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
4. 토의 및 고찰
6. 참고문헌
2. 실험목적
3. 실험
4. 토의 및 고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후 70~80℃까지 올려주었더니 40~50℃에서 증류를 진행할 때보다 훨씬 더 빨리 증류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시간을 좀 아낄 수 있었다. 이 실험에서 우리는 두 가지 생성물을 얻어낼 수 있었다. 유기 층에서는 Benzyl alcohol을, 수용액 층에서는 고체의 benzoic acid를 얻을 수 있었다. 우리가 Benzyl alcohol을 얻어서 vial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Benzyl alcohol을 조금 흘려서 손실이 발생하였다. 또 고체의 Benzoic acid를 얻을 때에는 감압여과를 진행 한 후 얻어냈는데 감압여과장치에서 우리가 측정할 접시로 옮기는 과정에서 여과장치의 벽에 붙어있던 Benzoic acid 소량을 떼어내지 못했다. 또 이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여서 최종 수율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실험은 증류할 때 마개가 날아간 것 말고는 대체로 순조롭게 진행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마개가 날아간 것은 우리가 주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작은 사고라고 생각하고 다음 실험에는 많이 주의하고 조심해야겠다고 생각한다.
6. 참고문헌
http://webbook.nist.gov/cgi/cbook.cgi?ID=C100516&Type=IR-SPEC&Index=1#IR-SPEC
http://www.gravitywaves.com/chemistry/CHE303L/OxidationArene_10.htm
http://www.chemicalbook.com/SpectrumEN_65-85-0_1HNMR.htm
http://www.chemicalbook.com/SpectrumEN_100-51-6_1HNMR.htm
6. 참고문헌
http://webbook.nist.gov/cgi/cbook.cgi?ID=C100516&Type=IR-SPEC&Index=1#IR-SPEC
http://www.gravitywaves.com/chemistry/CHE303L/OxidationArene_10.htm
http://www.chemicalbook.com/SpectrumEN_65-85-0_1HNMR.htm
http://www.chemicalbook.com/SpectrumEN_100-51-6_1HNMR.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