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연구배경 및 목적
3. 연구내용
4. 분석 결과
2. 연구배경 및 목적
3. 연구내용
4. 분석 결과
본문내용
차이 점수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예상대로 한국인 집단정체성이 높을수록(B=.20, p<.01), 다문화주의이데올로기가 낮을수록((B=.-.13, p<.01), 동화주의 신념이 높을수록(B=.08, p<.01), 이주민에 의한 현실적 사회위협(범죄, 실업 등)이 높을수록(B=.06, p< .07) 외집단에 대한 상대적 사회적 거리가 멀게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이주민과의 접촉의 빈도만이(이주민 친구 수나 이웃 수가 아닌) 상대적 사회적 거리를 가깝게 느끼도록 하였다((B= .-.10, p<.01). 또한 정체성과 정체성 위협(단일민족성 등)과의 상호작용의 경향성이 나타났는데 (B=.06, p<.07), 이는 예상대로 집단정체성이 높은 한국인이 낮은 사람보다 외집단에 대한 상대적 거리가 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정체성 위협을 높게 지각하는 사람에서 더욱 그러하였다(그림 2). 또한 다문화주의와 접촉수의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였다(B=.06, p<.05; 그림 3)
참고문헌
Tajfel, H. (1982).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nnual Rewive of Psychology, 33, 1-30.
참고문헌
Tajfel, H. (1982).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nnual Rewive of Psychology, 33, 1-30.
추천자료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방안
다문화가정
다문화가정과 인종불평등
다문화 가족(가정)에 대하여 (결혼 이민자 가족)
다문화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또는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세요.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글교육
다문화주의와 이민정책을 통한 외국국적 동포 사회통합적 접근과 과제
다문화 가정의 특징, 정의, 세계화, 실태, 법, 제도, 경제적 측면, 한국 생활, 사회화, 변천,...
다문화 교육
다문화교육, 학교에서 겪는 문제점 사례 및 대안
다문화아동과 청소년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다문화 사회로 변화함에 따른 순작용과 부작용을 알아보고 지원방안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