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 운동생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생리학] 운동생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운동생리

I. 운동의 분류

II. 근육의 혈류량

III. 근육의 대사

IV. 운동과 호흡

V. 심장기능의 변화
1. 심장박동수
2. 일박출량
3. 혈압
4. 혈액의 변화

VI. 운동시 내분비계 및 신경계의 변화

VII. 근육 운동의 연료

VIII. 훈련효과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분이 땀으로 배설될 뿐만 아니라 혈액의 액체 성분이 혈관으로부터 주위 조직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젖산과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므로 혈액이 산성화된다.
6. 운동 시 내분비계 및 신경계의 변화
운동 시 내분비계 및 신경조직은 운동에 강력한 영향을 주며 운동 중에 에너지 생산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작용을 조정한다. 즉 신경과 호르몬은 기관과 기관 사이의 어떤 목적을 떤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을 한다. 안정시의 심장기능에 대해 교감신경은 촉진신경, 미주신경은 억제신경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운동이 시작되면 교감신경 기능이 일방적으로 우세해져 박동이 발라지고 수축력이 세어지므로 심장박출량이 늘어난다. 한편 교감신경을 통해 부신수질에서는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된다. 이들 호르몬은 교감신경 자극효과를 나타내며, 전신적으로 교감신경의 흥분이 더욱 고조되고 흥분효과가 더 확대된다. 이와 같이 운동 시에는 교란신경과 호르몬이 서로 협동하여 작용한다.
7. 근육 운동의 연료
근육 운동에 사용되는 연료는 호흡상(Respiratory quotient, RQ)을 측정하여 추정할 수 있다. 안정상태에서의 RQ는 약 0.8로 에너지 필요량의 1/3을 지방질에서, 2/3를 탄수화물에서 취한다. 가벼운 운동 및 중등도 운동 시에도 지방과 탄수화물의 사용 비율은 안정상태와 비슷하다. 심한 운동에서는 탄수화물의 사용 비율이 커져 RQ가 1.0 가까이 올라가는데, 심한 운동을 수 시간 계속함에 따라 RQ는 떨어져 0.7에 근접한다. 이것은 근육운동에 가능한 한 탄수화물이 먼저 사용되고, 심한 운동이 계속되면 탄수화물 비축(간과 근육의 글리코겐)이 고갈되어 에너지를 지방질에서 충당하기 때문이다. 마라들 경주와 같은 극단적인 운동의 경우에는 글리코겐 저장이 고갈되어 혈당량이 심하게 떨어져 피로와 허탈이 일어나고 중추신경계가 손상되기도 한다. 근육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2%만을 단백질에서 얻는다.
8. 훈련효과
훈련효과란 여러 차례 운동을 되풀이함으로써 운동을 하는 골격근은 물론 호흡기와 순환기의 조직변화가 일어나서 그 운동에 더욱 효율적으로 적응하는 능력이 발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육체적 훈련효과는 일반적으로 오래 유지된다. 또한 이때 골격근은 성장 발달되어 비대해지고, 수축력이 강해지며, 운동 능력도 커지게 된다.
이보다 더욱 중요한 훈련효과는 학습에 뒤따르는 중추신경계의 변화이다. 근육 운동을 되풀이하게 되면 적은 에너지를 써서 더 쉽게 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여기에 참여하는 골격근 무리(群)의 협동도 원활해져 훨씬 부드럽고 능숙하게 된다.
심장 활동의 변화도 온다. 즉 훈련된 사람의 심장은 더욱 커지고 더욱 천천히 될 수 있게 되어, 심장박출량을 늘리는데 있어서 박동수보다 일박출량을 늘리는 방식을 택하게 된다. 호흡기의 변화로는 호흡의 깊이를 크게 하여 폐활량(肺活量; Vital capacity)이 증가하고 최대 산소섭취량도 크게 증가한다.
표. 지구력 증강훈련의 효과 비교(25세 70kg의 남성)
훈련에 의해서 근력도 크게 증가하는데 성별과 나이에 따라 근력의 증가율이 달라진다. 또한 훈련이 잘 된 사람은 똑같은 운동을 하여도 에너지 소비가 적고 젖산의 축적과 산소부채도 적어 숨이 가쁜 시간도 짧아진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8.31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