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과정의 차이에 의한 것일까?
*또한 신경세포의 구조는 특이한데 관찰은 수상돌기만 잘 보였다. 다른 부분은 왜 관찰하기 힘든 걸까? 염색과 관련 있는지 배율에 관련 있는지 궁금하다.
*광학현미경에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집광기와 광원 두 가지가 있다.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집광기 조절은 빛의 노출정도를 조절해 주는 역할이고 이는 우리 눈의 홍채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이에 반해 광원은 빛의 양 자체를 조절한다.
*이번 실험은 다른 실험에 비해 단순하다고 할 수 있지만 생물학실험에 있어서 많이 쓰이는 현미경을 다루는 첫 번째 실험이었다. 고등학교시절 현미경을 많이 다뤄 보지 못했기에 더 신선했다. 또한 광학현미경은 살아있는 세포도 관찰할 수 있다고 하는데 다음기회에는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해보고 싶다.
*또한 신경세포의 구조는 특이한데 관찰은 수상돌기만 잘 보였다. 다른 부분은 왜 관찰하기 힘든 걸까? 염색과 관련 있는지 배율에 관련 있는지 궁금하다.
*광학현미경에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집광기와 광원 두 가지가 있다.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집광기 조절은 빛의 노출정도를 조절해 주는 역할이고 이는 우리 눈의 홍채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이에 반해 광원은 빛의 양 자체를 조절한다.
*이번 실험은 다른 실험에 비해 단순하다고 할 수 있지만 생물학실험에 있어서 많이 쓰이는 현미경을 다루는 첫 번째 실험이었다. 고등학교시절 현미경을 많이 다뤄 보지 못했기에 더 신선했다. 또한 광학현미경은 살아있는 세포도 관찰할 수 있다고 하는데 다음기회에는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해보고 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