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 건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S 건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산업분석
 1.산업의 정의
 2.산업의 특징
 3.산업의 수명주기
 4.산업구조분석

Ⅱ. 영업분석
 1.사업분석
 2.시장점유율
 3.매출실적
 4.SWOT분석

Ⅲ. 재무분석
 1.유동비율
 2.부채비율
 3.수익성비율
 4.회전율
 5.주가비율

Ⅳ. 결론

본문내용

GS건설
30
24
28
29
현대건설
13
19
24
22
· 재고기간 365일/재고자산회전율
-재고기간의 경우 평균적으로 재고자산이 판매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말하며 이는 짧을 수록 좋다. GS건설의 경우 평균 28일 정도의 선을 유지한다 할 수있으며 현대건설의 경우 평균 20일 정도를 유지한다고 할 경우 GS건설보다 현대건설의 재고기간이 7~8일정도 더 짧다고 볼 수 있다.
4. 수익성 비율
(1) 자기자본 순이익률(ROE) 순이익/자기자본 * 100
ROE
2006
2007
2008
2009
GS건설
23.9
20.4
14.7
12
현대건설
21.8
12.1
12.9
15.1
산업평균
14.3
15
7.3
3.9
- 평균적으로 ROE는 비슷한 수준이라고 할 수있다.
비슷한 수준의 순이익률을 가진다 하더라도 부채비율을 비교 했을때 현대건설이 높기 때문에 GS건설쪽이 ROE안정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2) 총자산순이익률 (ROA) 순이익/총자산 * 100
ROA
2006
2007
2008
2009
GS건설
9.1
7.7
5.2
4.5
현대건설
6.7
4.2
4.6
5.6
산업평균
5.6
5.8
2.5
1.4
- 총자산순이익률 ROA의 경우 GS건설의 경우가 현대건설보다 높은 추세로 나타났으며 2009년 다소 줄었지만 산업평균에는 웃도는 것으로 확인된다.
(2) 매출액순이익률 (순이익/매출액) * 100
매출액순이익률
2006
2007
2008
2009
GS건설
6.74
6.64
5.56
5.19
현대건설
7.82
4.91
5.14
4.92
산업평균
6
6.4
3.1
1.7
(단위 : %)
5. 주가관련비율 (주가/ 주당 순 이익)
PER
2006
2007
2008
2009
GS건설
11.58
24.7
23.28
15.57
현대건설
16.96
40.51
29.11
17.73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where=nexearch&query=gs%B0%C7%BC%B3
-GS건설 주가정보 링크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where=nexearch&query=%C7%F6%B4%EB%B0%C7%BC%B3
-현대건설 주가정보 링크
- GS건설의 주가가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Ⅳ. 결론
전반적으로 살펴봤을때 건설업이라는 시장의 특성상 정부의 부동산규제정책과 세계의 금융위기 등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국내에는 이미 포화되어있는 내수시장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진입장벽이 낮지만 결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차지하기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대기업형 건설사와 중소기업, 그리고 지방의 건설기업들까지 많은 기업이 시장에 들어와 있지만 대기업과 손을 잡지 않고서야 수익을 기대하기란 어렵다.
건설산업은 위기 상태라 할 수 있다. 정부의 구조조정 방안이 마련되면서 뒤숭숭한 분위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에는 업체 수의 급속한 증가, 최저가 낙찰제 확대, 타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개발사업, 금융규제 등에 의한 부동산 경기 침체가 주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GS건설을 비롯한 대기업형 건설사들은 해외로의 진출을 하였고, GS건설의 경우
오만, UAE등 중동 플랜트 시장에서 초강세를 보이면서 국내의 부진을 해외에서 채우고 있다. 2009년에 수주한 59조원에 달하는 해외 수주 매출로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이다.
또 상대적으로 주택사업의 중이 높은GS건설의 경우 건설사 위기상황에 대처하기가 어려워진다. 미분양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규모를 살펴야 한다. 이에 유동성있는 대처가 필요하다.
((참고)) ppt제외바람!
(1) 개념
프로젝트 파이낸싱이란 대출금의 원리금 상환이 해당 프로젝트에서 발생되는 현금흐름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는 금융거래방식이다. 해외 건설 및 대형 프로젝트에서 번번히 등장하고 있으며, 자금조달의 기초나 프로젝트를 추진하려는 사업주의 신용이나 물적 담보의 가치에 두지 않고 동 프로젝트 자체의 수익성에 두는 금융기법으로 최근에는 건설업체의 자신개발 분야에도 본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 제도가 활성화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금융시장에서는 제한된 범위내에서 프로젝트 스폰서의 지원, 즉 시공사의 대출에 대한 신용연대보증 및 책임준공이행각서, 부동산신탁회사의 이자보증과 자금관리를 조건으로 하는 등 제수단을 통한 안정적 장치로 이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2) 특징
①채권자는 프로젝트회사 도산시 프로젝트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이나 자산의 범위내에서 청구가 가능하나 사업주에 대해서는 불가능하다.
②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발생한 부채는 전적으로 프로젝트 회사가 부담하므로 사업주의 대차대조표에는 추가로 부채계상이 되지 않는다.
국내 건설사 R&D 투자 '인색'
10대 대형 건설사 매출대비 1.45% 투자
국내 대형 건설사들의 연구개발(R&D) 투자가 극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시공능력 평가순위 상위 10위의 건설사들의 지난 1분기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평균 1.45%로 집계됐다. 2%가 넘는 기업은 2개 업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상장제조법인의 지난해 연구개발비 비중이 2008년 3.01%에 이어 지난해에는 3.12%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극히 낮은 수치다. 이들 10대 건설사들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2008년 1.44%, 지난해 1.46%로 거의 변화가 없다.
10대 건설사 중 가장 비중이 높은 기업은 두산건설 (6,510원 130 -2.0%)이다. 이 회사는 지난 1분기 매출액 중 4.1%인 222억원을 연구개발에 썼다. 두산건설은 2009년과 2008년에도 각각 3.4%와 3.7%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롯데건설(2.9%)과 GS건설 (101,500원 1000 -1.0%)(1.5%)이 뒤를 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업은 투자비용 대비 연구개발 성과가 다른 업종에 비해 낮은데다 건설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업체마다 연구개발에 적은 투자를 하고 있는 것 같다"면서 "차별화된 주택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투자도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자료

  • 가격2,4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4.10.05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0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