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통량과 교통밀도
1.1 교통량과 교통밀도, 첨두시간계수
1.2 속도와 설계속도
1.3 교통량 변동 특성
1.4 교통량의 증가요인
1.5 도로계획 및 설계에 적용되는 교통량
2. 교통용량
2.1 교통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2 서비스 수준
3. 차로수 결정
1.1 교통량과 교통밀도, 첨두시간계수
1.2 속도와 설계속도
1.3 교통량 변동 특성
1.4 교통량의 증가요인
1.5 도로계획 및 설계에 적용되는 교통량
2. 교통용량
2.1 교통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2 서비스 수준
3. 차로수 결정
본문내용
5:00 ~ 5:15
5:15 ~ 5:30
5:30 ~ 5:45
5:45 ~ 6:00
교통량
1,000
1,100
1,200
900
- 평균교통량 = (1000+1100+1200+900)/4 = 1050
- 첨두시간계수 = 1050/1200 = 0.875
1.2 속도와 설계속도
- 시간평균속도 : 어느 지점을 일정기간 내에 통과하는 차량들의 지점속도를 산술 평균한 것
- 공간평균속도 : 어느 순간에 일정 구간 내에 있는 각 차량의 속도를 평균한 것
여기서, U = 공간평균속도
Si = 주어긴 졍로에서 차량 i의 주행거리
Mi = 주어진 경로에서 차량 i의 주행시간
- 설계속도
;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의 규격 및 형태를 설계하며 이들을 상호 관련시키기 위하여 정해진 속도
; 도로의 설계요소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조건하에서 평균적으로 운전자가 어느 구간에서 쾌적성을 잃지 않고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속도
⇒ 도로 기하구조(곡선반경, 편구배, 시거, 차선, 길어깨 폭 등) 결정의 기본이 되는 속도
도로구분
설계속도 (km/hr)
지방지역
도시지역
평지
산지
고속도로
120
100
100
일반도로
주 간선도로
보조 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80
70
60
50
60
50
40
40
80
60
50
40
주) 지형의 복잡성을 고려한 경제성 확보와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위해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위의 기준에서 20km/hr를 뺀 속도를 설계속도로 할 수 있다.
o 속도와 밀도의 관계
o 교통량과 속도의 관계
- Qmax : 교통용량
- 교통량이 최대일때의 교통밀도를 임계밀도라 함
o 교통량과 밀도
1.3 교통량 변동 특성
1) 교통량의 시간적 변동 특성 (K)
- 계절변동, 월변동 (월 변동계수)
- 요일변동 (요일 변동계수)
- 일변동
- 24시간 내의 변동
2) 교통량의 공간적 변동 특성
- 방향별 특성 : 중방향 교통량(D)
- 차로별 특성 : 차로계수(DL)
1.4 교통량의 증가요인
o 자연 증가 교통량 : 일반 경제발전에 수반되는 자동차 대수의 증가
o 유발 교통량 : 교통체증으로 억제된 교통이 교통시설이 개선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량, 도로개량후 1~2년내 발생
o 개발 교통량 : 신설도로 개통후 연도지역 개발에 의해 새로이 발생되는 교통량
1.5 도로계획 및 설계에 적용되는 교통량
- 도로계획에 적용하는 교통량 : 연평균일교통량(AADT)
- 설계에 적용하는 교통량 : 설계시간교통량(DHV)
1) 연교통량 : 1년 동안 어떤 도로의 한 단면을 통과하는 차량의 총 대수
2) 연평균 일교통량 (AADT : Average Annual Daily Traffic Volume)
- 연교통량/365
- 연교통량을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정 시간에서 단기간의 교통량을 조사하여 교통량 변화 특성을 고려하여 추정
- 우리나라는 10월 하순에서 11월 중순에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관측
- 월변동, 요일변동, 24시간 내의 변동을 고려하여 AADT 추정
3) 설계시간 교통량 (DHV : Design Hourly Volume)
- 도로설계의 기초가 되는 교통량
- AADT에서 교통의 시간적 변동을 고려
여기서, K = (실측된 시간 교통량)/(AADT) , 그림 참조
- 일반도로의 경우 30번째 시간 교통량 사용 : K30 적용
- 교통량의 계절적 변화가 심한 관광도로의 경우에는 K100 적용
우리나라의 평균 설계시간계수
도 로 구 분
설계시간계수
2 차로 도로
고속도로
일반국도
0.07~0.1
0.12~0.18
고 속 도 로
지방지역
도시지역
0.12~0.18
0.07~0.11
4) 방향별 설계시간 교통량 (DDHV : Directional Design Hourly Volume)
예) 계획목표년도인 20년 후의 AADT = 40,000대/일, K30 = 10%, D=60% 일 때 DDHV 는 얼마인가?
