전 간호
- 장기를 제공받으려고 하는 환자는 다른 기관에 문제가 있는지 먼저 확인을 해야 함
- 다른 기관의 문제가 이식에서 위험요소를 가중시키거나 이식을 못하게 할 수도 있다.
- 심리적으로 환자와 가족을 사정해야 하는데 이것은 이식 후에 일어날 합병증에 대하여 인정할 수 있어야 하고, 또 이식 후 필요한 지지체계를 갖추기 위해서이다.
- 환자들의 이름은 장기이식센터에 올리고 적당한 기증자와 수혜자를 물색한다
= 출처 =
아동간호학 각론(1999) 저자 김미예 외 11명 - 수문사
http://web.edunet4u.net/~ourbody/4-c.htm
http://www.iloveheart.org/main/ 서울아산병원 소아심장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