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 호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본간호학 호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리본이므로 요약 없음

본문내용

w ⓐ \"가장 높은 호기 흐름\"을 측정. 손에 들고 쓰는 기구. ⓑ 호흡곤란, 천명음, 증가된 기침과 같은 호흡기 문제의 증상전에 발생. ⓒ 측정은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하기 전에 측정. - 녹색 영역 ; 80-100% (천식 잘 조절) - 황색 영역 ; 50-80% (천식 잘 조절되지 않음) - 적색 영역 ; 50% 이하 (속효성 bata2 agonist를 투여) - 기관지 확장제로 쓰임 (Theophlline, Aminophylline, α, β) ⓓ 절차 - 환자와 가족에게 목적에 대해 설명. - 기관지 확장제 사용여부를 확인. - 눈금의 기초에 지표를 놓는다. -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mouthpiece 주위를 완전히 봉하고 혀로 mouthpiece 입구를 막지
않도록 한다. - 봉한 상태에서 가능한 빠르고 강하게 호기 하도록 한다. - 3~5단계를 반복 3회의 시도에서 가장 높은 측정치를 기록. - 2주동안 매일 오전과 오후에 두 번 peak expiratory flow rate를 함-기관지확장제 사용전에 측정.㉧ 간헐적 양압 호흡기(IPPB) ⓐ 폐확장, 분비물 이동, 기침유발, 분물한 약물이 더 깊고,작은 호흡기도로 운반되는데 효과적. ⓑ 산소공급선에 연결,가습기를 끼우며 mouthpiece, mask를 통해 호흡. 10~20분간 . ⓒ 반혼수상태, 안절부절 상태, 혼돈상태의 환자는 사용할 수 없다. ⓓ 합병증 ; 분무기의 오염, 흡기압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 호흡성 알칼리증, 뇌압상승⑥ 과환기 관리㉠ 혈중 PaCo₂ 35mmhg 이하. 빠른 호흡, 현기증, 감각둔화와 같은 증상, 호흡곤란 - 봉지내에 ..
2. 기도유지① 인공기도 ; 기도 폐색의 위험㉠ 구강 인도관 ⓐ 무의식 상태로 자신의 혀로 기도를 막기 쉬운 대상자에게 가장 흔히 삽입. ⓑ S자 모양, 앙와위 - 목을 과신전시켜 혀가 뒤로 넘어가 인두를 막지 않도록 해야 하며 4시간마다 구강
간호 ⓒ 혈액,토물,점액이 흡인되지 않고 잘 흘러나오도록 측위,반복위를 유지-연하,구토,기침반사 관을 제거.㉡ 비강 인두관 ; 콧구멍을 통해 후두개 위쪽 인두까지 삽입. - 매 8시간마다㉢ 기관내관 ⓐ 응급상황에 있는 대상자. 후두경을 사용하여 코나 입을 통해 기관지로 갈라지는 바로 위까지 삽입. ⓒ 측위, 반복위를 유지, 3시간마다 간호. 계속 가습..㉣ 기관 절개관. ⓐ 기도의 개방성 유지,기침을 할 수 없는 대상자의 분비물 제거, 기관내관의 대치, 양압 인공호흡기 사용 ⓑ 기관연골의 외과적 절개를 통하여 기관까지 삽입. ⓒ 주기적으로 기관절개관 간호를 해야 함. - 기관절개 부위로 용액이 절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기도흡인의 가능성을 없애야 함. - 조직의 괴사를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공기를 빼주어야 함. - 내관 내의 분비물을 자주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상태를 유지.② 흡인㉠ 기도의 분비물을 제거할 수 없을 때
㉡ 호흡음이 부글부글 끓는 소리가 날 때
㉢ 연하가 잘 안될 때㉣ 문제점 - 기관내 들어갈 때 막다른 곳까지 집어넣었다가 1cm 정도 다시 뺀다 . - 산소도 흡수되기 때문에 흡인은 일시적으로 저산소증을 유발. - 흡인은 10초가 넘지 않도록 하며 성인은 80~120mmhg, 유아는 60~80 - 흡인하기 전후에 O₂를 투여.③ 기도폐색 예방과 대처㉠ Heimlich maneuver ; 성인, 어린이의 이물질 폐색에 대한 치료. 복부를 세게 밀어붙임. - 임신부, 유아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 흉부 밀어붙이기가 대신 사용.

