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순응이나 적응의 경우 결혼을 한 사람이 보다 높은 정도를 보임으로써 조직의 목표달성에 순기능적 기여를 할 것이다.
4. 부양가족의 수
가. 조직에 속해있는 개인의 경우 부양가족 수의 증가는 개인의 행태를 보다 제약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나. 즉, 자유롭지 못한 행태를 지니게 됨으로써 조직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다. 부양가족이 없는 미혼의 젊은 사람들이 보다 높은 전직률과 이직률을 보여주고 있다.
5. 근무연수(length of service)
가. 한 조직에서 보다 오래 근무한 사람의 경우 해당 조직이 지니고 있는 이념이나 목표에 대한 이해도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높게 나타난다.
나. 이는 조직에 대한 친밀도나 친숙도로부터 비롯되는 것으로 조직에 대한 애착이 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다. 이러한 근무연수의 증가는 조직에 대한 개인 행태를 순기능적으로 이끈다고 볼 수 있다.
6. 습관(habit)
가. 습관은 목적적이고 의도적인 행태에 있어서 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 이는 유사한 상황이나 유사한 자극에 대해 유사한 대응이나 반응을 보이도록 하기 때문이다.
다. 따라서 습관을 단지 수동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만일 변화된 환경에 적절하지 않다면 의식적 노력을 기울여 습관을 변화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라. 또한 습관의 고착은 개인행태에 역기능적 작용을 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7. 지위(position)
가. 조직 내에서의 지위의 상승은 개인의 행태가 일탈되지 않도록 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나. 이는 지위의 상승과 함께 조직 목표에 대한 책임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다. 지위의 상승은 행태에 대한 동기부여는 물론 순기능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8. 출신학교(alma mater)
가. 보수적인 사회나 조직의 경우 출신학교는 개인의 행태에 대해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 출신학교 동창들 간의 동문회를 통한 선후배 관계, 동기 관계 등으로 인해 개인의 행동이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 특히, 출신학교에 대한 자부심은 개인의 자부심으로 확대되고 이는 현재 속해있는 조직에서 역시 순기능적 작용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지나칠 경우에는 오히려 조직의 단합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9. 기타
출신지역, 종교, 국적, 성장의 배경, 신체적 특징, 카리스마, 유전적 요인, 가정 환경 등의 개인신상 특징 변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 개인신상 특징의 변화는 각각 조직의 목표나 개인 행태 변화에 있어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의 관리자는 이에 대한 고려를 하는 것이 필요
따라서 개인신상의 특징을 고정적인 것으로 보는 인식을 탈피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은 조직의 목표나 문화에 대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절실
개인 각각의 경우에도 자신이 지니고 있는 개인신상 특징을 고려하여 조직 목표와 일치되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를 모색하는 것이 장기적인 차원에서 개인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
4. 부양가족의 수
가. 조직에 속해있는 개인의 경우 부양가족 수의 증가는 개인의 행태를 보다 제약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나. 즉, 자유롭지 못한 행태를 지니게 됨으로써 조직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다. 부양가족이 없는 미혼의 젊은 사람들이 보다 높은 전직률과 이직률을 보여주고 있다.
5. 근무연수(length of service)
가. 한 조직에서 보다 오래 근무한 사람의 경우 해당 조직이 지니고 있는 이념이나 목표에 대한 이해도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높게 나타난다.
나. 이는 조직에 대한 친밀도나 친숙도로부터 비롯되는 것으로 조직에 대한 애착이 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다. 이러한 근무연수의 증가는 조직에 대한 개인 행태를 순기능적으로 이끈다고 볼 수 있다.
6. 습관(habit)
가. 습관은 목적적이고 의도적인 행태에 있어서 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 이는 유사한 상황이나 유사한 자극에 대해 유사한 대응이나 반응을 보이도록 하기 때문이다.
다. 따라서 습관을 단지 수동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만일 변화된 환경에 적절하지 않다면 의식적 노력을 기울여 습관을 변화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라. 또한 습관의 고착은 개인행태에 역기능적 작용을 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7. 지위(position)
가. 조직 내에서의 지위의 상승은 개인의 행태가 일탈되지 않도록 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나. 이는 지위의 상승과 함께 조직 목표에 대한 책임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다. 지위의 상승은 행태에 대한 동기부여는 물론 순기능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8. 출신학교(alma mater)
가. 보수적인 사회나 조직의 경우 출신학교는 개인의 행태에 대해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 출신학교 동창들 간의 동문회를 통한 선후배 관계, 동기 관계 등으로 인해 개인의 행동이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 특히, 출신학교에 대한 자부심은 개인의 자부심으로 확대되고 이는 현재 속해있는 조직에서 역시 순기능적 작용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지나칠 경우에는 오히려 조직의 단합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9. 기타
출신지역, 종교, 국적, 성장의 배경, 신체적 특징, 카리스마, 유전적 요인, 가정 환경 등의 개인신상 특징 변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 개인신상 특징의 변화는 각각 조직의 목표나 개인 행태 변화에 있어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의 관리자는 이에 대한 고려를 하는 것이 필요
따라서 개인신상의 특징을 고정적인 것으로 보는 인식을 탈피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은 조직의 목표나 문화에 대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절실
개인 각각의 경우에도 자신이 지니고 있는 개인신상 특징을 고려하여 조직 목표와 일치되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를 모색하는 것이 장기적인 차원에서 개인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
추천자료
교육행정과 조직 - 조직의 개념,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관료제 조직
[조직몰입][리더십][조직몰입도]조직몰입에 관한 심층 고찰(조직 몰입의 기초적 이론, 조직 ...
[사회복지행정조직]사회복지조직 이론의 주요특징과 장단점 이해, 사회복지조직 유형별 가능...
[지역사회조직화]지역사회조직화의 의의, 지역사회조직화의 유형, 지역사회조직화의 동향, 지...
[조직개발][조직개발 특성][조직개발 실태][조직개발 개입방법][조직개발개입 효과성 평가]조...
[조직시민행동][OCB][조직시민행동(OCB)과 직무성과][조직시민행동(OCB) 개선 방향]조직시민...
비영리조직(민간비영리단체, NPO) 정의, 비영리조직(민간비영리단체, NPO) 의의, 재무보고, ...
비영리조직(민간비영리단체, NPO)의 개념, 분류, 비영리조직(민간비영리단체, NPO)의 성장, ...
비영리조직(NPO, 민간비영리단체) 정의, 종류, 비영리조직(NPO, 민간비영리단체) 역할, 비영...
조직문화의 유형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간단히 살펴본 후, 오늘날 사회복지조직들은 어떤 조...
[경영조직][인적자원관리정보시스템][인간성추구]경영조직의 정의, 경영조직의 문화, 경영조...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한 조직의 주요활동 사례를 들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