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권위의 개념 및 특성
2. 권위 인식의 변천
3. 권위의 요소
2. 권위 인식의 변천
3. 권위의 요소
본문내용
내어 준다. 구성원들의 이러한 수용이 있을 때 지도자와 구성원간의 합법화된 권위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Hoy(2001: 51.)는 권위의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권위의 요소는 공식적 권위와 기능적 권위로 분류되고, 공식적 권위는 합법성과 직위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능적 권위는 지도자 자신의 능력과 품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식적 권위는 마아취(March)와 사이몬(Simon)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공식적 권위는 조직 내에 귀속되어서 직위, 규정, 규칙에 자리잡게 된다. 조직에 참여함으로써 구성원은 상위자의 권위를 수용해야하고, 조직은 구성원에 대하여 명령권을 가지며, 구성원은 복종할 의무를 지니게 되기 때문이다(March & . Simon, 1958: 90).
기능적 권위는 웨버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웨버는 기능적 권위란 개인의 능력 자체와 개인 자신에게서 우러나오는 권위를 포함하는 다양한 권위를 나타낸다고 기술하고 있다. 개인의 행동과 특성에서 우러나오는 기능적 권위는 상위자가 하위자의 관계로 이루어지는 합법적 통제의 원천이 되고 개인의 권위를 미화하고 촉진시켜주는 특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기능적 권위는 지도자의 능력으로 나타나는 전문성이나 지도자 자신에게서 우러나오는 도덕성 권위로 분류된다.
합법성 권위는 법적 근거를 통하여 복종을 요구한다. 복종은 복종할 대상자와 복종의 범위를 구체화시킴으로 이루어지고 법에 의하여 직위에 부여된다. 그래서 합법성 권위는 조직내 직위에 규범으로 부여되어 구성원들에게 특정의 행동성향을 요구하게 된다.
<표 1>권위의 요소
연구자
공시적 권위
기능적 권위
합법성
직위성
능력
품위성
웨버(Weber)
어윅(Urwick)
사이몬
(Simon)
베니스
(Bennis)
프레수스
(Prethus)
합법성
정당성
합법
일반화된
복종
위계적 권위
조직의 공식권위
규제적 권위
역할담당 권위
공식적 역할 권위
합리적 권위
기능지식경험
기술지식
기능적 권위
성취기준의 지식
기능적 전문성
전통적 권위
카리즈마적 권위
지도자의 인기품위
기술적 설득
인간적 형태의 지식
구성원 허용성
개인욕구 조정기능
이와 같이 살펴 볼 때 교육전문직의 권위는 합법성 권위, 전문성 권위 및 도덕성 권위로 분류할 수 있게 된다. 합법성 권위는 조직 구성원들의 합의나 법 규정을 바탕으로 한 지도자의 공식적 권위이고, 전문성 권위는 지도자가 조직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조직 구성원들의 분업과 협동 체제를 유지,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발휘되는 기능적 권위이며, 도덕성 권위는 지도자가 조직 구성원들에게 조직 목적을 성취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인격을 통하여 발휘하게 되는 기능적 권위로 요약할 수 있겠다.
이러한 권위는 교육전문직이 지도성을 발휘하는 데 필수적이다. 교육전문직이 상위조직인 교육부의 교육전문직이 교육정책 지도성을 입안하여 주진하며, 중위 교육기관인 교육청 교육전문직이 인간관리 지도성 발휘하며, 학교 교직원들이 수업지도성을 중심으로 한 단위학교경영 자기지도성을 함양시키는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Hoy(2001: 51.)는 권위의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권위의 요소는 공식적 권위와 기능적 권위로 분류되고, 공식적 권위는 합법성과 직위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능적 권위는 지도자 자신의 능력과 품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식적 권위는 마아취(March)와 사이몬(Simon)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공식적 권위는 조직 내에 귀속되어서 직위, 규정, 규칙에 자리잡게 된다. 조직에 참여함으로써 구성원은 상위자의 권위를 수용해야하고, 조직은 구성원에 대하여 명령권을 가지며, 구성원은 복종할 의무를 지니게 되기 때문이다(March & . Simon, 1958: 90).
