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언어의 문자
2. 표의문자
3. 음절문자
4. 표음문자
5. 참고문헌
2. 표의문자
3. 음절문자
4. 표음문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본의 가나 역시 한자에서 변형된 형태입니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단음절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단어에 하나의 음절을 하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순수한 단음절성 특징을 보안한 것이 일본의 가나입니다.
일본의 가나 언어에서 ‘あ’ 이라는 문자를 [아]라는 음성을 통하여 나타내고, ‘カ’ 이라는 문자는 [가] 라는 음성을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あ’를 문자를 더 세부적으로 쪼개어 음성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あ’가 언어의 최소단위가 되며 하나의 음성을 부여했기 때문에 음절문자의 대표적인 예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가나 언어 외에도 페니키아와 아람, 에티오피아, 아라비아의 문자가 음절문자의 특성이 강하며, 음절문자는 표의문자의 발달된 형태라고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
표음문자
문자를 사람이 음성으로 발음할 때 나타나는 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글자를 표음문자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말하는 소리를 나타냈다고 하여 ‘소리글자’ 라고도 불리며 표음문자는 다시 ‘음소문자’ 와 ‘음절문자’ 로 구분됩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은 처음 만들어졌을 때 한글이 가진 문자의 표음성이 거의 사라진 형태입니다.
최초의 한글이 과학적인 언어라 불리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한글 각각의 문자는 표음성이 짙은 언어였기 때문입니다.
한글 문자의 모양은 한글을 발음할 때의 혀 또는 입 모양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지만,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은 표음문자로써의 역할이 많이 사라진 형태라 볼 수 있습니다.
표음문자의 한 종류인 음소문자는 하나의 기호가 하나의 음소를 나타내는 체계입니다.
문자를 구성하는 기호가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되며 대응하는 자음과 모음이 따로 존재한다는 것에서 다른 언어와 구별됩니다.
한글에서 ‘돈’ 이라는 글자는 ‘ㄷ’ 그리고 ‘ㅗ’ 과 ‘ㄴ’ 이라는 자음과 모음이 합쳐져 만들어진 형태입니다. ‘돈’ 이라는 문자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는 자음과 모음이며, 각각의 자음과 모음에도 음성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음소문자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언어는 우리나라의 한글을 예로 들 수 있고, 로마알파벳 문자 또한 음소문자의 성격이 강한 언어체계라고 분류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박흥수(2001). 「한자의 표의성과 표음성에 관한 고찰」. 언어와 언어학 제 28집
크리스틴 케닐리(2009). 「언어의 진화 : 최초의 언어를 찾아서」. 알마
안기수(2013).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한자는 기본적으로 단음절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단어에 하나의 음절을 하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순수한 단음절성 특징을 보안한 것이 일본의 가나입니다.
일본의 가나 언어에서 ‘あ’ 이라는 문자를 [아]라는 음성을 통하여 나타내고, ‘カ’ 이라는 문자는 [가] 라는 음성을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あ’를 문자를 더 세부적으로 쪼개어 음성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あ’가 언어의 최소단위가 되며 하나의 음성을 부여했기 때문에 음절문자의 대표적인 예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가나 언어 외에도 페니키아와 아람, 에티오피아, 아라비아의 문자가 음절문자의 특성이 강하며, 음절문자는 표의문자의 발달된 형태라고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
표음문자
문자를 사람이 음성으로 발음할 때 나타나는 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글자를 표음문자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말하는 소리를 나타냈다고 하여 ‘소리글자’ 라고도 불리며 표음문자는 다시 ‘음소문자’ 와 ‘음절문자’ 로 구분됩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은 처음 만들어졌을 때 한글이 가진 문자의 표음성이 거의 사라진 형태입니다.
최초의 한글이 과학적인 언어라 불리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한글 각각의 문자는 표음성이 짙은 언어였기 때문입니다.
한글 문자의 모양은 한글을 발음할 때의 혀 또는 입 모양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지만,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은 표음문자로써의 역할이 많이 사라진 형태라 볼 수 있습니다.
표음문자의 한 종류인 음소문자는 하나의 기호가 하나의 음소를 나타내는 체계입니다.
문자를 구성하는 기호가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되며 대응하는 자음과 모음이 따로 존재한다는 것에서 다른 언어와 구별됩니다.
한글에서 ‘돈’ 이라는 글자는 ‘ㄷ’ 그리고 ‘ㅗ’ 과 ‘ㄴ’ 이라는 자음과 모음이 합쳐져 만들어진 형태입니다. ‘돈’ 이라는 문자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는 자음과 모음이며, 각각의 자음과 모음에도 음성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음소문자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언어는 우리나라의 한글을 예로 들 수 있고, 로마알파벳 문자 또한 음소문자의 성격이 강한 언어체계라고 분류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박흥수(2001). 「한자의 표의성과 표음성에 관한 고찰」. 언어와 언어학 제 28집
크리스틴 케닐리(2009). 「언어의 진화 : 최초의 언어를 찾아서」. 알마
안기수(2013).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추천자료
프랑스문화와언어의이해
언어이해모형
2012년 하계계절시험 언어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하계계절시험 언어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E형(인간 의사소통의 특징)
2014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B형(표의문자, 음절문자, 표음문자)
2014년 2학기 언어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언어의이해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언어의이해 B) 세계의 주요 문자에 간략히 기술하시오 - 1학년B형
(언어의이해 A) 한글의 창제원리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언어의이해][번역의탄생감상문] 번역의 관점에서 영어와 한국어의 특성을 비교하여 제시하시...
언어의이해=옥스퍼드 사전이 만들어진 배경을 간략히 설명하시오.
언어의이해=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하시오
2018년 하계계절시험 언어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소개글