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적시생산시스템
1. 원가절감목표
2. 개선활동
3. 풀시스템
4. 다기능 작업자
5. 외부공급업자의 공정일부화
Ⅱ. JIT의 적용과정
1. 5S운동
2. 생산의 평준화
3. 제조공정의 원활한 흐름
4. 생산단위의 소규모화
5. 재고자산의 위치고정
6. 시장 실시간 생산
7. 작업표준화
Ⅲ. JIT와 MRP의 비교
1. 원가절감목표
2. 개선활동
3. 풀시스템
4. 다기능 작업자
5. 외부공급업자의 공정일부화
Ⅱ. JIT의 적용과정
1. 5S운동
2. 생산의 평준화
3. 제조공정의 원활한 흐름
4. 생산단위의 소규모화
5. 재고자산의 위치고정
6. 시장 실시간 생산
7. 작업표준화
Ⅲ. JIT와 MRP의 비교
본문내용
. 이와 같이 재고자산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 누구나 재고자산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필요한 때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작의 불필요한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6) 시장 실시간 생산
JIT에서 제품제조의 최후공정은 생산된 제품이 판매되는 시장이 된다. 따라서 시장의 소비에 대응하는 생산방식이 가장 바람직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시장의 수요에 시간적으로 직접 대응하는 방식을 시장 실시간 생산이라 한다. 시장에서 한 단위의 제품이 소비될 때마다 생산공정에서도 핀 단위의 제품이 생산된다면 생산의 모든 낭비적인 요소가 제거될 것이다.
(7) 작업표준화
작업표준화란 작업자가 일하는 순서, 시간, 사이를 타임 등을 일일이 정해서 문서화하는 것을 말한다. 작업표준화는 모든 작업을 개선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며, 낭비를 찾아내고 제거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작업표준화에 의한 표준작업에 어긋나는 동작은 개선을 하도록 해야 한다.
모든 낭비를 제거하고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JIT를 성공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표준화된 작업방법에 따라 효율적인 생산을 달성시키는 종업원의 태도에 크게 의존한다.
III. JIT와 MRP의 비교
JIT와 MRP는 많은 차이점을 갖는다, MRP는 계획을 증시하여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자재조달을 합리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JIT는 모든 요소의 낭비의 제거에 그 목적을 둔다. MRP는 제조 공정을 주어진 여건으로 보지만 JIT에서는 제조공정을 만들어 가는 과정으로 본다. JIT와 MRP의 차이점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JIT와 MRP의 차이점 비교
(6) 시장 실시간 생산
JIT에서 제품제조의 최후공정은 생산된 제품이 판매되는 시장이 된다. 따라서 시장의 소비에 대응하는 생산방식이 가장 바람직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시장의 수요에 시간적으로 직접 대응하는 방식을 시장 실시간 생산이라 한다. 시장에서 한 단위의 제품이 소비될 때마다 생산공정에서도 핀 단위의 제품이 생산된다면 생산의 모든 낭비적인 요소가 제거될 것이다.
(7) 작업표준화
작업표준화란 작업자가 일하는 순서, 시간, 사이를 타임 등을 일일이 정해서 문서화하는 것을 말한다. 작업표준화는 모든 작업을 개선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며, 낭비를 찾아내고 제거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작업표준화에 의한 표준작업에 어긋나는 동작은 개선을 하도록 해야 한다.
모든 낭비를 제거하고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JIT를 성공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표준화된 작업방법에 따라 효율적인 생산을 달성시키는 종업원의 태도에 크게 의존한다.
III. JIT와 MRP의 비교
JIT와 MRP는 많은 차이점을 갖는다, MRP는 계획을 증시하여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자재조달을 합리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JIT는 모든 요소의 낭비의 제거에 그 목적을 둔다. MRP는 제조 공정을 주어진 여건으로 보지만 JIT에서는 제조공정을 만들어 가는 과정으로 본다. JIT와 MRP의 차이점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JIT와 MRP의 차이점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