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정의
2) 법의 의의
3) 용어 정의
Ⅱ. 본 론
4) 내용
5) 변천과 현황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추진경과
7) 의의와 평가
8) 수급권자
♦ 수급권자의 범위 ♦ 부양의무자 ♦ 부양능력이 없는
경우 ♦ 소득인정액 ♦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 소득인정액 ♦ 최저생계비 ♦ 최저생계비의 결정
Ⅲ. 결 론
9) 급여
♦ 급여 신청 ♦ 조사·확인조사 등
♦ 급여의 결정과 실시 등
10)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사회적 이슈
Ⅳ. 참고문헌
Ⅴ. 부록<국민기초생활보장법>
1) 정의
2) 법의 의의
3) 용어 정의
Ⅱ. 본 론
4) 내용
5) 변천과 현황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추진경과
7) 의의와 평가
8) 수급권자
♦ 수급권자의 범위 ♦ 부양의무자 ♦ 부양능력이 없는
경우 ♦ 소득인정액 ♦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 소득인정액 ♦ 최저생계비 ♦ 최저생계비의 결정
Ⅲ. 결 론
9) 급여
♦ 급여 신청 ♦ 조사·확인조사 등
♦ 급여의 결정과 실시 등
10)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사회적 이슈
Ⅳ. 참고문헌
Ⅴ. 부록<국민기초생활보장법>
본문내용
있는 자는 제7조제1항제6호의 장제급여를 받을 수 있다.
③(자활후견기관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활후견기관으로 지정받은 법인등은 제16조의 개정규정에 따라 지역자활센터로 지정받은 것으로 본다.
④(보장기금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제44조의 규정에 따른 보장기금은 제18조의3의 개정규정에 따른 자활기금으로 본다.
부칙 <제8641호, 2007.10.17>
이 법은 2008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43조제1항제4호의 개정규정은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정부조직법) <제8852호, 2008.2.29>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31조제1항의 개정규정 중 “식품산업진흥”에 관한 부분은 2008년 6월 28일부터 시행하고, 부칙 제6조에 따라 개정되는 법률 중 이 법의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법률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법률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제6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450>까지 생략
<451>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6호, 제4조제2항, 제5조제2항, 제6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 제9조제3항 후단 및 제4항, 제15조의2제1항제5호, 제19조제2항, 제20조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제22조제7항 본문, 제23조제1항 단서, 제25조 전단, 제27조제1항 단서, 제28조제1항, 제33조제2항, 제40조의 제목, 같은 조 제1항 전단 및 제2항, 제41조의 제목, 제1항 및 제2항 중 “보건복지부장관”을 각각 “보건복지가족부장관”으로 한다.
제2조제9호 후단 및 제10호 후단, 제6조제3항, 제11조제2항, 제13조제2항 및 제3항 본문, 제14조제2항 본문, 제16조제5항, 제17조제2항, 제18조제4항, 제19조제3항, 제21조제3항, 제22조제2항, 제24조제1항 및 제25조 전단 중 “보건복지부령”을 각각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한다.
제20조제1항 본문 및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보건복지부”를 각각 “보건복지가족부”로 한다.
<452>부터 <760>까지 생략
제7조 생략
부칙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9617호, 2009.4.1>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11조까지 생략
제12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③까지 생략
④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3조의2제1항 및 제2항 중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3조제1항”을 각각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32조제1항”으로 하고, 같은 조 제1항 중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5호”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5조”로 하며, 같은 조 제3항 중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3조”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32조”로 하고, 같은 조 제4항 중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4조의2”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35조”로 한다.
⑤부터 <24>까지 생략
제13조 생략
부칙 (직업안정법) <제9795호, 2009.10.9>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4조까지 생략
제5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7조제1항 중 “「직업안정법」 제4조제1호”를 “「직업안정법」 제2조의2제1호”로 한다.
②부터 ⑦까지 생략
제6조 생략
부칙 (정부조직법) <제9932호, 2010.1.18>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2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 및 제3조 생략
제4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27>까지 생략
<28>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6호, 제4조제2항, 제5조제2항, 제6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 제9조제3항 후단·제4항, 제15조의2제1항제5호, 제19조제2항, 제20조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제22조제7항 본문, 제23조제1항 단서, 제23조의2제1항·제2항, 제25조 전단, 제27조제1항 단서, 제28조제1항, 제33조제2항, 제40조의 제목, 같은 조 제1항 전단·제2항, 제41조의 제목, 같은 조 제1항·제2항 중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을 각각 “보건복지부장관”으로 한다.
제2조제9호 후단·제10호 후단, 제6조제3항, 제11조제2항, 제13조제2항·제3항 본문, 제14조제2항 본문, 제16조제5항, 제17조제2항, 제18조제4항, 제19조제3항, 제22조제2항, 제24조제1항 및 제25조 전단 중 “보건복지가족부령”을 각각 “보건복지부령”으로 한다.
제20조제1항 본문·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보건복지가족부”를 각각 “보건복지부”로 한다.
<29>부터 <137>까지 생략
제5조 생략
부칙 <제10507호, 2011.3.30>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10782호, 2011.6.7>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제10854호, 2011.7.14>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 생략
제3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및 ② 생략
③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3조의2제1항 중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금융기관”을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금융회사등”으로 한다.
