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학]세포의 성장과 적응(정상세포의 성장, 세포 적응) 및 세포손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병리학]세포의 성장과 적응(정상세포의 성장, 세포 적응) 및 세포손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세포의 성장과 적응
1) 정상세포의 성장
(1) 재생
(2) 수복
(3) 세포의 구조
(4) 세포주기
(5) 세포주기의 조절
2) 세포 적응
(1) 위축(atrophy)
(2) 비대(hypertrophy)
(3) 증식(hypertrophy)
(4) 화생(metaplasia)

2. 세포손상
1) 세포손상의 원인
2) 세포손상의 과정
3) 세포 손상의 기전
4) 저산소시 세포의 손상
5) 가역적 세포손상(reversible cell injury)
6) 비가역적 세포손상(Irreversible cell injury)
7) 세포사(cell death)
8) 세포내 물질축적
9) 세포손상시 전자현미경적 변화

본문내용

색체의 손상
4) 저산소시 세포의 손상
(1) 가역적인 변화(reversible change)
세포호흡기관인 미토콘드리아가 제일 먼저 손상을 받음 ATP 양 감소
세포내의 포도당(glucose)을 사용하여 에너지원을 만든다.
세포내 PH가 저하됨
핵내에 염색질(chromatin)의 뭉침이 일어남
ATP 에너지의 감소로 세포내 수분이 축적
리보솜이 내형질세망으로 부터 분리
(2) 비가역적 변화(irreversible change)
미토콘드리아의 심한 수포화(vacuolation)
세포막의 소실
용해소체의 팽창
5) 가역적 세포손상(reversible cell injury)
가역적 손상은 세포종창과 지방변성의 형태로 나타나고, 자극이 약하고 지속시간이 짧은 경우에 나타나며, 핵의 변화 보다는 세포질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6) 비가역적 세포손상(Irreversible cell injury)
초기변화 : 세포질 팽창(cytoplasmic swelling)과 공포화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의 팽창
핵염색질의 뭉침현상
후기변화 : 세포막의 파괴
핵농축(pyknosis)
핵붕괴(karyorrhexis)
핵융해(karyolysis)
리소조옴의 파괴(lysosome rupture)
7) 세포사(cell death)
(1) 자가용해 : 조직이나 기관 전체가 파괴된 후 개개의 세포가 죽게 되는 과정에서 일어난다.
(2) 아포프토시스
(3) 괴사(necrosis) : 살아있는 개체내의 죽은 세포를 말하며, 세포가 여러 가지 분해 효소에 의해 소화되는 과정과 단백질이 변성되는 것이 형태학적 변화의 기본이다.
형태학적 변화
응고괴사(coagulation necrosis)
세포내 단백질(intracellular protein)의 변성에 의해서 초래됨, 조직의 구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세포에 핵이 없어지고 세포질은 변성된 단백질로 이루어지면서 그 윤각만 남게된다.
액화괴사(liquefaction necrosis)
뇌와 같이 반유동성 조직이 분포하고 있는 곳에서 나타남, 효소의 작용이 더 빨라서 세포가 자가용해
지방괴사(fat necrosis)
보통 여성의 유방에 가해진 직접적인 외상에 의해 초래, 급성췌장염으로 췌장에서부터 효소의 방출에 의해 야기됨. 지방세포들이 파괴되고 지방을 방출하면 지방분해효소에 의해 분해
건락괴사(caseous necrosis)
세포가 완전히 파괴되어 세포 형태가 전혀 없는 물질
괴저성 괴사(gangrenous necrosis)
응고괴사가 일어난 조직에 이차적으로 조직을 부패시키는 세균이 감염 되는 것이다.
욕창(Decubitus)
환자가 장기간 누워있게 되면, 골격에 압박되는 부위가 체중의 압력에 의해 공급이 차단되어 괴사와 궤양을 동시에 일으킨다.
8) 세포내 물질축적
세포들이 상해성 자극을 받게되면 세포질에 많은 양의 다양한 물질들을 비정상적으로 축적하게 된다.
(1) 세포내 물질 축적의 분류
(2) 지방축적, 지방변성(fatty accumulation or fatty change)
세포내 지방이 증가하여 광학현미경으로 보일 정도로 증가하는 생태, 가역적변화이지만 비가역적변호의 초기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
(3) 단백질의 축적
단백뇨가 계속되면 신장의 세뇨관에서 이를 재흡수하여 세포질 내에 단백질 축적 면역글로불린을 생성하는 형질세포에 면역글로불린이 축적되는 경우도 있음 - 러셀소체
(4) 당원(glycogen)의 축적
(5) 지질 및 탄수화물의 축적
(6) 외인성 색소 침착
(7) 내인성 색소침착
9) 세포손상시 전자현미경적 변화
용해소체의 발달
내형질세망의 비후
미토콘드리아의 변화
세포골격의 변화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10.06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0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