기능적 권위는 웨버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웨버는 기능적 권위란 개인의 능력 자체와 개인 자신에게서 우러나오는 권위를 포함하는 다양한 권위를 나타낸다고 기술하고 있다. 개인의 행동과 특성에서 우러나오는 기능적 권위는 상위자가 하위자의 관계로 이루어지는 합법적 통제의 원천이 되고 개인의 권위를 미화하고 촉진시켜주는 특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기능적 권위는 지도자의 능력으로 나타나는 전문성이나 지도자 자신에게서 우러나오는 도덕성 권위로 분류된다.
합법성 권위는 법적 근거를 통하여 복종을 요구한다. 복종은 복종할 대상자와 복종의 범위를 구체화시킴으로 이루어지고 법에 의하여 직위에 부여된다. 그래서 합법성 권위는 조직내 직위에 규범으로 부여되어 구성원들에게 특정의 행동성향을 요구하게 된다.
<표 1>권위의 요소
연구자
공시적 권위
기능적 권위
합법성
직위성
능력
품위성
웨버(Weber)
어윅(Urwick)
사이몬
(Simon)
베니스
(Bennis)
프레수스
(Prethus)
합법성
정당성
합법
일반화된
복종
위계적 권위
조직의 공식권위
규제적 권위
역할담당 권위
공식적 역할 권위
합리적 권위
기능지식경험
기술지식
기능적 권위
성취기준의 지식
기능적 전문성
전통적 권위
카리즈마적 권위
지도자의 인기품위
기술적 설득
인간적 형태의 지식
구성원 허용성
개인욕구 조정기능
이와 같이 살펴 볼 때 교육전문직의 권위는 합법성 권위, 전문성 권위 및 도덕성 권위로 분류할 수 있게 된다. 합법성 권위는 조직 구성원들의 합의나 법 규정을 바탕으로 한 지도자의 공식적 권위이고, 전문성 권위는 지도자가 조직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조직 구성원들의 분업과 협동 체제를 유지,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발휘되는 기능적 권위이며, 도덕성 권위는 지도자가 조직 구성원들에게 조직 목적을 성취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인격을 통하여 발휘하게 되는 기능적 권위로 요약할 수 있겠다.
이러한 권위는 교육전문직이 지도성을 발휘하는 데 필수적이다. 교육전문직이 상위조직인 교육부의 교육전문직이 교육정책 지도성을 입안하여 주진하며, 중위 교육기관인 교육청 교육전문직이 인간관리 지도성 발휘하며, 학교 교직원들이 수업지도성을 중심으로 한 단위학교경영 자기지도성을 함양시키는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추천자료
구성주의 과학교육의 의의, 구성주의 과학교육의 동향, 구성주의 과학교육의 오개념, 구성주...
웹기반수업(웹기반교육,학습, WBI)의 개념과 유형, 웹기반수업(웹기반교육,학습, WBI)의 특징...
조소지도(조소영역교육, 조소수업)의 정의와 기본개념, 조소지도(조소영역교육, 조소수업)의 ...
[진로교육][진로지도]진로교육(진로지도)의 개념, 진로교육(진로지도)의 필요성, 진로교육(진...
[수학교육]수학과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개념, 수학과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수학과교육(수업) 수준별학습지도, 문제해결학습지도, 수학과교육(수업) 개념형성학습지도, ...
[시민교육][공동체자유주의][사회교육]시민교육의 개념, 시민교육의 기능, 시민교육과 공동체...
[교육복지][외국의 교육복지 사례]교육복지의 개념, 교육복지의 실현, 교육복지와 빈곤, 교육...
음악리듬교육(음악리듬학습지도) 중요성과 제 이론, 음악리듬교육(음악리듬학습지도) 개념형...
[환경교육][STS교육][과학기술사회교육]환경교육의 개념, 환경교육의 성격, 환경교육의 목표,...
[보육시설 운영관리] 교육행정과정화이론 - 개념정리(행정, 교육행정, 과정, 교육행정 과정이...
[교육정치학] 정책과 교육정책 - 정책의 정의, 교육정책의 개념과 성격 및 교육정책 결정의 ...
[교육학개론]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이해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배경과 개념 및 일반적 ...
교육의 형태)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전인교육, 평생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