④부터 <16>까지 생략
부칙 (사회복지사업법) <제10997호, 2011.8.4>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 생략
제3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 생략
②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7조제1항 중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제3호”를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제4호”로 한다.
③부터 ⑥까지 생략
③(자활후견기관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활후견기관으로 지정받은 법인등은 제16조의 개정규정에 따라 지역자활센터로 지정받은 것으로 본다.
④(보장기금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제44조의 규정에 따른 보장기금은 제18조의3의 개정규정에 따른 자활기금으로 본다.
부칙 <제8641호, 2007.10.17>
이 법은 2008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43조제1항제4호의 개정규정은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정부조직법) <제8852호, 2008.2.29>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31조제1항의 개정규정 중 “식품산업진흥”에 관한 부분은 2008년 6월 28일부터 시행하고, 부칙 제6조에 따라 개정되는 법률 중 이 법의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법률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법률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제6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450>까지 생략
<451>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6호, 제4조제2항, 제5조제2항, 제6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 제9조제3항 후단 및 제4항, 제15조의2제1항제5호, 제19조제2항, 제20조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제22조제7항 본문, 제23조제1항 단서, 제25조 전단, 제27조제1항 단서, 제28조제1항, 제33조제2항, 제40조의 제목, 같은 조 제1항 전단 및 제2항, 제41조의 제목, 제1항 및 제2항 중 “보건복지부장관”을 각각 “보건복지가족부장관”으로 한다.
제2조제9호 후단 및 제10호 후단, 제6조제3항, 제11조제2항, 제13조제2항 및 제3항 본문, 제14조제2항 본문, 제16조제5항, 제17조제2항, 제18조제4항, 제19조제3항, 제21조제3항, 제22조제2항, 제24조제1항 및 제25조 전단 중 “보건복지부령”을 각각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한다.
제20조제1항 본문 및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보건복지부”를 각각 “보건복지가족부”로 한다.
<452>부터 <760>까지 생략
제7조 생략
부칙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9617호, 2009.4.1>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11조까지 생략
제12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③까지 생략
④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3조의2제1항 및 제2항 중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3조제1항”을 각각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32조제1항”으로 하고, 같은 조 제1항 중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5호”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5조”로 하며, 같은 조 제3항 중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3조”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32조”로 하고, 같은 조 제4항 중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4조의2”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35조”로 한다.
⑤부터 <24>까지 생략
제13조 생략
부칙 (직업안정법) <제9795호, 2009.10.9>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4조까지 생략
제5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7조제1항 중 “「직업안정법」 제4조제1호”를 “「직업안정법」 제2조의2제1호”로 한다.
②부터 ⑦까지 생략
제6조 생략
부칙 (정부조직법) <제9932호, 2010.1.18>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2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 및 제3조 생략
제4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27>까지 생략
<28>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6호, 제4조제2항, 제5조제2항, 제6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 제9조제3항 후단·제4항, 제15조의2제1항제5호, 제19조제2항, 제20조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제22조제7항 본문, 제23조제1항 단서, 제23조의2제1항·제2항, 제25조 전단, 제27조제1항 단서, 제28조제1항, 제33조제2항, 제40조의 제목, 같은 조 제1항 전단·제2항, 제41조의 제목, 같은 조 제1항·제2항 중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을 각각 “보건복지부장관”으로 한다.
제2조제9호 후단·제10호 후단, 제6조제3항, 제11조제2항, 제13조제2항·제3항 본문, 제14조제2항 본문, 제16조제5항, 제17조제2항, 제18조제4항, 제19조제3항, 제22조제2항, 제24조제1항 및 제25조 전단 중 “보건복지가족부령”을 각각 “보건복지부령”으로 한다.
제20조제1항 본문·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보건복지가족부”를 각각 “보건복지부”로 한다.
<29>부터 <137>까지 생략
제5조 생략
부칙 <제10507호, 2011.3.30>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10782호, 2011.6.7>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제10854호, 2011.7.14>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 생략
제3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및 ② 생략
③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3조의2제1항 중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금융기관”을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금융회사등”으로 한다.
④부터 <16>까지 생략
부칙 (사회복지사업법) <제10997호, 2011.8.4>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 생략
제3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 생략
②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7조제1항 중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제3호”를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제4호”로 한다.
③부터 ⑥까지 생략
추천자료
사회복지정책의 분석에의한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복지]생산적 복지의 정의, 생산적 복지의 천명, 생산적 복지의 형성과정, 생산적 복지의 균...
길버트와 스펙의 정책 분석틀에 따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분석.
국민기초생활보장법,국민기초생활보장, 기초생활보장, 자활지원, 급여실시, 기초생활보장시설...
국민기초생활보장법(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차상위계층, 자활지원, 급여, 기초생활보장시...
국민기초생활보장법(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차상위계층, 자활지원, 급여, 기초생활보장시...
사회복지행정의 이념과 가치들에 대하여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지향하...
국민기초생활보장법_빈곤에 대한 국가의 책임,기초생활보장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입법배경, 생활보호법과의 비교, 보장절차, 수급자 선정기준, 주요원칙,...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취지, 법의 운용및 핵심내용, 그 법의 한계와 보완점
[★평가 우수★][국민기초생활보장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대상,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급여, 국...
[사회복지법제]사회복지법의 체계의 사회보장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공부조법중 국민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개념과 제정배경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내용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