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술혁신 역량(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2. 수용 역량(Absorptive Capacity)
3. 기업가적 역량(Entrepreneurial Orientation)
4. 혁신활동의 성과
5. 혁신과 기업 역량에 대한 요약
6.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평가지표 개발 방향
2. 수용 역량(Absorptive Capacity)
3. 기업가적 역량(Entrepreneurial Orientation)
4. 혁신활동의 성과
5. 혁신과 기업 역량에 대한 요약
6.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평가지표 개발 방향
본문내용
r and Narver 1998). 여기서 주의하여야 하는 점은 고객 지향성이 혁신, 특히 급진적인 혁신에는 부정적일 수 있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고객은 일반적으로 단기적인 관점을 소유하며 변화를 거부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장 지향성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오히려 단편적인 개선에 치중하게 되고 기업의 혁신 역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Christensen and Bower 1996).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급진적인 혁신에 있어(미래의) lead customer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즉, 단순히 기존 고객의 기존 욕구를 충족시키기 보다는 그것을 넘어서 잠재된 욕구를 찾아내고 충족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Slater and Narver 1998). 결론적으로 혁신을 기업의 역량 차원에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측면에서 일률적으로 바라보는 시각 보다는 수용 역량, 기술혁신 역량, 기업가적 역량 등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6.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평가지표 개발 방향
기업의 규모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분석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반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다. 일련의 연구들은 기업의 규모와 기업 혁신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부류의 연구들은 규모의 경제성,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성, 대규모 시장, 혁신으로 부터의 수익 창출 능력 등을 그 이유로 꼽고 있다(Horowitz 1962, Lunn and Martin 1986, Henderson and Cockburn 1996, Arundel and Kabla 1998) 등이 있다. 작은 기업이 혁신에 유리하다는 이론은 중소기업이 의사결정 유연성, 의사소통, 전문화 가능성, 비정형성/전략적 통제 측면에서 대기업 보다 유리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Mansfield 1964, Grabowski 1968, Adams 1970, Scherer 1984, Acs and Audretsch 1988). 또한 몇몇 연구들은 기업의 규모와 혁신 간에 두 가지 관계가 모두 존재함을 보여 준다 (Rothwell 1986, Pavitt et al. 1987, Rothwell and Dodgson, 1994).
중소기업을 혁신 활동에 따라 분류한 최근의 연구(de Jong and Marsili 2006)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혁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혁신활동의 산출, 혁신활동의 투입, 혁신의 원천 등 전통적으로 중시되어온 변수들 외에 경영진의 혁신에 대한 태도, 혁신을 위한 계획 활동, 외부 지향성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은 보완자원의 측면에서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으며, 이러한 측면이 혁신 활동의 수행뿐만 아니라 혁신으로 부터 이익을 획득하는데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대기업은 기업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범용자원뿐만 아니라 전문자원 및 상호자원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자원을 개발할 여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좁은 기업의 범위로 인해 전문자원 및 상호자원을 보유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따라서 혁신의 성공적인 상업화에 필수적인 이러한 자원을 개발하는 비용을 감수하든지 또는 이러한 자원을 보유한 외부의 기업 및 경쟁자들과 협력할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살펴본 연구들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기업의 규모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보유한 혁신으로 부터의 수익 창출 능력(보완자원 등), 의사결정 유연성, 의사소통, 전문화 가능성, 비정형성/전략적 통제, R&D투자의 성격(공정혁신, 제품혁신, 기초연구, 응용연구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6.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평가지표 개발 방향
기업의 규모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분석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반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다. 일련의 연구들은 기업의 규모와 기업 혁신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부류의 연구들은 규모의 경제성,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성, 대규모 시장, 혁신으로 부터의 수익 창출 능력 등을 그 이유로 꼽고 있다(Horowitz 1962, Lunn and Martin 1986, Henderson and Cockburn 1996, Arundel and Kabla 1998) 등이 있다. 작은 기업이 혁신에 유리하다는 이론은 중소기업이 의사결정 유연성, 의사소통, 전문화 가능성, 비정형성/전략적 통제 측면에서 대기업 보다 유리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Mansfield 1964, Grabowski 1968, Adams 1970, Scherer 1984, Acs and Audretsch 1988). 또한 몇몇 연구들은 기업의 규모와 혁신 간에 두 가지 관계가 모두 존재함을 보여 준다 (Rothwell 1986, Pavitt et al. 1987, Rothwell and Dodgson, 1994).
중소기업을 혁신 활동에 따라 분류한 최근의 연구(de Jong and Marsili 2006)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혁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혁신활동의 산출, 혁신활동의 투입, 혁신의 원천 등 전통적으로 중시되어온 변수들 외에 경영진의 혁신에 대한 태도, 혁신을 위한 계획 활동, 외부 지향성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은 보완자원의 측면에서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으며, 이러한 측면이 혁신 활동의 수행뿐만 아니라 혁신으로 부터 이익을 획득하는데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대기업은 기업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범용자원뿐만 아니라 전문자원 및 상호자원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자원을 개발할 여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좁은 기업의 범위로 인해 전문자원 및 상호자원을 보유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따라서 혁신의 성공적인 상업화에 필수적인 이러한 자원을 개발하는 비용을 감수하든지 또는 이러한 자원을 보유한 외부의 기업 및 경쟁자들과 협력할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살펴본 연구들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기업의 규모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보유한 혁신으로 부터의 수익 창출 능력(보완자원 등), 의사결정 유연성, 의사소통, 전문화 가능성, 비정형성/전략적 통제, R&D투자의 성격(공정혁신, 제품혁신, 기초연구, 응용연구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반도체산업 기술발전 사례를 통한 기술역량발전의 패턴분석
[경영혁신][공기업개혁][공기업경영혁신][정부개혁][정부혁신]경영혁신의 의의, 경영혁신의 ...
지역혁신체제(RIS)의 특성과 유형, 지역혁신체제(RIS)의 구성과 작동, 지역혁신체제(RIS)의 ...
[혁신도시]혁신도시 건설, 문제점은 없는가? - 혁신도시의 장단점(필요성,효과/문제점,한계) ...
[교육혁신][교육개혁][교육정보화]교육혁신(교육개혁)과 정보화, 교육혁신(교육개혁)과 공학...
[교육개혁]교육혁신(교육개혁)과 학교교육, 교육혁신(교육개혁)과 유아교육, 교육혁신(교육개...
[산업혁신체제] 생명공학산업혁신체제 및 생명공학의 필요성과 특성, 생명공학산업의 발전을 ...
[지역혁신체제론] 지역혁신체제의 목표와 구성요소
[기술, 기술거래, 기술개발, 기술확산, 기술추격]기술과 기술거래, 기술과 기술개발, 기술과 ...
[산업기술혁신, 세계경제질서]산업기술혁신과 세계경제질서, 시장구조, 산업기술혁신과 클러...
[기술혁신][기술][기술개발]기술혁신과 기술개발, 기술혁신과 기술창출, 기술혁신과 기술학습...
[기업 혁신][기업][기술][SI][평가시스템]기업 기술 혁신, 기업 SI(시스템통합) 혁신, 기업 ...
경영혁신이 왜 중요한지와 더불어 귀하 조직에서 진행하고 있는 경영혁신의 특징과 시사점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