2. 교통용량
교통용량 : 주어진 도로, 교통 및 교통통제 조건하에서 일정 시간동안 한 도로구간 또는 한 지점을 무리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기대되는 최대시간 교통량
2.1 교통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 도로조건 : 차로 폭, 차로 수, 길어깨 폭, 선형, 측방여유, 설계속도
2) 교통조건 : 교통량의 차종별 구성, 차로별 분포, 방향별 분포
3) 교통통제조건 : 운용중인 교통통제의 형태, 법규
2.2 서비스 수준
구분
지방지역
도시지역
자동차전용도로
일반도로
C
D
D
D
3. 차로수 결정
o 서비스 교통량 산정
- 유인물 참조
5:15 ~ 5:30
5:30 ~ 5:45
5:45 ~ 6:00
교통량
1,000
1,100
1,200
900
- 평균교통량 = (1000+1100+1200+900)/4 = 1050
- 첨두시간계수 = 1050/1200 = 0.875
1.2 속도와 설계속도
- 시간평균속도 : 어느 지점을 일정기간 내에 통과하는 차량들의 지점속도를 산술 평균한 것
- 공간평균속도 : 어느 순간에 일정 구간 내에 있는 각 차량의 속도를 평균한 것
여기서, U = 공간평균속도
Si = 주어긴 졍로에서 차량 i의 주행거리
Mi = 주어진 경로에서 차량 i의 주행시간
- 설계속도
;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의 규격 및 형태를 설계하며 이들을 상호 관련시키기 위하여 정해진 속도
; 도로의 설계요소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조건하에서 평균적으로 운전자가 어느 구간에서 쾌적성을 잃지 않고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속도
⇒ 도로 기하구조(곡선반경, 편구배, 시거, 차선, 길어깨 폭 등) 결정의 기본이 되는 속도
도로구분
설계속도 (km/hr)
지방지역
도시지역
평지
산지
고속도로
120
100
100
일반도로
주 간선도로
보조 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80
70
60
50
60
50
40
40
80
60
50
40
주) 지형의 복잡성을 고려한 경제성 확보와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위해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위의 기준에서 20km/hr를 뺀 속도를 설계속도로 할 수 있다.
o 속도와 밀도의 관계
o 교통량과 속도의 관계
- Qmax : 교통용량
- 교통량이 최대일때의 교통밀도를 임계밀도라 함
o 교통량과 밀도
1.3 교통량 변동 특성
1) 교통량의 시간적 변동 특성 (K)
- 계절변동, 월변동 (월 변동계수)
- 요일변동 (요일 변동계수)
- 일변동
- 24시간 내의 변동
2) 교통량의 공간적 변동 특성
- 방향별 특성 : 중방향 교통량(D)
- 차로별 특성 : 차로계수(DL)
1.4 교통량의 증가요인
o 자연 증가 교통량 : 일반 경제발전에 수반되는 자동차 대수의 증가
o 유발 교통량 : 교통체증으로 억제된 교통이 교통시설이 개선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량, 도로개량후 1~2년내 발생
o 개발 교통량 : 신설도로 개통후 연도지역 개발에 의해 새로이 발생되는 교통량
1.5 도로계획 및 설계에 적용되는 교통량
- 도로계획에 적용하는 교통량 : 연평균일교통량(AADT)
- 설계에 적용하는 교통량 : 설계시간교통량(DHV)
1) 연교통량 : 1년 동안 어떤 도로의 한 단면을 통과하는 차량의 총 대수
2) 연평균 일교통량 (AADT : Average Annual Daily Traffic Volume)
- 연교통량/365
- 연교통량을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정 시간에서 단기간의 교통량을 조사하여 교통량 변화 특성을 고려하여 추정
- 우리나라는 10월 하순에서 11월 중순에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관측
- 월변동, 요일변동, 24시간 내의 변동을 고려하여 AADT 추정
3) 설계시간 교통량 (DHV : Design Hourly Volume)
- 도로설계의 기초가 되는 교통량
- AADT에서 교통의 시간적 변동을 고려
여기서, K = (실측된 시간 교통량)/(AADT) , 그림 참조
- 일반도로의 경우 30번째 시간 교통량 사용 : K30 적용
- 교통량의 계절적 변화가 심한 관광도로의 경우에는 K100 적용
우리나라의 평균 설계시간계수
도 로 구 분
설계시간계수
2 차로 도로
고속도로
일반국도
0.07~0.1
0.12~0.18
고 속 도 로
지방지역
도시지역
0.12~0.18
0.07~0.11
4) 방향별 설계시간 교통량 (DDHV : Directional Design Hourly Volume)
예) 계획목표년도인 20년 후의 AADT = 40,000대/일, K30 = 10%, D=60% 일 때 DDHV 는 얼마인가?
2. 교통용량
교통용량 : 주어진 도로, 교통 및 교통통제 조건하에서 일정 시간동안 한 도로구간 또는 한 지점을 무리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기대되는 최대시간 교통량
2.1 교통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 도로조건 : 차로 폭, 차로 수, 길어깨 폭, 선형, 측방여유, 설계속도
2) 교통조건 : 교통량의 차종별 구성, 차로별 분포, 방향별 분포
3) 교통통제조건 : 운용중인 교통통제의 형태, 법규
2.2 서비스 수준
구분
지방지역
도시지역
자동차전용도로
일반도로
C
D
D
D
3. 차로수 결정
o 서비스 교통량 산정
- 유인물 참조
추천자료
★ 도시 교통 문제의 현주소-서울 교통의 문제 현안 대처 방안
컴퓨터가 교통에 주는영향을 설명...(지능형교통시스템)
도시경영론 - 부산의 교통문제의 현황과 과제
[모든학과] 교통범죄의 비범죄화와 이에 대한 대응방안
[에세이] 교통체증 원인과 해결방법
[자전거교통]자전거 이용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자전거 이용의 필요성과 효과 및 선진국...
[어린이(아동, 영유아)를 대상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교통안전, 소방안전, 재난안전, 약물안...
(TDM;교통수요관리정책)의 효과,목표 및 과제
21세기 도시 교통의 총아 Monorail(모노레일) 의 이해
[아동안전관리] 영국의 유아교육의 이념, 영국의 유아교육기관의 종류, 영국의 교통안전교육,...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을 할 때 필요한 30분이하의 교수학습 과정...
공간정보시스템공학 - GIS를 활용한 교통체증 대체방안
2015년 이후 영유아 교통사고 관련기사 2개를 찾아 요약하고 각각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
정책 과정의 시차 문제에 대한 연구 서울시 대중교통정책 개편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