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과학에서 그렇게 비판하는 종교적 신앙에 가깝다. 과학은 다면체라는 일종의 ‘이미지’에서부터 출발했는데, 그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를 낳고, 또 다른 이미지를 낳으며 과학이 발전해왔다. 사라졌다가 새로운 곳에서 다시 등장하기도 하면서 말이다. 따라서 과학의 발전 과정은 마치 우리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 다니는 것처럼 체계적인 순서를 밟아온 것이 아니다. 때로는 우연히, 때로는 실수를 통해 발전해온 것이 과학이다. 대표적인 예가 뉴턴인데, 뉴턴이 만유인력법칙을 발견하고 발표한 것은 100% 완벽한 검증을 통한 것이 아니었다. 부족한 부분도 있었지만 그걸 그냥 넘기며 발표했던 ‘비과학적 태도’가 결국 뉴턴의 과학을 만들어낸 것이다. 어쩌면 과학에 있어서도 중요한 것은 창의력일지 모른다. 오늘날 과학이 다른 학문과의 융합을 그토록 강조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가 아닐까? 과학을 신봉하는 누군가는 이런 이야기가 좋게 들리지 않을 지도 모른다. 체계적인 과학의 발전을 부정하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르니 말이다. 하지만 그런 태도보다는 겸손하고 열려있는 자세가 과학의 발전을 도울 것이다. 실제로 그래 왔다. 이 책은 그러한 면을 아우르며 잘 서술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중 1학년 과학과 기말 고사 문제지
한국의 국가경쟁력과 과학기술정책.
근대의 과학혁명(“근대화학의 징검다리”부터 “보일과 근대화학”까지)
세종이 본 과학
조선초기의 과학사
초등 3학년 과학과 지도안 (약안)
수, 과학, 물놀이, 컴퓨터 영역별 내용
만 4세 과학영역 수업계획안
6)과학-쾌적한환경-먹이 피라미드 알아보기
유아 과학 교육(물리) 바람(바람으로 만들어보기)(모의 수업 교육 활동 계획안 지도안) (만5...
우리민족의 과학 기술
[과학자] 러더퍼드(Ernest Rutherford)의 생애와 업적
만5세 자연탐구영역의 과학적 탐구하기 내용을 참고하여 생물과 비생물에 관련된 내용을 토대...
[경영의 행동과학적 관점]경영의 관점(행동적 관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