3) 심폐기능 회복에 대한 간호 - 뇌에 산소공급이 안 되면 4~6분 후 영구적이고 광범위한 뇌손상이 온다.- 1차 소생처치 ; 뇌나 심장 등 주요장기에 산소를 공급- 2차 소생처치 ; 약물, 수액투여, 심전도 측정과 진단, 제세동 치료(전기파를 심장에)- 3차 소생처치 ; 후유증을 최소화.1. 기초 심폐 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ion . CPR)① 심폐 소생술의 원칙 (firm matthress ; 딱딱한 침대에 눕히고 시행)- 우선, 흔들어서 반응 유무 확인 (무반응 시 119 신고) → 호흡,맥박 확인(경동맥에 손을 대고 코에
귀를 대고서 가슴의 움직임을 확인)- A ; Airway (기도) - 기도확보- B ; Breathing (호흡) - 인공호흡 (2번의 호흡)- C ; Circulation (순환) - 심장 마사지㉮ 기도확보 ; 이물질을 제거 (손으로 꺼냄, 힘주어 토하게, 견갑골 사이를 강하게 4회 정도 두드림) ㉠ 두부후굴 하악거상법 ; 머리는 과신전, 턱을 위로 들어올림 ㉡ 하악거상법 ; 경추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사용. 하악만을 앞으로 밀어줌㉯ 인공호흡 ㉠ 호기법 ; 성인은 1분에 10~12회 (5초에 한번)- 구강 대 구강 / 구강 대 비강 ㉡ 보조기구 이용한 인공호흡㉰ 심장 마사지 ㉠ 성인 ; 80-~100회 / 15;2 (심장마사지 ;인공호흡) ㉡ 맥박, 호흡, 입술이나 얼굴 색이 좋아지는 확인하면서 계속 ㉢ 심정지를 추축할 수 있는 징후 - 요골, 경, 대퇴 동맥의 맥박 소실 / 청진상 심음의 소실 / 급작스런 창백, 청색증 / 동공 산대 ㉣ 폐흉 심장 압박법 ; 흉골하방 1/3에 두 손바닥을 포개어 얹고(검상돌기 위 2cm) , - 4 ~ 5cm(1.5~2 inch) 깊이로 압박 / 영아 0.5~1inch / 유아 1~1.5 inch ㉤ 흉부 강타법 ; 주먹으로 강하게 침 (전기적 제세동과 같은 효과)② 심폐 소생술의 중단 시기㉮ 경동맥의 맥박이 촉지 ㉯ 환자의 피부색이 선홍색으로 돌아옴㉰ 동공반사가 돌아옴㉱ 자발적인 반응이 복구됨㉲ 심장박동이 회복됨. ㉳ 호흡, 맥박이 회복㉴ 전문소생팀 도착시, 의사가 사망선고를 했을 때

4) 활동 내구성 증진에 대한 간호1. 조직관류의 개선 ; 따뜻하게 해주고, 불안은 감소, 통증을 완화
2. 지식부족에 대한 교육3. 불안,두려움의 감소
4. 활동증진 ; 과로는 피한다.5. 무력감 해소
6. 통증관리
5) 산소화 문제 대상자의 가정 간호 ; peak flow, 분무요법, 폐물리 요법, 산소요법1. 감염조절2. 투약3. 가정 내 산소체계4. 일상생활 관리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9.23
  • 저작시기201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8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