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녀와 환향녀의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녀와 환향녀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녀란

2. 공녀를 요구한 시대별 목적

3. 공녀의 시대별 헌납 상황

4. 공녀의 선발과정과 폐단

5. 공녀 중지 운동

6. 기황후

① 기씨 일족의 횡포

② 기씨 일족의 몰락

7. 공녀의 영향

8. 환향녀(화냥년)의 어원과 발생배경

9. 환향녀로 인한 사회문제 (이조실록의 내용)

10.버림받는 이라크판 ‘환향녀’

본문내용

있으나 절개를 잃은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허락할 수 없다”고 이혼청구를 거절했다. 선조의 이같은 방침에도 불구하고 남편들은 모두 첩을 얻어 부인을 멀리 했다.
환향녀는 1627년 (인조 5) 정묘호란과 1636년 (인조 14) 병자호란 때도 많이 발생했다. 주로 북쪽 지방에 사는 여인들의 피해가 컸다. 특히 의주에서 평양까지는 미인이 많아 벼슬아치나 양반의 처까지도 끌려갔다. 청나라에 끌려간 여자들 중 대부분 돌아올 수 없었으나. 많은 돈을 주고 돌아온 여자들도 ‘환향녀’로 불리면서 치욕을 감수해야 했다.
병자호란 후 돌아온 여자들도 남편으로부터 이혼을 요구받아야만 했다. 인조도 선조가 마찬가지로 이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들 중 대부분은 인조가 제시한 첩 허용을 받아들였으나, 강화도에서 청군에 붙잡혀 끌려간 영의정 장유의 며느리는 실절했다는 이유로 시부모로부터 이혼청구를 당했다. 물론 처음엔 인조의 허락을 받지 못했지만 장유가 죽은 후 그의 아내 김씨는 환향녀라는 이유로 며느리를 내쫓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시부모에게 불손하다는 이유로 허락을 받아 이혼시켰다.
이처럼 암울한 이조역사의 산물인 환향녀는 유교신봉의 철저한 신분사회였단 이조시대의 생리적 한계로 더 이상 설자리가 없었고 비참한 고려여인들의 운명은 그 불행은 더 이상 글로 표현하기 어렵다.
10. 버림받는 이라크판 ‘환향녀’
아부그라이브 감옥생활
가족들 “수치” 추방·살해
정묘·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끌려갔다가 고초를 겪은 뒤 귀국한 조선시대 여성들은 위로 대신 ‘환향녀’로 불리며 가족과 공동체로부터 버림을 받았다. 미군에 붙잡혀 수감생활을 했던 이라크 여성들이 21세기 ‘환향녀’가 되고 있다.
이라크인 포로학대 파문으로 악명높은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에서 수감생활을 하다 풀려난 이라크 남성들은 미군에 저항한 ‘영웅’ 대접을 받는 반면 여성들은 가족과 공동체에서 따돌림을 당하고 쫓겨나거나 또는 살해당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14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인 이라크 사회가 이방인의 손에 잡혔다는 사실만으로 이 여성들을 집안 또는 부족의 ‘치욕’으로 여겨 이들 여성이 사라지거나 자살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또 숨어지내는 여성들도 감옥에서 겪었던 일에 대해 입을 꼭 다물고 있다.
바그다드대학의 여성 교수 후다 알 누아미(43·정치학)는 “여성이 아부 그라이브에서 풀려났다는 것은 종말의 시작일 뿐”이라며 이들 여성의 수난사를 조사하려 했으나 모두 침묵하거나 조용히 흐느끼기만 했다고 증언했다. 아부 그라이브와 바그다드 공항의 크로퍼캠프, 바스라의 부카캠프 등 주요 감옥에 수감돼 있는 이라크인 2만2천명 중 여성은 겨우 92명에 지나지 않지만, 이는 공식적인 숫자일 뿐 주요 감옥 외에 이라크 안 14개 임시구금소에는 수십명에서 수백명의 여성이 구금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라크 성학대와 관련한 미군 조사에서 적어도 한명 이상이 여성 구금자와 “성관계를 가졌다”고 고백하고, 또 여성 구금자를 발가벗긴 사진 등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아무도 피해 사실을 드러내지 않는 현실도 이와 맥락이 닿아 있다. 이라크 여성해방과 민주화 등을 앞세우며 이라크를 침략한 미국이 이라크 여성을 두번 죽이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누아미 교수와 여성 인권변호사들은 시아파와 수니파의 영향력있는 종교지도자들에게 석방된 여성들이 가족에게 살해되거나 정신적 고통을 당하는 상황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막아달라고 요청했다.
http://www.hani.co.kr/section-007003000/2004/07/007003000200407151834113.html
강김아리 기자 < 한겨례 신문 >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10.14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