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민중의 삶과, 소망의 도가
1. 들어가는 말
2. 본문
3. 나오는 말
1. 들어가는 말
2. 본문
3. 나오는 말
본문내용
적인 것에서 벗어나 최소한의 것에서 필요한 것을 만들어내는 안빈낙도의 삶을 그리고 있다. 더욱이 시인은 아버지처럼 시를 쓰고 싶다고 했다. 그리고 그 시 속에 살고 싶다고 했다. 아무런 욕심 없이 그저 자연과 어울려 살기를 소망하는 시인의 모습을 나타난다. 무위와 무욕의 삶을 살기를 원하는 점에서 도교적 색체가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도교적 삶은 조용히 느리게 사는 삶이다. 느림속에서 인생의 맛을 음미하는 것을 요청하는 것이 무위, 무욕이다. 노자가 반대하는 삶은 바쁜 삶, 무엇인가를 만들고 늘려가야만 만족하는 의욕이 과잉된 삶이다. 그런데 이 시에서 아무것도 바라지 않은 여유로운 삶을 찾는 모습을 볼 수 있다.
3. 나오는 말
지금까지 3편의 시를 통해서 현대시에서는 어떻게 도가적 색체가 드러나는 지 알아보았다. 도교란 것은 반드시 환상적이어야만 도교가 아니다. 도교의 의미는 어지러운 시대에 욕심을 버리면 사회의 질서를 바로 잡을 수 있다는 것에서 창조 되었다고 한다. 그처럼 사회질서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욕심을 버려야만 한다. 자연으로 돌아가야만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것에서 민중들은 마음껏 도교의 세상은 살기 좋은 것이라는 믿음에서 환상적인 믿음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 도교를 찾을 때 반드시 환상적인 것만 도교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민중이 소망을 통해서 도교는 환상적인 것이라는 믿음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런 환상은 곧 민중의 소망에서부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도교를 알아보기엔 민중의 소망이 담긴 작품을 알아보는 것이 매우 타당하다.
3. 나오는 말
지금까지 3편의 시를 통해서 현대시에서는 어떻게 도가적 색체가 드러나는 지 알아보았다. 도교란 것은 반드시 환상적이어야만 도교가 아니다. 도교의 의미는 어지러운 시대에 욕심을 버리면 사회의 질서를 바로 잡을 수 있다는 것에서 창조 되었다고 한다. 그처럼 사회질서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욕심을 버려야만 한다. 자연으로 돌아가야만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것에서 민중들은 마음껏 도교의 세상은 살기 좋은 것이라는 믿음에서 환상적인 믿음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 도교를 찾을 때 반드시 환상적인 것만 도교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민중이 소망을 통해서 도교는 환상적인 것이라는 믿음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런 환상은 곧 민중의 소망에서부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도교를 알아보기엔 민중의 소망이 담긴 작품을 알아보는 것이 매우 타당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